테크노트 [TECHNOLOGY FOCUS] 응용 행동 분석학 계측과 제어
[첨단 헬로티] 행동 분석학은 행동을 계측 제어한다 1. 행동을 계측한다 우리들 일반 생활자의 감각으로는 ‘행동으로서 계측된 「마음」에 의해, 「행동」을 설명한다’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행동 분석학(behavior analysis)을 창설한 하버드대학 교수 스키너(Skinner 1904~1990)는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행동은 행동 그 자체의 수준으로 계측하고, 그 법칙성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법칙성은 개인과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있고, 행동에 미치는 환경 조건의 효과 분석을 철저히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경의 자극을 계통적으로 변화시키고, 그것에 대응해 개인의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계측한다. 행동 분석학은 행동을 정의하고, 계측하고, 제어해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다. 행동을 정의한다는 것은 계측할 타깃 행동과 계측 방법을 계측 목적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반응의 경우도 있고, 반응 분포의 경우도 있다. 미세한 반응(근육의 움직임)의 경우도 있고, 전체적인 큰 반응(보행)의 경우도 있다. 근전위, 동작의 가속도, 시간당 이동 거리, 멈출 때까지의 시간 등 목적에 따라 계측 방법을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