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질은 아마 플라스틱과 철일 것이다. 특히 플라스틱은 현대 문명을 가능하게 한 새로운 공업재료며,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소재 중 하나다. 이 플라스틱을 가공해 생활과 산업에 알맞게 재작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 금형 그리고 사출성형이다. 자료 제공 LS엠트론 기술교육 아카데미 구동 동력 방식에 따른 분류 1. 유압식 사출성형기 기구부의 구동 동력원에 따라 유압식, 하이브리드 방식, 전동식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유압식 사출기’는 전동식 사출기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가장 널리 쓰이던 방식이다. 동력원은 전기이지만, 각 종 실린더의 작동이나 스크류의 회전 등 직접적인 구동장치는 유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형의 경우 전동식 사출기가 일반화 되고 있으며, 유압식 사출기는 중형에서 초대형까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에너지 절감 요구에 따라 절전형 사출기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유압식 사출기의 주요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 장점 단점 ⦁작동력의 빠르기를 넓은 범위에서 무단계로 선택이 가능하다. ⦁운전의 원격조작이 가능하고
삼진정밀은 1991년에 수처리, 환경 밸브로 시작해 현재 오일 가스, 석유 화학용 특수 밸브 및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직접 제조하고 있다. 국내에는 드문 가공 설비와 테스트 설비를 구비해 중공업, 우주항공 분야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해외 35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올해 국제환경산업기술 & 그린에너지전에 참가한 삼진정밀은 다양한 밸브류를 선보였는데, 그중에서도 공기 밸브 부착형 제수 밸브의 경우 양면 소프트 실 제수 밸브에 공기 밸브를 부착함으로써 관로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75mm 공기 밸브 성능) 별도의 공기 밸브 설치가 필요 없다. 따라서 예산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 단축에 의한 민원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수 밸브는 밸브 몸통 상단에 압축 공기가 차서 밸브대, 보닛 등에 설치된 패킹, 오링 등을 압축 공기가 밀어내 누수의 원인이 되고 심한 경우 밸브 몸통이 파손되기도 했지만, 이 밸브는 몸통 내부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수명을 연장시킨다. 공기 밸브 부착구를 통해 채수가 가능하므로 수질검사 시 편리하다. 특허를 받은 캡가이드의 경우,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도 디스크 상하 작동이 안정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며, 디스크 작
동명산업기계가 유압식 프레스 공급을 개시했다. 이 제품은 자동차 금형의 트라이아웃 & 다이스포팅 작업에 사용되는 프레스이다. 싱크로 시스템을 이용한 유압식 마이크로 인칭을 채택하여 슬라이드의 반복 위치와 미세 스트로크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다. 조그 다이얼 스위치를 채택하여 인칭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사출금형용 프레스는 180˚ 반전장치 및 인젝션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
동명산업기계은 가혹한 단조 조건 하에서도 고강도와 높은 정밀도를 완벽히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유압식 프레스를 내놓았다. 장물의 정밀 단조와 TUBE의 압출 성형에 유용하며, 제품 두께 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400t 이하의 하한 정지위치 결정장치를 부착 가능하다. 동명산업기계는 우수한 유압기술과 제어기술로 각종 유압 프레스 및 시스템을 제작 공급하고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