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고 전국 네트워크 인프라 시설의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도 분당사옥에 ‘KT 기술평가 랩’을 열었다고 27일 밝혔다. KT는 삼성전자, 에릭슨 엘지, 노키아 등 이동통신 장비제조사와 가온그룹, 기산텔레콤, 엔더블유시, 우리넷, 유비쿼스, 이루온, 주니퍼 등 주요 협력사가 참석한 가운데 기술평가 랩 개소를 알리고 주요 시설을 안내하는 행사를 27일 진행했다. 랩은 10개의 기본 평가실과 실제 네트워크 환경과 연동해 안정성을 테스트하는 ‘시스템/단말 종합연동평가실 ’, 해외 원천사와 실시간 연결해 시험할 수 있는 ‘원격평가실’, 전자파 차단상태에서 해당 제품의 고유한 무선 주파수 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차폐실’ 등으로 구성됐다. 제품·서비스의 통신 품질 확보를 위해 열악한 온·습도 환경에서 신뢰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챔버 시설, 낙뢰 등 과전압 유입으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서지 보호 기능 시험 장비, 제품 낙하 시 내구성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 장비 등도 갖췄다. KT는 랩을 통해 AICT 분야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파트너사 통신 장비 평가와 물품 검사를 통한 품질 확보 등 효과를 거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가 세계 최초 5G 상용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국산 장비 제조사인 다산네트웍솔루션즈와 유비쿼스의 차세대 전송장비를 도입키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하는 장비는 5G 무선 기지국과 유선 네트워크 간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해주는 고성능 집선 ‘100G 스위치’로, 현재 LTE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스위치 보다 46배 많은 데이터를 10배 빨리 처리하면서도 장비 크기와 소비전력은 기존 장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5G 네트워크 고도화의 핵심 장비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 장비에는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기술인 ‘세그먼트라우팅’이 적용되어 있어 트래픽 제어, 망 운영 간소화, 타 제조사 제품과 쉬운 연동, SDN과 같은 차세대 기술 대응 등에 유리하다. 모바일 백홀 구간에 세그먼트라우팅 기술이 적용된 전송장비를 도입하는 것은 국내 통신사로는 최초이자 해외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렵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이 장비에는 다양한 성격의 트래픽을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구분 전송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현을 위해 가상 사설망(VPN), 소프트웨어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가 기가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10기가 광 전송 시대를 연다. LG유플러스는 국내 중소 네트워크 장비 업체 ‘유비쿼스’와 손잡고 기존 기가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홈 10기가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을 공동 개발, 내부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홈 10기가 인터넷은 일반 가정에서 1기가 용량의 영상 콘텐츠를 0.8초만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증강현실·가상현실, 4K·8K UHD, 홀로그램과 같은 차세대 미디어·고품질 서비스의 안정적 전달이 가능하다. 클라우드·빅데이터 기반의 선도적 미래 융합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은 10기가 인터넷의 홈 서비스 지역을 대폭 확대시키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정내광가입자망, 광랜 등 기존 유선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 상용화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10기가 인터넷은 5세대 이동통신 시대를 앞당기는 기반 역할도 맡는다. 가정내광가입자망 방식은 프론트홀에, 광랜 스위치는 5G 백홀 장비로 활용할 수 있다. 유선 백본망부터 5G 기지국까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 중소업체와 ‘홈 10기가 인터넷’ 기술 공동개발 LG유플러스가 기가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10기가 광 전송 시대를 연다.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국내 중소 네트워크 장비 업체 ‘유비쿼스’와 손잡고 기존 기가 인터넷 보다 10배 빠른 홈 10기가(Gbps)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을 공동 개발, 내부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홈 10기가 인터넷은 일반 가정에서 1GB 용량의 영상 콘텐츠를 0.8초만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증강현실(VR)·가상현실(AR), 4K·8K UHD, 홀로그램과 같은 차세대 미디어·고품질 서비스의 안정적 전달이 가능하다. 클라우드·빅데이터 기반의 선도적 미래 융합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은 10기가 인터넷의 홈 서비스 지역을 대폭 확대시키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정내광가입자망(FTTH), 광랜(UTP 케이블) 등 기존 유선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 상용화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10기가 인터넷은 5
[첨단 헬로티] 독거노인 가정 350가정에 난방용품, 식료품 등이 담긴 ‘사랑의 꾸러미’ 전달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연말을 맞아 협력사 협의체 U+동반성장보드,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함께 혹한기에 취약한 홀로 사는 어르신들을 위한 ‘사랑의 꾸러미’ 나눔 활동을 전개한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LG유플러스, U+동반성장보드 및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의 임직원 자원봉사자 70명은 은평어르신돌봄통합지원센터 외 수행기관 8개소를 통해 홀로 사는 어르신 350가정에게 난방용품, 식료품 등 후원물품이 담긴 ‘사랑의 꾸러미’를 전달한다. U+동반성장보드는 모임스톤, 유비쿼스, 다산네트웍솔루션즈, 이루온, 파워텔레콤 등 LG유플러스의 21개 협력사로 구성된 동반성장 협의체로, 동반성장 관련 제도 및 시행 내역을 공유하며 협력사간 소통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모임스톤 안창일 이사는 “LG유플러스와의 단순 거래관계가 아닌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으로서 유대관계를 높이고 같은 지향점을 향하는 동반자로서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12회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시상식’을 12월 4일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인터넷대상은 2006년부터 국내 인터넷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단체 및 공로자 등을 발굴·시상해온 시상식으로, 인터넷 산업 구성원들의 사기진작과 경쟁력 강화에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이번 시상은 ‘인터넷 기술선도’, ‘인터넷 비즈니스’, ‘인터넷 사회진흥’ 등의 단체 부문과 ‘개인공로상’으로 구성되며,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과기정통부장관상, 주관·후원기관장상 등 총14점을 수여한다. 심사는 주요 비즈니스 및 기술 개발 등의 성과, 시장에서의 차별성과 성장성, 사회기여도 등을 기준으로 전문심사위원회과 최종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공정하고 엄정하게 이루어졌다. 대통령상의 영예는 전화선 기반 기가인터넷 장비 세계 최초 상용화 개발에 성공한 유비쿼스에게 돌아갔다. 특히, 전송매체별 기가인터넷 서비스 장비의 국산화를 통한 수입 대체 효과 상승 및 기가급 전국망 초고속 인터넷
[첨단 헬로티] LG유플러스는 국산 장비 제조사인 유비쿼스와 기존 LTE 장비보다 46배 이상의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을 10배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5G용 장비인 ‘100G(Giga) 스위치’를 국내 최초로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100G 스위치는 5G 무선기지국과 유선 네트워크간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해주는 장비로, 한번에 3.6Tb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 하나를 0.12ms만에 전달할 수 있어 2GB 영화 한편 분량의 트래픽을 0.16초만에 전송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한 스위치는 현재 LTE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스위치보다 46배 많은 데이터를 10배 빨리 처리하면서도 장비 크기와 소비전력은 기존 장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이 장비에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기술 중 하나인 SDN을 추가 적용하면 일반 데이터, IPTV, 자율주행차와 같은 정밀 원격제어가 필요한 컨트롤 데이터 등 다양한 성격의 서비스 트래픽을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구분해 전송함으로써 트래픽 처리 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다. 한편 대용량 스위치 장비는 20Gbps 이상의 초고속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