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드리버는 자사의 실시간 운영체제 VxWorks가 탑재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성능 시험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NASA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1월 L2 궤도 도달에 성공 후 최근 적외선 망원경의 성능 시험을 통해 첫 번째 풀컬러 우주 사진을 공개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궁극의 지능형 시스템으로서 우주로 발사된 망원경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윈드리버의 VxWorks는 제임스 웹의 ISIM의 과학 탑재체 OS 서비스 계층을 담당하며, 이와 함께 방사선 방출 프로세서에서도 실행된다. ISIM은 근적외선 카메라와 분광기, 중적외선 기기를 포함한 네 가지 주요 탑재체로 이뤄졌으며, 17개의 서로 다른 기기 모드로 사용된다. 윈드리버에 따르면 자사의 기술은 화성 탐사선 퍼서비어런스와 큐리오시티에서부터 지구 크기의 행성을 관측한 우주 망원경 케플러, 그리고 지구 근처의 소행성 베누에서 샘플을 수집한 뒤 지구로 돌아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오시리스-렉스탐사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우주 프로그램에 성공적으로 기여해왔다. 윈드리버의 항공우주 및 국방 사업 부문을 총괄하는 알렉스 윌슨 디렉터는 “그 어느 때보다 우주의 깊은 곳을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된 것
[헬로티] ABB는 NASA(미국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와 2년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2025 년에는 ABB와 Nüvü의 Camēras 주요기술이 우주 망원경에 탑재되어 최초로 태양계 외행성에 대한 우주공간 모습을 포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NASA 미래 우주 관측소의 ‘낸시 그레이스 로만 우주 망원경’이 지구와 유사한 다른 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2025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로만 망원경에는 두 개의 장비가 실리게 된다. 하나는 우주 암흑에너지 분포의 신비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다른 한 대 장비는 우주의 외계 행성 이미지 촬영을 위한 최초의 전용 카메라인 CGI(CoronaGraph Imager)이다. CGI 내부에는 ABB사가 Nüvü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전자 코어를 탑재한 고감도 카메라 2대가 장착된다. 태양계 외행성 시스템은 원거리 관측이 극히 어렵다. 그 이유는 행성들이 근처의 항성에 비해 매우 더 흐릿하고 서로 이격 거리가 상당히 미미하기 때문이다. NASA의 CGI는 광소자들이 복합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항성의 빛을 차단하고 인접한 행성의 잔여광(殘餘光)을 고감도 카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