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기술력·지속가능 경영으로 산업 경쟁력 인정받아 가스안전대상 산업포장 이어 또 한 번의 수상 영예 열교환기 전문기업 성산기업이 ‘K-Tech Inside Show 2025’에서 ‘뿌리기업 명가’로 선정되어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40여 년간 축적된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 그리고 지속가능한 경영 실천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평가받은 결과다. 성산기업은 1983년 창립 이후 열교환기·가스기기·압력용기 분야에서 독자 기술과 생산 공정 고도화를 통해 국내 산업 현장의 에너지 효율 개선에 앞장서왔다. 특히 공정 자동화, 품질관리 시스템 강화, 안전 규격 표준화 등을 지속 추진해 생산성과 품질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한 모범 사례 기업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안전공사가 공동 주관하는 ‘가스안전대상’에서 산업포장 수상을 비롯해, 가스기기 및 압력용기 분야에서도 기술력과 안전관리 역량을 인정받았다. 이번 대통령 표창 수상으로 성산기업은 국가가 공인한 ‘우수 뿌리기업’의 명예를 확보하며, 향후 공공기관·대기업 협력사업 및 정부지원사업에서 우대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산기업 관계자는 “40년 넘게 열교환기 제조 기술을 고도화하며
6년간 2600여개 기업 품질개선·애로해소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제품의 신뢰성과 성능 향상 지원 사업에 25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소부장 신뢰성기반활용지원사업' 시행을 공고하고 이같이 밝혔다. 소부장 신뢰성기반활용지원사업 소부장 기업이 신뢰성 평가기관에 구축된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발급하는 것으로, 산업부는 이를 통해 지난 6년간 2626개 소부장 기업의 품질 개선과 애로 해소를 지원해 왔다. 일례로 방산 부품업체 A사는 해군 함정의 압축공기 시스템과 전자밸브 국산화에 필요한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의 신뢰성 평가 인프라를 지원받아 지난해 37억원 규모의 신규 수주 성과를 거뒀다. 전기차 부품 업체인 B사는 대형 전기버스에 들어가는 열교환기 제품 공정 설계에 가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재료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공정 설계 비용과 기간을 줄였다. 산업부는 "올해부터는 소부장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강화됨으로써 기업의 공정 효율화, 신규시장 진출 등을 통한 수출경쟁력 제고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국내 대학과 기업체 연구진이 쉽게 오염되지 않는 에어컨 열교환기를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 화학공학과 김효민 교수·통합과정 류민씨 연구팀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강진규·최형우 박사와 공동연구를 통해 윤활액 코팅 지속성을 높인 열교환기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에어컨 열교환기는 냉매와 방 안의 공기 사이에 열을 교환할 수 있는 장치다. 자동차 라디에이터처럼 올록볼록하게 생겼다. 일반적으로 가전회사는 열교환기에 오염물이 달라붙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최근 주목받는 윤활액 코팅 방식은 윤활액 지속성이 떨어지고 기판 부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윤활액에 실리카 나노입자층을 덧씌워 이런 한계를 극복했다. 이 방식은 나노입자층이 윤활액을 붙잡으며 지속성을 크게 높이고 윤활액 손실에 따른 열교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외부 충격에 잘 견디고 먼지나 기름에 의해 쉽게 더러워지지 않으며 항균성이나 내산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성과는 에너지 소모와 유지보수비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에어컨 뿐만 아니라 냉장고, 의류건조기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기와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최근
[헬로티] 40마력(HP)의 성능으로 대부분의 장비에 사용 가능해 ▲열교환기용 대형 세관 장비는 순환수량과 압력을 감당할 수 있는 40마력(HP)의 성능을 갖췄다. (출처 : NCH코리아) NCH코리아가 새로운 대형 세관 장비를 21일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열교환기용 대형 세관 장비는 40마력(HP) 성능과 강력한 세정력을 자랑한다.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은 스케일, 슬러지(미생물 포함), 부식 등이다. 열교환기 튜브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은 금속인 튜브에 비해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단열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열교환이 원활치 못하게 되면 낮아진 열전도율을 상쇄하기 위해 설비가 더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 상승, 기계 소손, 과열로 인한 품질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열교환기 튜브 이물질로 인한 열전도율 저하율을 보면, 스케일이 0.15mm(명함 한장 두께)일 때 30% 저하, 0.30mm(계란 껍질 두께)일 때 46% 저하됐다. NCH 측에 따르면 이번에 출시되는 ‘열교환기용 대형 세관 장비’는 세관 순환수량과 압력을 감당할 수 있는 40마력(HP)의 성능을 갖춰, 국내에서 사용 중
[첨단 헬로티] 농기계 분야 제품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감소하는 방안 논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 앤시스코리아가 ‘산학연 농기계 산업 기술혁신 세미나’에서 농기계 관련 제품과 부품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이기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술세미나를 진행했다. ▲ANSYS CFX를 사용해 시뮬레이션한 열 교환기의 예 산학연 농기계 산업 기술혁신 세미나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기반의 기술혁신이 전 산업군에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요즘, 업계 관계자들과 함께 선제적 기술진보를 꾀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개최됐다. 실례로 존디어(John Deere), 캐터필러(Caterpillar) 등 글로벌 기업의 경우 정보분석가, 데이터 사이언스, 시뮬레이션 분야 엔지니어의 채용을 늘려 협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장비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신제품 개발 시 드는 비용과 속도를 대폭 개선해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고객 지향적인 제품을 빠르게 출하하고 있다. 지난 1일 대전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열린 이 세미나는 대동공업, 동양물산, 국제종합기계, LS
[첨단 헬로티] 금형 설계 토탈 솔루션 MOLDream(몰드림)과 자동화 2D 설계툴 애니 드로잉(Any-Drawing)을 지원 및 공급하는 (주)캐디언스시스템이 'FloEFD for Solid Edge'의 기능을 온라인으로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밝혔다. 오는 14일에 진행되는 세미나 주제는 'FloEFD for Solid Edge를 활용한 열교환기 해석 & 기체혼합 해석'이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본 제품을 활용한 열교환기 해석 및 Mixer 유동 해석을 온라인 방송을 통해 설명할 예정이다. 웨비나 신청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은 캐디언스시스템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캐디언스시스템은 CAx기반 IT/PLM/DM 분야에서 Total Engineering Solution을 제공하는 선도 기업이다. 지난 1995년 설립 이래 캐디언스시스템은 CAD/CAM/CAE/PLM/DM 분야로서 Siemens PLM Software사의 NX, Solid Edge, TEAMCENTER, TECNOMATIX, C3P Software사의 CAST-DESIGNER(다이캐스팅 설계 및 해석), FORM-ADVISOR(프레스 설계 및 해석), CoreTech System 사의
런텍이 오는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에 참가해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런텍은 풍부한 제품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기본 설계부터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열교환기를 제공하고 있다. 런텍의 Shell & Tube 열교환기(Heat Exchanger)는 발전소, 제철소, 석유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액체-액체, 기체-액체의 열 교환을 위해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런텍의 핀튜브(FinTube) 열교환기는 기체의 승온 및 냉각을 위한 제품으로, 열전도율이 낮은 기체의 접촉 부위에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의 핀을 부착해 열효율을 높였다. 공기 또는 가스 압축 시 유체의 온도를 냉각시켜 유체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압축 효율을 높이는 열교환기(Compressor Cooler)도 있다. 사진은 Shell & Tube 열교환기다. 올해로 40년째를 맞이하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은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개최하며, 20개국에서 600개사 2,400부스로 참여한다. 기계류
성산이 오는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에 참가해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1980년에 국내 열교환기 압력용기 사업을 시작한 성산은 2002년부터 열교환기를 국내 발전소, 플랜트 제작 업체에 공급해 오고 있다. 열교환기 설계, 제작, 설치까지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국내 발전소에 정비 적격 업체로 등록됐으며 다양한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또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 해외지사를 설립하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성산의 열교환기는 물, 오일 등의 물질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장비다. 산업 플랜트나 발전 플랜트, 석유화학 플랜트, 철도 차량, 지역난방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국제 규격 제품도 설계, 생산이 가능하다. 올해로 40년째를 맞이하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은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개최하며, 20개국에서 600개사 2,400부스로 참여한다. 기계류 수요창출 및 수출 증대, 거래선 발굴, 신규산업 수요창출 및 기술선도, 시장정보 교류 및 첨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