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내수·수출 반기 기준 최고…신차 4대 중 1대 올해 상반기 자동차 산업은 생산과 내수는 감소했지만, 수출 물량과 금액은 최고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및 6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자동차 생산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177만9044대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월별 생산량은 지난 2월 이후 전월대비 증가세를 이어가 글로벌 생산국 순위 TOP 5(5월 누적)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주요 OEM 업체들의 생산량이 대부분 감소했으나, 현대·기아는 공급망 관리 체계 개편 등으로 적은 감소세 보였다. 내수는 출고 지연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신차출시 효과 둔화 및 역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11.3% 감소한 80만 7,605대를 판매했다. 베스트 셀링카(승용) TOP5는 모두 국산차가 차지했다. 내수 판매 1위는 그랜저(3만 3672대)였고, 쏘렌토(3만1777대), 아반떼(2만7636대), 카니발(2만7502대), 펠리세이드(2만7034대)가 뒤를 이었다. 국산차는 친환경차 판매호조(+58.5%)에도 불구하고 부품 수급난과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인한 출하 차질로 10.8% 감소한
[헬로티] 1개 차종, 비발암 물질이지만 두통, 눈 따가움 증상 유발하는 ‘톨루엔’ 권고 기준 초과해 ▲조사 대상인 유해물질은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벤젠, 자일렌, 아르롤레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등 8개 물질이다. (출처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2020년 국내 4개사로부터 제작·판매된 7개 차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차 실내공기질 조사의 결과를 발표했다. 국토부는 2011년부터 매년 국내에서 신규로 제작‧판매된 자동차에 대해 실내 내장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해물질의 권고기준 충족 여부를 조사해 그 결과를 발표해왔다. 조사 대상인 유해물질은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에틸벤젠, 스티렌, 벤젠, 자일렌, 아르롤레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등 8개 물질이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 1개 차종이 톨루엔 권고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톨루엔 기준이 초과한 차량은 현대자동차의 GV80으로, 해당 차량은 외부 도장 재작업 이력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도장의 건조시간 단축을 위해 재작업 중 사용된 도료의 톨루엔 입자가 차실 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톨루엔은 주로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