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스타벅스가 아마존의 무인 오프라인 매장 '아마존 고'와 협력해 계산원이 없는 테이크아웃 매장을 뉴욕 맨해튼에 처음 개설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미 CNBC 방송 등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맨해튼 중심부에 자리 잡은 이 매장은 아마존 고의 무인결제 시스템인 '저스트 워크아웃'을 도입했다. 저스트 워크아웃은 고객이 매장이 들어갈 때 아마존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신용카드를 한차례 인식시키면 물건을 고른 뒤 그냥 나가도 결제가 되는 시스템이다. 매장 내 카메라와 센서가 고객이 쇼핑한 물건을 파악해 자동으로 물건값을 계산한다. 계산원이 없지만 스타벅스 음료를 제조하는 바리스타들은 매장 내에 있다. 스타벅스 측은 다른 매장과 동일한 규모의 직원 수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 매장에는 또한 스타벅스 모바일 앱으로 미리 주문한 음료를 받아 갈 수 있는 카운터도 마련됐다. 또 매장 안쪽에는 크고 작은 좌석도 있어 혼자서 먹고 마시거나 간단한 모임을 할 수 있다. 스타벅스와 아마존 고는 내년에 이런 매장을 2곳 더 개설할 계획이다. 앞서 스타벅스는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매장 400여곳의 문을 닫고 도심 지역에는 테이크아웃 매
[첨단 헬로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개선, 고객 경험 최적화, 자동화된 재고 등으로 매출 효과 극대화 현재의 리테일 환경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소매 업체는 위험과 운영 비용을 줄이고 매장 내 트래픽을 최적화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비전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Retail Accelerates'라는 제목의 RIS(Release Info Systems) 기술 연구에 따르면, 작년 3%의 판매자 만이 이미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했지만 40%는 향후 12개월 내에 기술 구현을 시작하거나 마칠 계획이다. 소매 업체는 계산대가없는 매장을 활성화하고, 재고 운영을 자동화하고, 보안을 개선하고, 소비자 행동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수집하고, 새롭고 독특한 고객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비전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 대부분의 소매 산업은 계산대가 없는 매장 기술에 대한 초기의 이점을 아마존에 기꺼이 포기할 것으로 보인다. 복잡한 기술을 통한 간단한 쇼핑 전자상거래의 거인인 아마존은 2017년 Whole Foods를 인수하여 처음으로 오프라인 소매 시장에 진출했다. 1년 후 시애틀에서 첫 캐셔가 없는 아마존 고(Amazon Go) 매장을 시작하면서 소매 경험을 다시 시작했다.
[첨단 헬로티] 컴퓨터비전, AI, 결제 기술 등 고도화해 아마존고 단점 보완한 기술 구현 신세계아이앤씨(대표 김장욱)가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 클라우드 기반 POS 등 다양한 리테일테크를 집약한 미래형 유통 매장을 선보인다. 신세계아이앤씨는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에 오픈 예정인 신규 데이터센터에 다양한 IT기술을 적용한 미래형 셀프(Self) 매장을 구축한다. 임직원 대상 테스트 운영 기간을 거친 후, 9월 30일부터 일반 고객도 이용할 수 있는 정식 매장으로 오픈했다. 이와 동시에 신세계아이앤씨는 셀프매장을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딥러닝(Deep Learning)기반 AI, SSG페이, 클라우드 기반 POS 등 리테일테크 관련 다양한 기술을 시험하는 테스트베드 매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셀프매장은 신세계아이앤씨와 이마트24가 제휴해 공동으로 운영한다. 매장 내 기술 운영은 신세계아이앤씨가 담당하며, 상품 공급 및 매장 운영은 이마트24가 담당한다. 고객은 SSG페이 또는 이마트24 앱(APP)을 통해 발급된 입장 QR코드를 스캔한 후, 셀프매장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다. 별도의 상품 바코드 스캔, 결제 등의 과정이 전혀 없이 쇼핑 후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기반 유통산업 혁신 후보과제 10개 발굴 위키디피아 Amazon Go 관련 사진(https://en.wikipedia.org/wiki/Amazon_Go) 산업통상자원부는 유통산업의 혁신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해 2018년부터 5년간 약 170억 원(’18년 34억 원)의 연구개발(R&D) 예산을 신규 투자하기로 했다. 이번 예산은 상품·구매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 구축,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가상·증강 현실(VR/AR) 쇼핑 등 미래 유통산업의 핵심 경쟁력 확보를 위한 유망과제에 지원된다. 정부가 유통산업 분야에 별도의 연구개발(R&D) 예산 사업을 통해 집중 지원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통산업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가상·증강현실(VR/AR)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식·정보에 기반하여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아마존은 AI 쇼핑비서 ‘알렉사(Alexa)', 디지털 무인 매장 ’아마존고(Amazon Go)'를, 알리바바는 클라우
[첨단 헬로티] 이커머스 황제 아마존이 식료품 전문 유통 업체 홀푸드를 134억달러라는 거액에 집어삼키면서 오프라인 유통 시장이 받을 파장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아마존의 공세로 오프라인 유통 업체들 중 일부는 경쟁에서 도태될 것이란 전망이 벌써부터 적지 않다. 아마존발 오프라인 유통 기술 혁신도 관전 포인트다. 최근들어 아마존이 비용 절감 및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오프라인 유통과 기술을 결합하는데 적극 투자하고 있는 만큼, 홀푸드 인수 이후 이같은 행보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시범 공개한 계산대와 판매원이 없는 매장인 '아마존 고'에서 활용한 노하우를 홀푸드에 대거 투입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아마존은 홀푸드 직원을 해고하거나 아마존 고 기술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외신들은 아마존이 추진할 홀푸드 오프라인 유통 현장의 기술 혁신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유통 현장 자동화 기술 확대일로 아마존은 지난해말 시애틀에 넓이 167㎡(약 51평) 규모의 식료품 가게 아마존 고를 시범 오픈했다. 아마존 고에는 판매원도 계산대도 없다. 손님이 휴대폰을 스캐닝하고 매장에 들어오면 컴퓨터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