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브랜드 출하량 두 자릿수 비율 감소 전년 대비 15.4% 감소...전분기 대비 흐름 역전 옴디아가 3일 2022년 4분기 스마트폰 예비 출하량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작년 4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총 3억 150만 대로 기술돼 있다. 평균적으로 매년 4분기 출하량이 모든 분기 중 가장 많지만, 지난해 4분기는 그렇지 않았다. 또한 이는 전년 대비 15.4% 감소한 수치다. 옴디아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브랜드가 지난해 4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애플은 지난해 4분기에 7,390만 대의 스마트폰 출하량을 기록했다. 직전 분기보다 41.6% 증가한 수치지만, 재작년 4분기 출하량과 비교하면 13.3% 감소한 수치다. 애플은 2020년 4분기부터 2022년 3분기까지 8분기 연속 전년 대비 성장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4분기에는 생산 차질의 여파로 출하량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시장 점유율 부문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해 선방한 모습이다. 홍주식 옴디아 이사는 “애플은 2022년 1~3분기 전체적인 침체 시황에서도 전년 대비 출하량이 증가한 소수의 브랜드 중 하나지만, 시장 침체 분위기에서의 반전은 없었다.
[헬로티] 시장조사업체인 TechNavio와 한국전자회로산업협회는 2020년까지 세계 전자회로기판 시장이 약 3%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모바일과 스마트폰 시장의 가장 중요한 부문이 전자회로기판이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 증가가 전자회로기판에 대한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사물인터넷, 스마트 시계 및 스마트 안경 등의 웨어러블과 같은 최신 기술의 출현으로 전자회로기판 수요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Getty images Bank 전자회로기판은 전자제품의 부품 간 회로를 연결할 때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보드에 회로를 그려 전기를 통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모든 전자 제품에 쓰인다. 보통 딱딱한 고체 판에 회로를 그린 것을 경성전자회로기판(PCB),구부러지는 특성을 갖춘 것을 연성전자회로기판(FPCB)이라고 한다. 한국전자회로산업협회(이하 KPCA)에 따르면, 2016년 전세계 전자회로기판 시장 규모가 590억 달러로 전망된 가운데, 연간 3.1% 성장하면서 2019년에는 6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조사업체인 TechNavio는 2020년까지 세계 전자회로기판 시장이 3%씩 성장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