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난해 연간 취업자가 2020년에 대한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727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6만 9000명 증가했다. 연간 취업자는 2020년에 전년 대비 21만 8000명 감소하며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8년(-127만 6000명)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으나 2021년에는 취업자가 증가로 돌아섰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021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감소가 컸던 2020년의 기저효과와 비대면·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 변화, 수출 호조 등으로 고용 회복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전년 대비 0.4%포인트(P) 상승한 60.5%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5%로 0.6%P 상승했고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4.2%로 전년 대비 2.0%P 올랐다. 지난해 제조업은 8,000명 감소했고 서비스업은 29만2,000명, 농림·건설업은 1만3,000명 증가했다. 숙박·음식(-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여파에도 최근 우리나라 수출이 호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그 배경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가 발표됐다. 산업연구원(이하 KIET)이 발표한 ‘최근 우리나라 수출 호조의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올 1~5월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한 2484억 달러로, 이는 연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8년의 동기간 수출 실적을 상회한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품목별 수출량에 양극화 현상이 발생했으나, 최근 거의 전부문에 걸쳐 수출이 회복세로 돌아섰다. 올해 1~5월 수출 증가분에 대한 품목별 기여율을 살펴보면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등 상위 3개 품목의 수출 증가 기여율이 전체 수출 증가분의 40% 이상으로 최근 수출 호조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우리나라 수출 호조의 배경 작년 세계 수입은 7.2% 감소했으나, 우리나라 수출은 5.5% 수준으로 감소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수출이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9월을 기점으로 우리나라 수출 반등 폭이 세계 수입보다 큰 것으로 확인됐으며, 주요국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수출 감소폭이 작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헬로티] 11월 수출이 증가로 전환했다. 이달 수출은 45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7% 증가했다. 수입은 375억 달러이며, 이에 따른 무역수지는 80억 달러 흑자였다. 무역수지는 58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수출과 수입은 모두 금액기준으로 2015년 7월 이후 월간 최대 실적이다.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주력 품목의 경우 올 8월을 제외하고 가장 양호한 증감률을 기록했다. 특히 선박을 제외한 12대 품목의 수출은 2014년 12월 이후 23개월 만에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증가했다. 반도체는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와 탑재용량 증가에 따른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역대 5위의 월간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일반기계도 유럽과 중남미로의 수출 호조로 2014년 12월 이후 23개월 만에 두자리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석유화학은 파라자일렌, 합성고무 등 주요 제품의 단가 상승으로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2015년 7월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컴퓨터는 PC 교체수요 증가, 일반 소비자용 SSD 중심의 수요 지속 등으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철강 역시 수출 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2014년 9월 이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