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리서치가 2030년 북미와 유럽 이차전지 시장에서 한국 분리막 업체들의 생산능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SNE리서치의 리포트에 따르면 2030년 북미와 유럽 내 한국 분리막 업체의 생산능력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더블유씨피와 SKIET가 시장을 대부분 장악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분리막 업체들은 중국 내수 시장에만 제한적으로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시장을 제외하면 한국 분리막 업체들의 생산능력 비중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SNE리서치의 주요 분리막 업체 생산능력 예측에 따르면, 한중일 분리막 업체 가운데 한국 분리막 업체의 북미 및 유럽 생산능력 비중은 2030년 기준 75%(LG화학 포함)에 달할 전망이다. SKIET의 생산능력은 연간 38억㎡ 로 33%를 점유할 전망이다. 뒤를 잇는 업체는 더블유씨피다. 더블유씨피는 연간 약 34억㎡로 29%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LG화학이 15억㎡의 생산능력을 갖춰 13%의 비중을 가져갈 것으로 예측된다. 뒤를 잇는 업체는 일본의 아사히카세이다. 아사히카세이는 건식분리막 제조사 셀가드를 포함해 유럽 대신 북미에 진출하여 18억㎡의 생산능력을
[첨단 헬로티] 폴리포르인터내셔널(Polypore International, LP) 자회사 셀가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에 소재하는 리튬 배터리 용 세라믹 코팅 분리막 판매사 MTI코포레이션을 캘리포니아주 북부 지방을 관할하는 미국 지방 법원에 제소했다. 본 소송은 ‘고 에너지 충전 리튬 배터리 용 분리막’이라는 제목의 발명에 교부된 셀가드의 미국 특허 번호6,432,586를 MTI가 침해했다는 내용이다. 소송 대상 특허는 고 에너지 충전 리튬이온 배터리 용으로 셀가드가 최초로 개발한 세라믹 복합 레이어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이다. 본 소송은 MTI가 셀가드의 특허를 침해하는 세라믹 코팅 배터리 분리막 판매를 금지한다는 명령을 구하려는 것이며 피해 보상 요구도 포함됐다. 셀가드 관계자는 “이번 소송은 셀가드의 자산과 고객들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진행된 것”이라며 “우리 회사의 지적 소유권에 대한 불공정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들을 계속 취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셀가드는 리튬 배터리 셀의 성능, 수명과 안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리튬이온 배터리 내 분리막으로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