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종별 항암제 효능 정밀 평가 가능...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구축에 기대” 이상철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전성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는 체내 항암제 전달 과정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생체칩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전했다. 생체칩은 투명한 실리콘 재질과 USB 크기의 실험 공간으로 평가받는 기술이다. 세포외기질, 세포 등을 칩 내부에 배양해 실제 인체 조직과 유사한 형태와 기능을 갖추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양 교수팀이 개발한 3D 생체칩은 암세포와 혈관세포를 3차원으로 공동 배양할 수 있는 상부개방형 기술이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혈관세포로 뒤덮인 생체칩으로 약물과 영양소가 혈관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암과 혈관세포의 배양 시작시기 및 배양 위치조절도 가능해 샘플 회수 및 분석이 편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 교수팀은 혈관 세포를 배제하고 암세포만 배양해거나, 샘플 회수를 위해 칩을 파괴하는 등 그동안 2차원 생체칩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상철·전성윤 교수팀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항암제 내성을 가진 암세포와 기존 암세포의 항암제 효능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혈관이 항암제를 전달하는 첫 매개체로
[첨단 헬로티] 동물실험 통해 혈관 생성 및 혈류 개선 확인, 국제학술지 ATVB 발표 뇌혈관이나 심혈관에 생긴 질환을 고칠 ‘혈관줄기세포’가 개발됐다. ▲(좌측부터) 김정범 교수, 박수용 연구원(사진 : UNIST) 대량으로 배양하면서도 암 유발 가능성이 적은 ‘직접교차분화’ 방식으로 제작했으며, 심장이나 간 같은 생체조직을 3D프린터로 찍어낼 때 필요한 ‘혈관’의 주원료도 될 수도 있다. UNIST 생명과학부의 김정범 교수팀은 피부세포에 혈관발달 유전자 두 종을 주입해 혈관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 세포를 뒷다리 혈관이 막힌 실험쥐에 주입하자, 혈류 흐름이 회복되고 새로운 혈관이 만들어졌다. 혈관 질환의 세포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혈관이 손상되거나 막히면 조직으로 전해지는 산소와 양분전달이 부족해 ‘허혈성 혈관 질환’이 생긴다. 그 치료법으로 혈관 구성 세포를 주입해 혈관을 새로 만들고 혈액 흐름을 개선하는 세포치료가 주목받았다. 특히 혈관줄기세포는 2종의 혈관 구성 세포로 분화할 수 있고 일반 세포와 달리 자가증식이 가능해 대량생산에 적합하므
[헬로티] 생체조직과 무기물의 결합으로 전기 없이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 하이브리드 로봇(이하 바이오 로봇)을 국내 연구진과 해외 연구진이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서강대학교와 미국 하버드대학이 공동으로 설립한 질병 바이오물리 연구센터(서강대 최정우 교수-하버드대 케빈 키트 파커 교수와 박성진 교수 연구팀)는 최근 인간처럼 세포로 구성된 바이오로봇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그림은 (A) 가오리 외부 구조, (B) 가오리 내부 구조, (C) 가오리 형태 바이오 로봇 제작도, (D) 바이오 로봇 구동 원리. 이번에 개발된 바이오 로봇은 생체세포와 무기물이 결합한 가오리 형태의 로봇으로 내부의 동력기관 없이 물속에서 유영이 가능하다. 빛의 자극에 반응하도록 조작한 세포를 로봇의 뼈대에 근육조직으로 배양하고, 근육이 빛의 빈도 등에 따라 수축-이완하게 함으로써 로봇이 움직이는 원리이다. 배양세포로는 쥐의 심근세포를 이용하였으며, 바이오 로봇의 근육 구조와 물속에서 유영하는 움직임은 실제 가오리와도 유사하다. 최근 로봇기술 분야는 인간과 유사한 바이오 로봇 개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 연구는 인간처럼 세포로 구성된 바이오 로봇의 개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