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스파이스웨어가 ‘2020년 보안 이슈 결산 및 정보보호 실태’를 조사해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정보보안 전문가 170명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에서 재택근무에 따른 보안 위협(39%)과 데이터 3법 시행(32%)이 올해의 보안 이슈로 꼽혔다. ‘정보보호 관련 보안 시스템 구축에 있어 주목하는 분야’로는 1위 클라우드(31%), 2위 랜섬웨어(26%), 3위 악성메일(16%) 순으로 응답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업무 디지털화, 데이터 3법 시행 등으로 보안 시스템 필요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정보보호 실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 요인’ 질문에는 인터넷 침해 등 외부로부터 해킹이 38%로 1위를 차지했다. 정보 보호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사항에 대한 설문 결과, 예산 확보(27%)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전문 인력 확보(25%), 담당 인력 운용(16%) 순으로 응답 결과가 나타났다. 보안 이슈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분야는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23%)와 컴퓨팅 자원(20%), 정보보안 서비스(19%)에 대한 응답이 전체 절
[헬로티] 태풍이 온다고 하여 잔뜩 긴장한 밤이었다. 필자가 겪은 제주도에서의 태풍과 서울에서의 태풍은 그 강도와 느낌이 다른 것이었다. 마치, 현재 제조업의 위기가 중소기업과 글로벌 대기업이 다른 것처럼 말이다. 제조업이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무척 크다. 그만큼 제조업이 곧 경제력이 되는 국가라는 의미인 것이다. 가지고 있는 천연 자원이 거의 없어서 인재 양성을 통해 고급 인재를 배출하여 마치 BTS 같은 스타가 나와서 큰 성공을 거두고 글로벌로 진출하여 수출 활로를 개척하게 되면 평범한 대다수의 사람들이 제조업과 서비스업종 경제활동으로 더불어 잘 살게 되어 있는 지리적 환경에 위치하여 우리는 매일매일 살아가고 있다. 그 제조업이 수년 전부터 위기를 맞아가고 있던 터에 결국 코로나가 터졌고, 이 위기는 2~3년을 더 간다고 하니 어려운 시대에 살아가면서 사실 이까짓 태풍쯤은 거시적 국가 관점에서는 큰 상처를 주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밤사이 괜시레 걱정했나 보다. 불황의 시작은 대기업의 글로벌화 우리가 밀어주었던 국산 가전, 스마트 폰, 자동차 등 대기업은 이제 한국에서의 매출이 6~20 % 이내이고 글로벌에서 경제 활동을 하는 자랑스러운 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