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 탄소계 흡착제 대비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유한 다공성 흡착제 개발 탄소중립의 핵심 대안으로 차세대 에너지원인 소형모듈원전(SMR)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 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 위험물질인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화학소재의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이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 상용 탄소계 흡착제 대비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 확보를 통해 방사성 요오드가 호흡기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표면처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원 측은 이번 기술 개발로 인해 방사성 가스 배출을 통한 2차 환경오염을 감소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은 원자력발전소뿐만 아니라 병원, 산업체, 연구기관에서 방사성물질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생성된 방사성 폐기물은 반드시 200L 드럼 안에 포장하여 폐기물 처분장으로 보내는데, 이 과정에서 한 드럼 당 1,500만 원 상당의 처분 비용이 발생하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 종합엔진 제조사 HSD엔진이 선박용 중·저속 엔진을 운영하는 선주사에게 ABB 진단 및 자문 소프트웨어인 테코마 엑스퍼트(Tekomar XPERT)를 제공한다고 16일 밝혔다. 테코마 엑스퍼트(Tekomar XPERT)는 모든 엔진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성능 최적화 플랫폼으로 해운사의 연료 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지원한다. 이번 계약에 따라 HSD엔진은 선주사에게 Tekomar XPERT 소프트웨어를 옵션 사항으로 제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상민 HSD엔진 수석부장은 “HSD엔진은 시장 요구에 대응하고자 다양한 엔진 성능 최적화 및 평가 솔루션을 검토해왔다. 우리는 Tekomar XPERT가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이점을 제공할 것으로 크게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우리는 나아가 엔진의 표준 공급 범위로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터보차저 분야에서 ABB와 이어온 오랜 파트너십을 디지털 솔루션 분야까지 확장해 고객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크리스티앙 코로토(Cristian Corotto) ABB 터보차저 디지털 고객 솔루션 담당 수석 부사장은 “이
[헬로티] ABB 터보차징은 현대글로벌서비스가 고객사에게 장기적인 정비 및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며, 이 일환으로 현대 글로벌 서비스는 전 세계 ABB 터보차저 서비스 스테이션 네트워크와 직접 교류할 수 있게 된다. 터보차저 서비스 역량을 추가함으로써 현대글로벌서비스는 고객사 엔진 및 터보차저까지 포함하는 온전한 생애주기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 ABB, 현대글로벌서비스,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부가 서비스 부문 협력 강화 체결식하는 모습. 현대중공업 엔진기계사업부, 현대글로벌서비스, ABB는 데이터 공유에서도 협력하게 되는데, 높은 수준으로 엔진 효율성을 유지하여 고객사가 운영비를 줄이고 배기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 공유로 축척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향후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품을 개발하여 고객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적으로, 현대중공업 엔진기계 사업부와 ABB는 기존 HiMSEN(힘센) 중형 엔진에 대해 환경 친화적이고 효율적인 업그레이드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하며 고객사의 보다 안정적인 운항을 지원할 예정이다. 현대글로벌서비스 이기동 대표이사는 “ABB 터보차징 사업본부와의 협
[첨단 헬로티] 가장 앞선 환경 기준(EU Stage V)을 충족하는 뉴 볼보 엔진 선보여 세계적인 굴착기 전문 업체인 볼보그룹코리아가 2020년형 14톤급 휠 굴착기 업그레이드 형 신모델 EW140E PRO를 출시했다. ▲EW140E PRO EW140E PRO는 성능과 경제성을 인정받아온 기존 볼보 휠 굴착기 E-시리즈의 기본 사양을 바탕으로 180여년 간 쌓아온 볼보건설기계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응집해 국내에 새롭게 출시한 신제품이다. 새로운 PRO 시리즈의 첫 번째 중형 휠 굴착기로 출시한 EW140E PRO는 보강된 상·하부 프레임과 고중량 카운터웨이트를 최적의 밸런스로 제작·장착해 고부하 작업 및 경사지 작업에서도 안정된 성능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편의 장치를 더해 안정된 품질을 자랑한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앞서있는 저 배기가스와 미세 먼지 저감 기술이 적용된 유럽 배기가스 규제(EU STAGE-V) 기준의 친환경 엔진을 장착하여 가장 앞선 환경 기준을 만족시켜준다. 이뿐 아니라 새로워진 지능형 볼보 유압시스템과 최적의 작업 밸런스로 연동돼 적은 연료 소모로 강력한 작업 성능 및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그 밖에도
[첨단 헬로티] 신규로 발효된 유럽 배기가스 규제(EU STAGE-V) 엔진 장착 장비, 기존 대비 미세먼지 배출 약 40% 감소 글로벌 굴착기 전문 업체 볼보건설기계가 국내 건설기계 제조 업체 최초로 유럽의 5단계 배기가스 규제(EU STAGE-V) 기준을 충족하는 장비를 출시한다. 전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볼보건설기계의 배기가스 저감 시스템 신제품을 국내 법규보다 앞서 출시함으로써 향후 국내 배기가스 환경 법규를 대비할 수 있는 표준 장비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 ▲볼보건설기계가 국내 건설기계 제조업체 최초로 유럽의 5단계 배기가스 규제 기준을 충족하는 장비를 출시한다. 볼보건설기계 생산 라인 전체에 걸쳐 출시되는 EU Stage V 엔진 장착 장비들은 기존 대비 미세먼지 배출을 약 40% 감소시킨다. 2019년부터 유럽연합(EU)이 발효한 5단계 배기가스 규제의 기준은 지금까지 건설기계 업계에서 적용된 규제 중 가장 앞서 있는 엄격한 배기가스 배출 규제 법규다. 새로운 유럽 배기가스 규제(EU STAGE-V) 기준은 유럽에서 판매되는 건설기계를 대상으로 허용된 미세먼지 배출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 기준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엔진에 장착되는 배기 후처리
[첨단 헬로티] 현재 검증된 델파이 테크놀로지스 시스템의 진보 델파이 테크놀로지스는 5월 16일부터 이틀 간 2019 비엔나 모터 심포지엄에서 고비용의 엔진 개량 없이도 최신 기술인 350bar 시스템 대비 최대 50%까지 입자상 물질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500+bar GDi 시스템을 새롭게 공개했다. 23 나노미터 이하의 크기를 포함한 입자상 물질 수의 저감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더욱 더 엄격해지고 있는 미래 글로벌 배출가스 규제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엔진 배기가스 배출량의 감소는 촉매 활성화 이전의 차량 배출가스를 감소시키고, 값비싼 후처리 시스템의 필요성을 줄어들게 한다. ▲Delphi Technologies GDi GFP3 500+bar pump 또한, 실주행 배출가스 시험모드(RDE, Real Driving Emissions)를 포함한 배출가스 시험모드에서 배출가스를 줄여 준다. 2016년 말, 델파이 테크놀로지스는 업계 최초 350bar GDi 시스템의 생산을 시작하면서 당시의 업계 표준 200bar GDi 시스템 대비 미세먼지 배출량을 최대 70%까지 감소시켰다. 델파이 테크놀로지스 가솔린 연료분사시스템 부문의 엔지니어링 총괄 책임자
[첨단 헬로티] 크레젠이 지난 26일 엔진 전처리 연료 및 배기가스 저감장치 신기술 검증 공개 테스트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WIPS 2018년 12월 14일 조사자료에 의하면, '세 번째의 기적(Miracle 3)'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엔진 전처리 연료 및 배기가스 저감' 기술로서, 기존의 후처리방식(DPF, SCR, EGR)에서 제거하지 못한 유해가스를 엔진 전처리방식으로 효율을 증가시켜 연소율을 높여 연료 및 배기가스를 20% 이상 저감시키는 기술이다. 신개념 엔진 전처리방식은 탄소섬유의 방사에너지를 이용해 엔진의 열손실 량만큼 보완하고, 연소실 환경을 최적화시켜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또한, 연료 및 유해가스를 저감할뿐 아니라 출력을 상승시켜 환경부 산하 환경기술시험원에 환경 NET 신기술 인증을 신청했다. ▲엔진 전처리 연료 및 배개가스 저감기술의 원리 크레젠은 신청 기술이 상용화됐을 때 에너지 절감 및 환경 오염방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검증을 위해 공개 테스트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크레젠 박흥수 대표는 그동안 유로4, 유로5, 유로6, 엔진별 데이터를 개발한 뒤 기술 검증을 위해 국내 및 중국 북경, 하얼빈, 상해,
[헬로티] LG화학이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확고한 일등 지위 구축을 위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 LG화학은 2020년에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7조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은 현재까지 총 28개의 글로벌 자동차 업체로부터 82개의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현재 누적 수주 금액이 36조원을 돌파했다. 수주 금액 중 2015년까지 발생한 누적 매출 약 2조원을 제외하면 수주 잔고는 34조원 수준이다. 특히, 올해 말부터 출시되는 2세대 전기차(300km이상 주행) 시장에서만 30조원 이상의 수주를 기록해 앞으로 본격적인 성장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18년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올해 1조2천억 원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3조7천억 원의 매출이 예상되며, 향후 2020년 7조원 등 연평균 55% 이상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LG화학 관계자는 “초기 전기차 배터리 프로젝트의 경우 시장 여건이 미비해 수주 금액의 60~70%가 매출로 실현됐으나, 최근 전기차 시장 여건이 개선되면서 이 비율이 80~90% 수준까지 올라갔고, 프로젝트에 따라 추가 공급 요청 사례도 늘고 있다”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