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랜드코리아가 무선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제품을 스캐닝 및 효율적 추적이 가능한 산업용 핸드 바코드 스캐너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거치대에서 최대 150m까지 떨어져도 스캐닝이 가능해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돼 있는 각종 제품의 추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줘 업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랜드 AIDC의 한국 지사인 뉴랜드코리아는 지난해 선보인 최첨단 산업용 핸드 바코드 스캐너 'NVH220'의 무선용 버전인 ‘NVH220B’를 한국에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NVH220B'는 제조 환경의 복잡한 바코드 스캐닝을 위해 고안된 뉴랜드의 기술이 집약된 제품으로, 특히 무선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이동성을 향상시켜 광범위한 지역에 있는 제품을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 탑재된 무선 기능으로 부두에서의 물품 적재와 같이 역동적인 배송지역에서 재고 및 선적을 효과적으로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공장 전체의 장비를 현장에서 검사할 수 있는 ‘유지관리 추적’도 용이하다. 또한 창고내에서나 생산라인에 상관없이 인벤토리 관리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NVH220B는 코드 길이에 제약 없이 다양한 검사소 간 이동을 용
에스엔에이는 티피링크 코리아 유한회사와 조달 총판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공공시장 비즈니스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달 총판 파트너십 체결에서 양사는 ▲티피링크의 조달 제품 비즈니스 강화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 협업 ▲양사 파트너 에코시스템 구축에 대한 협업 ▲공공 네트워크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 구축 등을 이어 가기로 합의했다. 티피링크는 국내 공공 비즈니스 강화를 위해 협력사를 발굴하던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즈니스를 조화롭게 이끌어 오고 있는 에스엔에이를 발견하고 한국 공공 비즈니스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제안했다. 에스엔에이 역시 공공 시장의 니즈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물색하던 중, 티피링크의 기술력과 다양한 고품질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제품을 접하고 본 조달 총판 체결을 성사시켰다. 에스엔에이는 조달에 등록되어 있는 티피링크의 네트워크 스위치나 무선랜액세스 포인트 등의 제품을 우선 판매하고 오마다 클라우드와 유,무선 네트워크 제품들을 순차적으로 공공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에스엔에이 이원호 대표는 이번 조달 총판 체결식에서 “뜻하지 않은 기회에 좋은 파트너를 만나게 되어 기쁘다”며, “기술력을 갖춘 티피링크의 제품과 에스엔에이의 영업력이 상당
HPE 아루바, 유무선 네트워크 제품 및 서비스 공급으로 중소기업 시장 확대 및 적극 공략나서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공유 오피스 플랫폼 패스트파이브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비즈니스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전국 40개 지점을 보유한 국내 공유 오피스 업계 1위 기업 패스트파이브의 누적 이용 기업(고객사)은 1만 6,000여개로, 다수의 기업이 공유 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패스트파이브의 모든 오피스 내 네트워크 환경은 HPE 아루바의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구축 중이다. HPE 아루바는 패스트파이브에 입주한 스타트업 기업 중 규모가 성장하여 독자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패스트파이브가 론칭한 IT 컨설팅 서비스 ‘파이브클라우드’와 함께 사업에 필수적인 다양한 공간 서비스, 특히 네트워크 분야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며 고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패스트파이브는 현재 HPE 아루바를 포함해 여러 IT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HPE 아루바와 협력하여 입주 기업에 빠르고 안정적인 아루바의 네트워크 인프라와 효율
신규 Wi-Fi 7 프론트엔드 모듈로 RF 프론트엔드 스마트폰 영역 너머로 더욱 확장 퀄컴 테크날러지가 최상의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경험을 제공하는 신규 RFFE 모듈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확장된 제품군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6E와 차세대 표준인 와이파이 7용으로 설계됐다. 이 모듈은 스마트폰을 넘어 자동차, 확장현실, PC, 웨어러블 모바일 광대역 및 사물인터넷(IoT)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기기 부문을 지원하도록 설계됐다. 퀄컴은 회계연도 2021년 기준 핸드셋 RFFE 부문에서 업계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이번에 선보인 신규 RFFE 모듈은 퀄컴이 보유한 핸드셋 부문에서의 모뎀-안테나 솔루션 리더십을 자동차 및 IoT 분야로 확장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글로벌 RFFE 매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오늘날 퀄컴의 커넥티비티 칩을 탑재하여 제품을 발표 또는 개발 단계 중인 대부분의 5G 자동차, 5G 고정무선액세스, CPE 및 5G PC 기기에는 퀄컴의 RFFE가 탑재된다. 또한 퀄컴 RFFE는 웨어러블과 같은 소비자 IoT 기기에 점점 더 많이 채택되고 있다. 와이파이 RFFE 모듈은 와이파이 베이스밴드 칩과 안테나
산업용 IoT 기기 수요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늘어남에 따라, 기업들은 MCU 개발에서 ‘무선’과 ‘저전력’이라는 두 키워드에 초점을 맞췄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는 무선과 저전력을 기반으로 STM32 제품군을 선보이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해왔다. 이에 ST 이준호 차장을 만나 STM32 무선 제품을 비롯해 시장 동향에 대비한 비즈니스 전략을 들어봤다. ST MCU만의 차별화한 기술력과 강점은 무엇인가요? ST MCU의 차별화된 경쟁 포인트로는 강력한 처리 성능, 초 저전력 설계 그리고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통해 확보된 많은 레퍼런스와 여러 파트너사와 구축된 에코시스템, 그리고 직관적이고 편리한 개발환경을 꼽습니다. 여기에 천 개가 넘는 파트 넘버를 제공하고 있어 고객 입장에서 선택의 폭이 넓고,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개발 툴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대표적으로 STM32Cube 에코시스템은 STM32를 구동하는 초기화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플래시 프로그래밍, 시스템 모니터링 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는데 기여합니다. 이뿐 아니라 인공지능, 그래픽
화웨이가 MWC 2022에서 3세대 TDD Massive MIMO 제품과 FDD 초광대역 다중 안테나 제품 등 최신 무선 솔루션을 공개하고 새롭게 출시한 지능형 RAN아키텍쳐를 소개했다. ‘5G기가버스 사회를 위한 혁신’ 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 간 빈 화웨이 무선 네트워크 제품 부문 부사장은 “화웨이의 3세대 Massive MIMO 및 FDD 초광대역 다중 안테나 포트폴리오는 네트워크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이통사의 고품질 친환경 5G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된 화웨이의 3세대 TDD Massive MIMO 시리즈는 3세대 MetaAAU와 BladeAAU 시리즈를 포함하며, 업계 유일하게 이전 세대보다 안테나 요소를 192개에서 384개로 두 배 증가시켰다. 3세대 MetaAAU는 초대형 안테나 배열과 어댑티브 고해상도 터보 빔포밍 알고리즘을 사용해 대용량 다중 입출력장치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FDD 초광대역 다중 안테나 제품군의 새로운 솔루션으로는 4T4R RRU와 8T8R, EasyMacro 3.0, Book RRU 3.0을 발표했다. 먼저 업계에서 가장 초경량 광대역을 지원하는 제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Empowering Innovation Together(협업을 통한 혁신) 프로그램의 2021시리즈 출시 발표와 새로운 팟캐스트 ‘The Tech Between Us(사람을 잇는 기술)’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이번 시리즈는 5G부터 오늘날의 주요 기술 트렌드들을 팟캐스트, 비디오, 기사, 블로그 및 인포그래픽 등 다양한 형식들로 더 심도 깊게 다룰 예정이다. The Tech Between Us 팟캐스트의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5G 기술에 대해 집중 조명하며, 마우저 웹사이트, 알렉사(Alexa), 애플 팟캐스트, 구글 팟캐스트, 아이하트라디오(iHeartRadio), 판도라(Pandora) 및 스포티파이(Spotify)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렌 스미스(Glenn Smith)마 우저 일렉트로닉스 사장 겸 CEO는 “연결(connection)이 완전히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이 세상에서, 기술자, 엔지니어, 혁신가들의 세계를 이끄는 혁신 마인드에 힘입어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시리즈는 매달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신기술 트렌드를 탐구한
[헬로티] 코그넥스가 고성능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 ‘데이터맨(DataMan) 8700’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처 : 코그넥스 ‘DataMan 8700’ 시리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개발된 차세대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로서, 튜닝이나 별도의 교육 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코그넥스는 전했다. DataMan 8700 시리즈는 코드의 중요한 요소가 누락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까다로운 DPM(직접 부품 표시) 및 라벨 기반 코드를 즉시 판독할 수 있다. 오일에 잘 견디고 방수 플라스틱으로 설계된 이 리더기는 오일과 먼지, 수분으로 인한 가장 혹독한 제조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DataMan 8700 리더기에는 내장 OLED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돼 구성 기능 버튼을 이용해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이를 통해 무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수명 표시 등을 빠르게 확인하고, 코드 데이터 읽기 작업을 진행하는 등 별도 PC에 연결하지 않아도 빠르고 직관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광범위한 산업용 프로토콜 및 무선 통신 옵션을 지원해 어떤 시설에서도 원활하게 컴퓨터와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고성능 커넥티비티를 구현하는 Wi-Fi 6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인피니언 홈 엔터테인먼트에서 의료 기술과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에 이르기까지 생활 모든 전반에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가정에서나 이동 중에 사용되는 커넥티드 컨슈머 디바이스의 수가 증가하면서 무선 커넥티비티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인피니언은 새로운 AIROC Wi-Fi 6/6E and Bluetooth 5.2 제품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보안적이면서 편리한 무선 커넥티비티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의 혼잡을 줄인다고 전했다. 토마스 로스텍 (Thomas Rosteck) 인피니언 커넥티드 보안 시스템 사업부 사장은 “스마트홈에 커넥티드 컨슈머 디바이스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Wi-Fi 6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연결과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인피니언은 디바이스 제조사들이 IoT를 구현하는 스마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전력반도체, 시큐어 커넥티비티 및 소프트웨어까지 필요한
[헬로티] 무선 프로토콜 디코딩 솔루션으로 동종 최고의 키사이트 5G 플랫폼 강화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이하 키사이트)가 4G, 5G 및 기타 무선 기술의 프로토콜 디코딩과 상호 운용 솔루션 부문 선두 기업 중 하나인 샌졸의 인수 작업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출처 : 키사이트 5G 기술이 발전하고 사설 5G 네트워크 배포가 확대되는 가운데, 고객들은 복잡한 통신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샌졸은 칩셋 제조업체부터 통신 사업자와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까지 통신 생태계의 다양한 고객들이 테스트 중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간 문제를 찾아서 해결하고 통신 품질을 보장하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키사이트는 샌졸의 인수로 발전하는 통신 기술 전면에서 종합적이고 혁신적인 5G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는 궁극적인 목표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샌졸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제품은 키사이트의 5G 포트폴리오를 보완하고, 모뎀, 칩셋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고객들을 위한 키사이트 솔루션을 향상 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키사이트와 샌졸은 통신 표준으로
FPGA가 제공하는 기능과 ASIC의 비용 특성 모두 갖춰 이전 세대 제품과 비교해 저녁 소비 50% ↓, 컴퓨터 성능 2배 ↑ ▲ 징크 RFSoC DEF의 모습. (사진 : 자일링스) [헬로티 = 김동원 기자] “징크(Zynq) RFSoC DEF는 이전 세대 제품과 비교해 전력 소비를 50% 절감하고, 컴퓨팅 성능은 2배 높여준다. 무선을 위한 칩인 이 솔루션에 대해 진정한 혁신이라고 말하고 싶다.” 가일즈 가르시아(Gilles Garcia) 자일링스 유선 및 무선 그룹, 비즈니스 수석 디렉터의 말이다. 그는 11월 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롭게 출시한 징크 RFSoC DEF를 소개했다. 하드와이어드된 디지털 프론트엔드(DFE: Digital Front-End) 블록과 적응형 로직을 통합한 이 솔루션은 프로그래머블 및 적응형 SoC의 시장 출시 시간 단축과 유연성 및 확장성의 이점, 하드와이어드된 블록을 이용하는 ASIC의 비용 경제성 간의 최적의 기술 균형을 제공한다. ▲ 가일즈 가르시아(Gilles Garcia) 자일링스 비즈니스 수석 디렉터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롭게 출시한 징크 RFSoC DEF를 소개했다.
[첨단 헬로티] 배터리를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많은 제품이 충전 커넥터를 사용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어떤 제품은 민감한 전자 장치를 가혹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세척이나 소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밀봉 차폐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또 어떤 제품은 크기가 너무 작아서 커넥터를 포함시킬 수 없고 이동이 잦거나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선을 사용해서 충전하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다. 바로 이러한 경우에 무선 충전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가치, 신뢰성, 견고성을 높일 수 있다. 전원을 무선으로 제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수 인치 미만의 짧은 거리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용량성 결합과 유도 결합이다. 이 글에서 설명하는 솔루션은 유도 결합을 사용한다. 통상적인 유도 결합 무선 전원 시스템은 송신 코일로 ac 자기장을 생성하면 수신 코일로 교류 전류가 유도된다. 트랜스포머 시스템과 같은 원리이다. 트랜스포머 시스템과 무선 전원 시스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에어 갭이나 여타 비자성 소재의 간극에 의해서 트랜스미터와 리시버가 분리된다는 것이다. 또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에 결합 계수가 대체로 매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자사 5G 적합성 툴세트(5G Conformance Toolset)가 5G NR(New Radio) 디바이스 인증용 솔루션으로서 PTCRB 인증을 획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PTCRB는 업계를 선도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로 구성된 인증 포럼으로, 에코시스템 전반에 걸쳐 5G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용화를 가속화하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인증 획득에 대해 키사이트는 “자사와 퀄컴의 자회사인 퀄컴 테크놀로지스와의 오랜 협업 끝에 달성한 결과이며, 두 기업은 3GPP에서 규정한 RF 및 프로토콜 적합성 테스트 사양의 유효성과 동작의 검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PTCRB와 같은 인증기관에 채택된 적합성 테스트들은 상용 5G 디바이스가 최신 3GPP 릴리즈 15 사양을 준수하고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며 덧붙였다. 또한, “5G 적합성 툴세트는 UXM 5G 무선 테스트 플랫폼과 5G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솔루션 포트폴리오 일부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디바이스 제조업체가 sub-6GHz 주파수에서 5G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최
어드밴텍은 IoT 무선 게이트웨이(WISE-3310) 개발에 성공했다. WISE-3310은 ARM Cortex-A9 I.Mx6 듀얼 1GHz 기반의 플랫폼이다. 최대 200 WISE-Node 디바이스와 연결이 가능한 무선 메쉬 솔루션 기술을 적용했으며, 4GB eMMC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안정성이 높고 초저전력 네트워크로 상호간 간섭에 대해 견고하다. 이 제품은 또 MQTT, HTTP, CoAP와 같은 복합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WISE-PaaS 서비스를 통한 시스템 적용을 위해 WISE-에이전트와 통합된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Getty images Bank LED조명 전문 기업인 쏠라사이언스가 IoT 무선 절전시스템 기업 ㈜커누스와 공동으로 IoT 무선 지능형 주차장 시스템을 개발했다. 사람이나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무선 센서가 장착된 이 시스템은 주차장 출입구 및 주요 동선에 설치돼 구역별로 자동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분전함과 인터넷 사이에 설치된 별도의 허브(Coordinator)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마트폰이나 관제서버를 통해 직접제어 또는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이 시스템에 장착되는 무선 센서들은 배선공사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한 번의 배터리 교체로 2~3년 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신축 설비의 공사 비용과 기간을 최소화했으며, 기축인 경우에는 시스템의 이전, 확장, 축소 등에 용이하다. 또한 단거리통신 부분에 2.4GHz, 중장거리통신 부분에 424MHz 무선통신방식을 모두 적용하고 있어 구축 방식에 따른 활용도가 높다. 예컨대 특정 건물 안에서 모든 층 모든 구역을 연결하는 것은 물론, 서로 다른 건물 간에도 자유롭게 연결하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송성근 쏠라사이언스 대표는 “이 시스템은 쏠라사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