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층 가공 응용 서비스 전문 기업인 더블에이엠이 22일 데스크톱 3D프린팅 기업 얼티메이커와 공식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더블에이엠은 국내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3D프린팅 시제품의 제작 및 제조용 툴과 최종 사용 파트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얼티메이커는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글로벌 3D프린터 기업으로 지난 5월 적층 제조의 도입 속도를 높이기 위해 데스크톱 3D 프린팅 업체인 메이커봇과 합병 계약을 발표한 바 있다. 얼티메이커의 대표적인 모델인 얼티메이커S3와 S5, S5 Pro 번들은 듀얼 노즐을 활용해 수용성 서포트인 PVA(Polyvinyl Alcohol)를 활용할 수 있다. 최적화 된 터치스크린을 통한 직관적 사용, 필라멘트 유량 센서 장착, 다양한 액세서리 제공 등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프로토타입 제작부터 주문형 툴링 및 최종 사용 부품 생산까지 응용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기존 얼티메이커S5 모델에 적용해 활용이 가능한 메탈 익스팬션 킷을 서비스하기 시작하면서 교육용과 데스크톱 시장에서 벗어나 BASF Ultrafuse 17-4 PH Stainless Steel 필라멘트를 통한 금속 3D 프린팅까지 영역을 확
헬로티 김진희 기자 | 3D 프린팅 선도 기업 스트라타시스의 자회사 메이커봇이 클린 에어(Clean Air) 스마트 필터링 시스템을 새롭게 선보였다. 클린 에어 시스템은 업계 안전성, 지속 가능성 및 규정 준수에 부합하는 3D 프린팅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트라타시스와 메이커봇의 노력의 일환으로 탄생한 신제품이다. ‘메이커봇 클린 에어(MakerBot Clean Air) 시스템’은 스마트 컨트롤 HEPA 필터링 시스템으로 메이커봇 METHOD®와 METHOD X® 3D 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메이커봇 클린 에어 시스템에는 프린팅 공정 중 발생하는 초미세 입자를 걸러 내기 위한 HEPA 필터가 포함되어 있다. 메이커봇 내부 테스트 결과, 클린 에어 시스템 없이 프린팅 작업을 했을 때와 비교해 최고 95%까지 초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OD의 직관적인 워크플로와 원활하게 통합되는 이 시스템은 자동으로 HEPA 리드를 제어하고 주변 환경, 챔버 온도와 모델 재료를 고려한다. 메이커봇 나다브 고쉔(Nadav Goshen) CEO는 "메이커봇은 3D 프린팅 사용 범위를 전 세계로 확대하는 동시에 안전성 면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을 보장하고자
[헬로티] 메이커봇은 교사와 학생들이 3D프린팅을 더욱 쉽게 경험하도록 구글 포 에듀케이션(Google For Education) 통합 교육 솔루션 이니셔티브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사진 : 메이커봇 메이커봇의 출력 준비 및 관리 솔루션인 메이커봇 클라우드(MakerBot Cloud) 플랫폼은 구글 포 에듀케이션과 통합되어 교사와 학생들을 위한 3D프린팅 워크플로우를 제공한다. 기존에 교사들이 3D프린터를 교육용으로 활용할 때 학생들이 제출한 파일과 출력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었다. 이제 메이커봇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메이커봇 3D프린터에서 파일 공유, 승인, 대기 및 직접 출력을 할 수 있다. 즉, 교사들은 교실에서만이 아니라 집에서도 메이커봇 클라우드로 학생들이 제출한 출력물을 확인할 수 있다. 메이커봇 클라우드와 구글 포 에듀케이션의 통합으로 인해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익숙한 도구로 3D프린팅 교육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구글 아이디를 통해 클릭 한 번으로 메이커봇 클라우드에 접근할 수 있다. 교사들은 자신의 출력 작업목록을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에 직접 공유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3D프린팅 과제를 메이커봇 클
[헬로티] 메소드 플랫폼 확장을 통해 더 많은 소재, 애플리케이션 및 시장 지원 메이커봇은 신제품인 ‘메소드 카본 파이버’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메소드 카본 파이버 프린터로 출력된 탄소섬유소재 부품 새롭게 출시된 메소드 카본 파이버 프린터는 엔지니어가 제조 도구, 지그, 고정구, 최종 부품을 더 정밀하고 내구성 있게 출력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금속을 대체할 수 있다. 메소드 플랫폼에 새롭게 추가되는 최신 메소드 카본 파이버는 높은 강도와 내열성을 가진 탄소 섬유 강화 나일론을 출력할 수 있다. 메소드 및 메소드 X 카본 파이버 프린터에는 연마재 처리에 최적화된 복합 압출기가 사전 구성돼 있다. 기존의 메소드와 메소드 X 3D프린터에 추가 구성이 가능한 이 압출기에는 강화된 메탈 드라이브 기어, 메탈 필라멘트 스위치와 교체가 가능한 경화 스틸 노즐이 장착돼 있다. 해당 제품으로 메이커봇 나일론 카본 파이버 소재와 메소드 플랫폼이 지원하는 모든 모델의 소재를 출력할 수 있다. 새로운 메이커봇 나일론 카본 파이버 소재는 차량용 브라킷과 검사 게이지, 로봇 엔드 이펙터와 같은 제조 도구 및 언더후드 등에 사용되는
[첨단 헬로티] 메이커봇은 신속하게 확장 중인 'METHOD X' 3D프린터의 재료 포트폴리오에 PC-ABS, PC-ABS FR 소재를 추가한다. ▲메이커봇 PC-ABS 헤더 이 두 가지 소재가 새로 추가됨에 따라 메소드 X에서 출력할 수 있는 재료는 총 10개가 되며, 엔지니어들은 메소드 X를 통해 보다 광범위한 적층 제조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PC-ABS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는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높아 자동차 및 전자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하기에 최적의 제품이다. ABS에 폴리카보네이트를 합성하면 단일 ABS 소재보다 높은 내구성 및 내열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며, 사출 성형 시 자주 사용된다. 그 중 PC-ABS FR(Flame-retardant)은 난연성 등급 기준인 UL-94 V0 기준을 충족하는 재료로서, PC-ABS FR은 자동차 및 기차 부품, LCD 패널, 가전제품, 전자식 인클로저, 핸들, 어댑터 및 충전기, 휴대용 기기 및 화장품 용기와 같은 용도에 적합하다. PC-ABS는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는 밀폐형 가열 챔버에서 성공적으로 출력된다. 가열 빌드 플레이트만 채택한 데스크탑 3D프
[첨단 헬로티] 데스크탑 3D 프린터 분야의 선도 기업인 메이커봇은 ‘메이커봇 랩스 실험용 압출기’가 상용화 되어 구매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압출기는 메소드 프린터를 개방형 재료 플랫폼으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산업용 3D 프린팅 플랫폼에서 다양한 재료로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난해 11월에 발표한 메소드 3D 프린터를 위한 ‘재료개발 프로그램(METHOD Materials Development Program)’ 발표 이후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재료개발 프로그램’은 세계적인 필라멘트 공급업체들이 메이커봇 랩스 실험용 압출기의 재료공급자격을 갖출 수 있게 해준다. 재료개발 프로그램 발표 이후 메이커봇은 자빌, 폴리메이커, 킴야, 미쓰비시케미컬과 같은 기존 파트너사들 외에도 바스프 3D 프린팅 솔루션, 레보스 그룹을 추가했다. 메이커봇의 제품개발부 부사장인 요한 틸 브로는 “메소드 프린터를 개방형 재료 플랫폼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는 탁월한 도구를 제공한다”며, “엔지니어들은 이제 경쟁사의 데스크탑 3D 프린터보
[첨단 헬로티] · 메이커봇이 자사 신제품인 메소드 3D프린터를 위한 ‘재료개발 프로그램’과 ‘메이커봇 랩스 실험용 압출기’를 발표했다. 세계적인 필라멘트 공급업체와 협력하여 다양한 엔지니어링 등급의 재료를 지원하는 3D 프린팅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메이커봇은 메소드 3D 프린트를 위한 메이커봇 랩스에서 하기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 현재 자빌(Jabil), 킴야(KIMYA), 폴리메이커(Polymaker), 미쓰비시케미컬(Mitsubishi Chemical)과 협력 중에 있다. 이 기업 제품들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자빌 PETg ESD는 민감한 전자제품에서 사용하는 부품을 간단하게 출력할 수 있는 정전기방지(ESD) 재료이다. - 킴야 ABS 카본은 일반 ABS에 비해 강성과 압축 강도를 높이기 위해 탄소섬유가 30% 함유된 ABS 복합 재료이다. - 킴야 ABS ESD는 탄소 나노튜브로 채워진 ABS 기반 ESD 재료로 제조 고정장치 및 전자 인클로저와 같은 정전기 방지가 필요한 용도에 이상적이다. - 킴야 PETG 카본은 탄소섬유가 보강된 PETG로 일반 PETG보다 강성이 우수하고 인장 강도가
[첨단 헬로티] 메이커봇, ‘메소드’ 플랫폼에서 총 8가지 산업용 재료 지원 스트라타시스의 자회사인 메이커봇은 자사 재료 포트폴리오에 나일론 재료를 새로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메이커봇은 자사의 ‘메소드(METHOD)’ 플랫폼에서 총 8가지 재료(메이커봇 Tough, PLA, PVA, ABS, ASA, PETG, 나일론, 스트라타시스 SR-30)를 지원해 산업 적층 제조의 접근성을 지속해서 확대해가고 있다. ▲메이커봇 메소드 플랫폼에서 지원되는 재료 8가지로 제작한 샘플 높은 내마모성에 최적화된 나일론은 자동차, 산업용 장비, 소비재 산업 내에서 시제품 또는 최종 사용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에 용이한 소재다. 무엇보다 나일론은 우수한 탄력성, 높은 인장 및 충격 강도를 자랑한다. 따라서 제조 도구, 고정장치, 연결 부품, 스냅핏, 힌지, 기어, 공기 흡입구와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힘을 가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이러한 부품은 마찰로 인해 열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부품과의 접촉으로 인해 높은 유연성을 요구한다. 이에 나일론은 우수한 열 특성을 갖춰 최대 180℃ 고온의 내열성을 지원한다. 나일론은 습기에
메이커봇, 스트라타시스 기술 등에 업고 시장 확대 중 2013년 메이커봇은 스트라타시스에 인수됐다. 2009년 설립한 후 보급형 3D 프린터에 주력했고, 스트라타시스로서는 제품 라인업 확대 측면에서 메이커봇이 꼭 필요한 기업이었던 것이다. 최근 메이커봇은 두 개의 헤드를 사용하는 스트라타시스의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메써드(METHOD) 시리즈 라인업을 확장했다. 이로써 기존 스트라타시스 고객까지 아우를 수 있게 됐다. 지난 10월 22일 개최된 ‘2019 한국산업대전’에서 메이커봇 한국 공식 총판 기업인 바른테크놀로지의 곽석민 부장과 3D 프린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메이커봇은 어떤 기업인가? A. 메이커봇은 미국 오바마 정부 때 국가에서 투자해 만든 3D 프린터 제조기업이다. 스트라타시스 특허가 풀린 후 3D 프린터 시장이 확산될 것을 예견하고 발빠르게 준비한 기업이다. Q. 주요 제품은? A. 리플리케이터(Replicator)라는 기본 제품 브랜드가 있는데, 그 중 ‘리플리케이터 플러스’가 보급형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 산업인력관리공단의 3D 프린팅 운용 기술사 선정 장비이기도 하다. &
[첨단 헬로티] 메이커봇이 ‘2019 머신소프트(MachineSoft, 제조IT서비스전)’에서 고성능 3D프린터를 선보였다. 메이커봇의 한국 공식 총판 기업 바른테크놀로지는 머신소프트에 별도의 부스를 마련, 메이커봇의 3D프린터 제품을 전시했다. ▲ 메이커봇의 한국 공식 총판 기업 바른테크놀로지는 머신소프트에서 메이커봇의 3D프린터 제품을 전시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바른테크놀로지가 전시한 제품은 메이커봇 최초의 산업용 3D프린터 ‘MAKERBOT METHOD’와 메이커봇의 신제품 ‘REPLICATOR MINI+’다. MAKERBOT METHOD는 전용 필라멘트와 압출기를 사용한다. 이 프린터는 메이커봇의 접근성과 스마트워크플로우 기능을 결합해 과거 데스크톱 3D프린터의 단점을 보완했고, 치수 정밀도와 안전성을 보장한다. ▲ 바른테크놀로지는 메이커봇의 3D프린터를 전시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바른테크놀로지 관계자는 “MAKERBOT METHOD의 주요 기능으로는 출력 간 열순환 시스템, 이중 고성능 압출기, 정밀 용해 PVA 서포트, 견고한 금속 프
[첨단 헬로티] 올 엑시스 로보틱스, 사내 3D프린팅 솔루션 통해 리드 타임과 비용 절감 및 생산 효율성 증대 데스크톱 3D프린터의 선구자인 메이커봇은 턴키 로봇 제공업체인 올 엑시스 로보틱스(All Axis Robotics)가 고객과 레거시 장비를 위한 맞춤형 툴링 부품 생산을 위해 ‘메이커봇 메소드(METHOD) X’를 자동화 프로세스에 도입했다고 밝혔다. ▲맞춤형 툴링 부품 제작을 위해 메이커봇 메소드 X 3D프린터를 도입한 올 엑시스 로보틱스 올 엑시스 로보틱스의 엔지니어링 팀은 맞춤형 툴링 부품을 제작하기 위해 메이커봇 3D프린터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맞춤형 로봇 엔드 이펙터 설계의 리드 타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더 많은 제조 시설이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시장의 증가하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 새로운 장비를 도입하려는 가운데 올 엑시스 로보틱스는 신속한 전환 시간을 지원하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여 경쟁업체들보다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올 엑시스 로보틱스의 엔지니어들은 메이커봇 메소드 X 3D프린터의 내구성이 강한 실 ABS 재료를 사용해 맞춤 부품 샌더를 설계하고 제작했다. 로봇 샌더는 작업 시간이 오래 걸
[첨단 헬로티] 데스크톱 3D프린터 전문기업 메이커봇이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신재료를 추가해 자사 재료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고 발표했다. ASA는 메이커봇의 ‘메소드(METHOD)’ 3D프린터용 정밀 재료 라인업 중 하나로 자동차, 전력 및 유틸리티, 농업, 석유 및 가스, 대중교통 산업과 같이 열악한 환경을 견뎌야 하는 실외 응용 제품에 사용하기에 이상적이다. ▲ 다양한 실외 응용 제품에 최적화된 메이커봇의 ASA 재료 ASA는 내후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등급의 소재로 실외 전기 박스 덮개, 원예 장비 및 자동차 사이드 미러 하우징과 같은 실외 응용 제품에 적합하다. ASA는 최대 섭씨 100도의 순환 가열 챔버를 갖춘 강력한 제조 워크스테이션인 ‘메소드 X’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산업 수준의 재료에 우수한 출력 환경을 제공한다. 메이커봇의 모회사인 스트라타시스의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메소드 X는 엔지니어가 전통적 제조 방식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한 치수의 생산 등급 부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고안된 3D 프린터 제품이다. ASA는 ABS와 유사하지만, 자외선(UV), 장
[첨단 헬로티] 데스크톱 3D프린터 전문기업 메이커봇이 전통적인 제조 방식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제조 워크스테이션 ‘메소드 X(Method X)’를 출시했다. 메소드 X는 섭씨 100도의 챔버에서 실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료를 지원하며 복잡하고 내구성 있는 부품의 치수 정확도 및 정밀성을 구현하기 위해 스트라타시스 SR-30, 수용성 서포트 재료를 활용한다. ▲ 메이커봇 메소드와 메소드 X 3D 프린터 메소드 X 3D 프린터는 여타 데스크톱 3D 프린터 업체에서 사용하는 변형된 ABS보다 최대 15도 더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으며, 최대 26% 더 견고하고, 최대 12% 더 강한 실제 ABS를 출력할 수 있다. 메소드 X에서 출력된 실 ABS 부품은 가열 챔버가 없는 일반적인 데스크톱 3D 프린터에서 변형된 ABS를 출력 시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뒤틀림 또는 균열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데스크톱 3D 프린터는 출력이 쉽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ABS 고유의 열적 및 기계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가열성 제작 판을 사용 시 재료의 높은 수축률로 인해 부품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첨단 헬로티] 데스크톱 3D프린터의 선구자인 메이커봇(MakerBot)이 3월 12일부터 16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제24회 국제 금형 및 관련기기전(INTERMOLD KOREA 2019, 이하 인터몰드 2019)'에서 신제품 고성능 3D프린터 메소드(Method)를 국내 최초로 전시한다고 밝혔다. 메소드 3D프린터는 메이커봇의 모회사인 스트라타시스의 산업용 3D프린터 기술 및 특허와 메이커봇의 용이한 접근성과 사용성을 결합한 제품이다. 산업용 3D프린터의 안정성 및 치수 정밀도를 더욱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소드 3D프린터의 세부특징으로는 순환식 가열 챔버, 고성능 이중 압출기, 정밀한 PVA 서포트 등이 있다. ▲메이커봇의 고성능 3D 프린터 메소드(Method) 특히 순환식 가열 챔버의 경우 스트라타시스 산업용 3D프린터의 주요 기능으로써 적층 시 모든 레이어의 온도와 품질을 제어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이다. 외부 온도, 습도와 같은 환경에서 벗어나 프린팅 전체 시간 동안 챔버 내에서 활성화된 열이 순환하면서 제어된 비율로 출력물을 냉각시킨다. 이는 프린팅 시 레이어 간 접착도 및 부품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산업
[첨단 헬로티] 전국 13개 지점 통해 기술 교육, 소모품 공급 등 원스톱 서비스 일괄 제공 바른테크놀로지가 3D프린터 렌탈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우선 보급형 3D프린터 제품군인 메이커봇 미니 플러스(MakerBot Mini+)와 메이커봇리플리케이터 플러스(MakerBot Replicator+) 두 종류를 대상으로 렌탈 서비스를 추진한다. 바른테크놀로지가 3D 설계 SW 사업에 이어 3D프린터 렌탈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ICT전문기업 바른테크놀로지(대표 김동섭)는 3D 입체영상 인프라를 구축했던 높은 기술력과 풍부한 비즈니스 네트워크, 전국적인 유통망을 발판으로 3D프린터 임대사업에 돌입한다. 바른테크놀로지는 최근 3D프린팅 및 적층 제조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 1위인 스트라타시스의 자회사 메이커봇과 제휴를 맺고 사업 세부계획을 확정했다. 우선 보급형 3D프린터 제품군인 메이커봇 미니 플러스(MakerBot Mini+)와 메이커봇리플리케이터 플러스(MakerBot Replicator+) 두 종류를 대상으로 렌탈 서비스를 추진한다. 제품 월 임대비는 약 10만원대로 책정해 고객사의 가격부담 및 초기 투자 비용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특히 원활한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