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생산적인 이야기]는 생활 속에 녹아 있는 산업적인 소재를 가지고 ‘딱 어디가서 아는 체 할 수 있는 정도’로만 이야기 해보는 코너입니다. 전기차 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에 불씨를 당겼다면, 기존 자동차 기업들은 시장을 쑥쑥 키우고 있습니다. GM, 폭스바겐그룹, 다임러AG(메르세데스 벤츠), BMW, 현대자동차, 르노-닛산 등의 기업들이 서둘러 전기차를 상용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제 충전소 인프라만 잘 갖춰진다면, 전기차 시대는 생각보다 일찍 다가올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그래서 전기차에 대해 한번 정리해볼까 합니다. 흔히 전기차 하면 배터리를 핵심으로 떠올립니다. 물론 맞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본래 자동차의 심장은 엔진이니까, 전기차에서는 모터가 심장이어야 맞죠. 전기차에서 동력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장치 즉, 파워트레인은 구동모터, 감속기, 인버터 등인데요. 여기서는 구동모터만 다뤄보겠습니다. 1. 테슬라 모델3 테슬라(Tesla)는 모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2012년 세단형 전기차 '모델S'를 선보였을 때 유도전동기(IM)를 적용하였습니다. 현재 많은 자동차 기업이 영구자석을 활용한 동
[첨단 헬로티] 한국닛산이 ‘EV 트렌드 코리아 2019’에서 전기차 ‘신형 리프(All-New Nissan LEAF)’를 선보였다. 리프는 전기차 최초로 글로벌 누적 판매량 40만 대를 돌파한 저력을 가진 모델이다. 신형 리프는 지난 3월 국내에 공식 출시됐다. 리프의 저력답게 이 차는 국내에 출시된 지 두 달 만에 250대나 판매하는 기록을 세웠다. ▲ 한국닛산이 ‘EV 트렌드 코리아 2019’에서 전기차 ‘신형 리프’를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닛산의 미래 방향성이 집약된 전기차 3월 국내에 상륙한 닛산 전기차 신형 리프가 전시장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신형 리프는 70년 이상의 전기차 개발 역사를 가진 닛산의 자존심이 담긴 차라고 평가받는다. 그 명성답게 신형 리프는 지난 3월부터 국내에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한 후 첫 달 100대에 이어 4월에는 151대가 판매됐다. 출시 두 달 만에 250대가 판매된 것이다. 게다가 4월에는 한국닛산 전체 판매량 307대 중 신형 리프가 차지한 비중이 무려 50%였다. 신형 리프는 닛산의 미래 방향성인 닛산 인텔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차세대 무공해 전기 자동차인 닛산 신형 ‘리프(LEAF)’에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D 표준 준수 단일칩 배터리 모니터링 집적회로(IC)를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맥심 IC는 종합적 진단 기능으로 최고 수준의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안정적 통신을 제공하며 절연 부품(BOM) 비용을 크게 절감시킨다. 맥심 배터리 모니터링 IC는 캐패시터(capacitor) 및 트랜스포머 절연이 모두 가능한 유일한 IC로 ISO 26262 및 ASIL D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ASIL C에도 적용 가능해 최고 수준의 안전 기준을 충족한다. 캐패시터 절연을 사용하는 내부 셀 밸런싱과 차동 UART 통신(Differential UART)으로 부품 비용과 고장률을 줄여준다. ▲닛산 전기차 '리프' 맥심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노이즈가 심한 환경에서도 유연한 UART로 안정적인 분산 및 중앙 집중식 셀 모니터링 컨트롤러(CMC)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맥심의 독자적 100m 데이지 체인 아키텍처, SAR(Successive-Approximation-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