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구스가 국내 최대 식품·포장 산업전 코리아팩(KOREA PACK 2022)에 참가한다. 이구스는 급유와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고성능 폴리머 제품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한국이구스 김성우 이사는 “이구스의 폴리머 제품들은 고온, 저온, 진동, 충격, 수분 및 화학 약품 접촉 등 포장기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건들을 훌륭히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무엇보다, 급유가 필요 없기 때문에 포장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품 오염 우려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베어링 제품 외 포장 자동화에 사용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 LCA도 출품된다. 칵테일 로봇이나 서빙 로봇 등 식품·포장 분야에 있어 활용 사례를 더욱 높이고 있는 로보링크를 포함해 델타 로봇, 리니어 갠트리 데모 장비들이 함께 비치될 예정이다. LCA 로봇 라인에도 마찰이 발생하는 부위라면 어디든 이구스 폴리머가 활용된다. 김성우 이사는 “이번 코리아팩 전시회를 통해 베어링 한 개부터, 리니어 가이드, 갠트리 시스템, 완제품 로봇에까지 식품 포장 산업 분야를 위한 이구스의 다양한 모션 플라스틱 솔루션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PMBus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파워바이리니어(Power by Linear) LTM4678 듀얼 25A 또는 싱글 50A 스텝다운 마이크로모듈(µModule) 레귤레이터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LTM4678은 BGA 패키지 상단에 2개의 인덕터를 적층하여 노출하고 있다. 이 인덕터는 패키지 내부의 열을 밖으로 발산하는 히트싱크 역할을 하여 디바이스가 과열되지 않도록 한다. EEPROM과 PMBus I2C가 내장돼 사용자는 전압, 부하 전류, 온도, 시퀀싱 등 전력과 관련한 핵심 파라미터들을 측정, 변경, 기록할 수 있다. LTM4678은 50A의 전류를 공유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를 최대 5개까지 병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와 FPGA, ASIC 같은 부하에 최대 250A까지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PCIe 보드, 통신 인프라, 클라우드 컴퓨팅, 광학 분야는 물론, 의료기기, 산업용 장비, 테스트 및 계측기기 등에 적합하다. LTM4678은 DC/DC 컨트롤러, EEPROM, 전력 FET, 인덕터, 그 밖에 다른 지원 소자들을 16mm x 16mm x 5.86mm B
[첨단 헬로티] 반도체와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 Inc.)에 합병된 리니어 테크놀로지(Linear Technology)가 생산하는 사이렌트 스위쳐( Silent Switcher) 아키텍처 기반의 LTM8065 µModule(마이크로모듈) 스텝다운 레귤레이터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LTM8065는 최대 입력 전압이 40V인 레귤레이터로써, 산업 로봇, 검사, 측정 장비, 공장 자동화, 의료, 항공전자공학 등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조정되지 않고 변화가 심한 입력 전압(12~36V)에서 안전하게 작동한다. 마우저가 공급하는 LTM8065 µModule 레귤레이터는 사이렌트 스위쳐 아키텍처를 기초로 설계돼 EMC(전자파 적합성)와 EMI(전자파 간섭) 방출이 최소화된다. 이렇게 전자파 방출량이 감소했기 때문에 CISPR 22 클래스 B를 충족하며, 영상 장비와 RF 시스템 등 잡음에 민감한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0805 크기의 커패시터 2개, 0603 크기의 저항기 2개가 추가됐지만 설치 면적이 약 100 × 100mm로 전력 수준이 동일한 모듈 솔
▲아나로그디바이스의 새로운 디모듈레이터 'LTC5594'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1GHz의 즉각적인 I/Q 1dB 대역폭을 지원하는 광대역, 고선형성의 ZIF(zero-IF) 디모듈레이터 신제품 LTC5594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통상 37dB의 이미지 리젝션(image rejection) 성능을 제공한다. 온칩 시리얼 포트를 사용하여 I와 Q의 위상 및 진폭의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어, 이미지 리젝션 성능을 60dB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교정 작업을 수월하게 할 뿐 아니라 리시버 성능은 크게 향상시키고, 잔상을 널(null) 하는 데 필요한 FPGA 자원은 크게 줄여준다. 이 디바이스는 이득(gain) 조절이 가능한 베이스밴드 증폭기를 통합하고 있어 5.8GHz에서 9.2dB의 최대 전력 변환 이득을 제공하며 37dBm OIP3(output IP3) 성능을 제공한다. RF 입력은 광대역 밸룬(balun) 트랜스포머를 통합하고 있어 500MHz ~ 9GHz 범위에서 50Ω 매칭으로 싱글엔디드 동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기서 하나의 외부 매칭 부품값을 바꾸면, 동일한 입력을 300MHz ~ 500MHz 사이의 보다 낮은
▲아나로그디바이스의 4-스위치 동기식 벅-부스트 DC/DC 컨트롤러 신제품 Power by Linear™ LTC3777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조정 출력 전압보다 높거나 낮거나 동일한 입력 전압에서 동작하는 150V 고효율(최대 99%) 4-스위치 동기식 벅-부스트 DC/DC 컨트롤러 신제품 Power by Linear™ LTC3777을 출시한다. 신제품은 높은 입력 전압 소스나 높은 입력 서지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4.5V ~ 150V의 입력 전압 범위를 지원하기 때문에 외부에 별도의 서지 억제 디바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교통, 산업, 의료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높은 입력 전압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 가능한 온칩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LTC3777은 내부 전력 소비용으로 낮은 대기전류의 고효율 스위칭 바이어스 서플라이를 통합하고 있다. 출력 전압은 1.2V ~ 150V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외부 부품 선정에 따라 최대 10A 이상의 출력 전류 공급이 가능하다. LTC3777은 1개의 디바이스로 최대 500W까지 출력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러 개의 회로를 병렬로 구성할 경
▲아나로그디바이스의 DC/DC 컨트롤러 신제품 Power by Linear™ LTC7815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자동차 콜드 크랭크 조건에서 모든 출력 전압의 레귤레이션을 유지하는 고주파(최대 2.25MHz) 3중 출력(벅, 벅, 부스트) 동기식 DC/DC 컨트롤러 신제품 Power by Linear™ LTC7815를 출시한다. 12V 자동차용 배터리는 엔진 재시동 또는 콜드 크랭크 상황에서 4V 이하까지 전압 강하(droop)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5V 이상에서 동작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밖에 다른 전장부품의 리셋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고효율 동기식 부스트 컨버터는 2개의 스텝다운 컨버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자동차 배터리 전압이 드룹 현상을 나타낼 때 출력 전압의 드롭아웃을 막아준다. 이는 자동차가 아이들(idle) 상태일 때 연료소비를 줄이기 위해 엔진을 멈추게 하는 차량용 스타트/스톱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대안적으로, 이 벅 컨트롤러들은 범용 3중 출력 컨트롤러용 입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LTC7815는 기동 시에는 4.5V ~ 38V의 입력 전압에서 동작하며, 기동 후에는
▲아나로그디바이스의 정밀 양방향 전류 DAC 신제품 LTC7106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거의 모든 DC/DC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PMBus I2C 인터페이스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정밀 양방향 전류 DAC 신제품 Power by Linear™ LTC7106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PMBus 호환 인터페이스를 통해, LTC7106은 7bit 시리얼 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다시 양방향(소스, 싱크) 출력 전류로 변환한다. 이 출력 전류가 레귤레이터의 피드백 네트워크로 전달될 때, 해당 출력 전압은 부하 전력/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또는 시리얼 VID 명령에 대응하는 마진을 가질 수 있도록 동적으로 프로그램 할 수 있다. LTC7106은 광범위한 디스크리트 및 모듈형 DC/DC 전압 레귤레이터를 위해 2mm x 3mm DFN-10 패키지의 작고 간단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LTC7106은 파워온 리셋 회로를 내장하고 있어 유효한 명령이 제공되기 전까지는 DAC의 출력 전류를 ‘0’으로 유지한다. 이와 함께 거의 모든 임피던스 저항 분배기에 쉽게 인터페이스 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비트를 제공하며, 이 레귤레이터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리튬 이온 배터리의 활성화 및 등급 설정의 시스템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배터리 테스트 및 활성화 전용 통합 정밀 솔루션을 출시했다. 해당 솔루션은 정밀 통합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컨트롤러 및 펄스 폭 변조(PWM)를 포함한다. 신형 AD8452는 기존 솔루션 대비 동일 면적에서 50%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하며 제품 용량 및 배터리 생산 처리율을 향상시킨다. 배터리가 방전되는 동안 배터리의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스위칭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스위칭 솔루션에 비해 10배 높은 정확성을 제공한다. 향상된 정확성 덕분에 배터리 팩 내 전지의 균일도가 증가하며 전기자동차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수명 역시 연장된다. 이 밖에도, 감지 및 모니터링 기술을 향상시키며 배터리 고장을 야기하는 과충전 및 약충전을 예방해 제조 과정 내 추가 안전성을 확보한다. AD8452는 충전/방전 보드의 비용을 50%까지, 잠재적인 시스템 비용을 약 20% 절감하는 부품표(Bill of Material, BoM)를 제공한다. 곧 판매될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위한 데모 보드는 R&D 엔지니어링 비용을 줄여주며 테스트 장비 제조 업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 디바이스가 40V, 1.6A 전원 스위치와 I²C 인터페이스를 내장하여 LED 디밍 제어를 간소화 하는 듀얼 채널 36V 고효율 동기식 스텝다운 LED 드라이버 신제품 Power by Linear™ LT3964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LT3964는 4V ~ 36V까지 입력 전압 범위가 넓고 최대 2MHz의 스위칭 주파수를 지원하며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2개의 LED 드라이버가 특징인 고집적 컴팩트 솔루션으로서, 필요한 외부 부품 수도 적다. LT3964는 고정 주파수 전류 모드 제어 방식으로 동작하며, 자동차와 산업용 및 건축 조명 분야에서 최적의 LED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전류 제어가 가능한 정전류(constant-current), 정전압(constant-voltage) 소스로서 동작한다. 동기식 동작은 최대 전류 부하일 때 두 채널 모두에서 94%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LT3964의 400kHz I²C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PWM 디밍을 크게 간소화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LED 드라이버로의 PWM 신호가 필요 없으며, 그 대신 내부 레지스터는 내부 클럭과 동기된, 요구되는 디밍 듀티 사
누화(CROSSTALK) ⑥ 입력 커패시터와 단일 종단 동작을 사용해 PCB 누화를 낮추다 LTC2358은 고유의 회로를 사용해서 동적 채널들 간에 극히 우수한 내부 누화 절연을 달성한다(109dB 정격). 위아래 도전층으로 접지를 사용해서 PCB 상에서 아날로그 입력으로 연결되는 배선을 차폐함으로써 채널들 간의 외부 커패시티브 누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인접한 패키지 핀들 간의 커패시턴스는 0.16pF이다. 낮은 소스 저항과 높은 소스 커패시턴스를 조합적으로 사용해서 외부적인 커패시티브 결합 누화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그림 13의 IN0에서는 소스 저항과 별개로 아날로그 입력으로 18nF 커패시터를 사용해서 인접 핀으로부터 유발되는 0.16pF의 커패시티브 결합을 100dB 감쇠하고 있다. ▲ 그림 13. 입력 커패시터와 낮은 소스 임피던스를 사용해서 PCB 누화를 낮출 수 있다. 낮은 소스 임피던스 역시 외부 배선 누화를 낮출 수 있다. 그림 13의 채널 IN1은 입력 커패시턴스와 별개로 100Ω(또는 그 이하) 소스 저항을 사용해서 100kHz에 이르기까지 100dB의 누화 제거를 달성하고 있다. 높은 주파수에 높은 소스
[첨단 헬로티] “햅코모션은 V 가이드를 발명한 이래로 지난 45년간 끊임없이 리니어 제품개발과 혁신을 해왔다.” 햅코모션의 피터 존스 마케팅 매니저는 그 결과물로 직선 및 곡선, 중하중에서부터 XYZ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각종 구동장치와 자동화 솔루션 등을 위한 제품들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모든 제품은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며 양질의 맞춤형으로 제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에 본사를 둔 햅코모션은 제품의 80%를 63개국에 판매 중이며, 한국은 1999년에 지사를 설립, 아시아 거점 시장으로서 공략을 본격화했다. V 가이드로 리니어 시장에 파란을 예고하는 햅코모션의 전략은 무엇인지 피터 존스 매니저에게 자세히 들어봤다. ▲ INTERVIEW_햅코모션 피터 존스 마케팅 매니저 Q. 고객이 리니어 시스템을 구매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A.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것은 아무래도 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구매 비용만을 따졌을 경우 잘못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설계자들이 볼 레일을 고르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물론 실제로도 이러한
엔지니어들은 흔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입력이 고(high) 임피던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직접 샘플링 SAR ADC 입력은 변환을 하지 않을 때는 고 임피던스이나, 샘플 포착을 시작할 때는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 스파이크를 소비한다. 평균적으로 이러한 동작은 샘플 커패시터 크기와 샘플 속도에 반비례하게 비선형적인 저항으로 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동에 대해서 신호 체인이, 포착이 끝나고 변환이 시작되기 전의 사이에 즉각적으로 완벽하게 안정화할 수 있어야 한다. 신호 체인을 ADC로 연결하는 일은 일종의 예술과도 같은 것으로서, 이론과 탐색을 종합적으로 필요로 한다. 버퍼 기능을 포함하는 다채널 고전압 SAR ADC 제품군으로서 LTC2358은 진정한 고 임피던스 입력을 제공하므로, 많은 경우에 신호 컨디셔닝 요구를 간소화하거나 아예 필요하지 않게 한다. 신호 컨디셔닝이 필요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스위치드 커패시터를 구동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 없느냐에 상관 없이 LTC2358 입력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다음의 회로들은 LTC2358의 이러한 입력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회로들을 보여준다. 손쉬운 구동 및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 디바이스가 별도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도 2개의 0V~100V 레일에 대한 전류와 전압 모니터링이 가능한 광범위한 I²C 시스템 모니터 신제품 LTC2992를 출시한다. LTC2992는 3V ~ 100V의 모니터용 공급전원, 2.7V ~ 100V의 보조전원, 또는 온보드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유연한 전원공급 옵션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입력 옵션들은 0V ~ 100V의 어떠한 레일도 모니터 하면서 별도의 벅 레귤레이터와 션트 레귤레이터, 또는 비효율적인 저항 디바이더의 사용 필요성을 없애 준다. ▲아나로그 디바이스의 LTC2992 LTC2992는 3개의 델타시그마 ADC와 1개의 곱셈기를 사용하여 8bit 또는 12bit 전류와 전압 측정, 24bit 전력 판독 기능을 제공하는 간단한 단일 칩 솔루션이다. 동작 전압 범위가 넓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48V 텔레콤 장비, AMC(advanced mezzanine card), 블레이드 서버에 이상적이다. 온보드 션트 레귤레이터는 100V 이상의 공급 전원과 네거티브 전원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LTC2992는 연속적이거나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가 최대 40V 입력 전압(42V abs max)의 µModule®(파워 모듈) 스텝다운 레귤레이터 LTM8065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산업용 로봇, 계측, 의료, 공장 자동화 및 항공 전자 시스템과 같이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제어되지 않았거나 변동적인 12V ~ 36V의 입력 전압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아나로그 디바이스 LTM8065 사일런트 스위처(Silent Switcher®) 아키텍처는 EMC/EMI 방출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LTM8065는 CISPR 22 클래스 B 기준을 통과, 이미징 및 RF 시스템을 포함한 잡음에 민감한 신호 처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다. LTM8065의 소형 6.25mm x 6.25mm x 2.32mm BGA 패키지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컨트롤러, 파워 스위치, 인 덕터 및 기타 지원 부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크기가 0805인 커패시터 2개와 0603 크기의 레지스터 2개만이 필요한 LTM8065의 솔루션은 차지하는 면적이 약 100mm²이며, 이는 비슷한 전력 레벨을 가지는 모듈 솔루션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 크기이다. LTM
[첨단 헬로티] 아나로그 디바이스가 차동 VOUT 원격 센싱 기능의 20V, 20A 모놀리식 동기식 벅 컨버터 LTC7150S를 출시했다. LTC7150S에 적용된 고유의 PLL(phase-lockable) 제어 온타임 정주파수 전규 모드 아케텍처는 보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며, 고주파수에서 동작하면서 빠른 과도 응답이 요구되는 높은 스텝다운 비율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아나로그 디바이스 LTC7150S 해당 디바이스는 우수한 EMI 성능 특징과 함께 레이아웃에 대한 제약을 완화하는 고효율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 바이패스 커패시터가 포함된 사일런드 스위치 2(Silent Switcher®2) 기술을 이용했다. 최대 12개 위상까지 가능한 다상(multiphase) 동작은 입력 및 출력 커패시턴스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고출력을 낼 수 있도록 여러 디바이스를 직접 병렬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VOUT 원격 감지 기능은 부하 전류 또는 보드 레이아웃에 상관없이 부하에서 정확한 전입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LTC7150S는 입력 범위가 3.1V ~ 20V로 넓어 대부분의 중간 버스 전압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