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300여 종’ 브릴스 로봇 솔루션 전주기 표준화에 기여 “산업현장 안전 확보에 기여...연구개발 통한 기술 혁신 지속할 것” 브릴스가 지난달 열린 ‘2024 국민공감 캠페인 시상식’에서 안전 부문 행정안전부장관상과 혁신경영 부문 국민공감 경영대상을 수상했다. 브릴스는 협동로봇 팔레타이징 시스템, 인공지능(AI) 안전관제 시스템, 하이브리드 자율주행로봇(AMR) 솔루션 등 300여 종의 표준화 기반 로봇 솔루션을 산업에 제시하고 있다. 로봇 시스템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통합(SI) 컨설팅, 유지보수 서비스 등 로봇 솔루션 전주기에 대한 기술을 보유했다. 이를 통해 산업현장 안전 수호에 기여했다며 이번 두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브릴스 표준화 로봇 솔루션은 제조·물류·F&B·방산 등 각종 분야 활약하고 있다. 작업자의 노동력을 로봇으로 분산시켜 작업자의 프로세스 수행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 향상 및 품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브릴스는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해 내년 출시를 목표로 로봇 기체를 개발하고 있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으로 기술력과 산업안전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았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R&D)에 따른
[첨단 헬로티] 국표원 서비스로봇 국제표준화회의 개최 로봇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레고 블록처럼 로봇을 구성하는 부분을 표준화하는 로봇 모듈화(Modularity) 분야의 국제표준 개발을 우리나라가 주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월 3일부터 7일까지 제주에서 열린'서비스로봇 국제표준화회의'에서 우리나라의 강원대 박홍성교수가 제안한 ‘서비스로봇 모듈화 일반요구사항’에 대한 국제표준안이 표준승인(FDIS)을 위한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 표준안은 회원국에 최종 회람후 국제표준으로 등록될 전망이다. <서비스로봇 모듈 활용의 예> 서비스로봇 모듈화 표준 관련 이 국제표준안은 로봇시스템 구성 요소 가운데 기능적으로 독립성을 가지면서 부분개발·교체·재활용이 가능한 ‘로봇 모듈’을 정의하는 표준으로, 제조사 간 호환성, 로봇개발의 경제성과 직결되는 핵심 기술이다. 서비스로봇 모듈화 표준이 우리주도로 국제표준화되면, 모듈 형태로 호환성이 확보된 로봇 부분품을 생산․유통할 수 있게 되어,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이 보다 쉽게 로봇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