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ITX는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기업인 H3C와 국내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효성ITX는 H3C의 라우터, 스위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등 다양한 네트워크 설루션을 국내 시장에 공급한다. 효성ITX는 H3C의 네트워크 설루션으로 데이터센터와 중소·중견기업(SMB)의 네트워크 수요를 공략할 계획이다. 또 H3C가 제공하는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 가상 데스크톱 인프라(VDI) 등 첨단 설루션 분야의 사업 확대도 검토한다. H3C는 2003년 중국 화웨이와 쓰리콤(3Com)이 공동 설립한 네트워크 합작사다. 2015년 중국 칭화유니그룹에 인수된 이후 중국 내 디지털 인프라 제품과 설루션을 공급하는 핵심 기업으로 성장했다. 2022년에는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블레이드 서버 분야에서 중국 점유율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남경환 효성ITX 대표이사는 “H3C의 정보기술(IT) 설루션과 효성ITX의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의 IT 인프라 구축에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것”이라며 “네트워크 설루션을 시작으로 향후 디지털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 영역으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삼성전자가 스마트한 통신망 운영을 위한 ‘삼성 SDN 솔루션’을 출시했다.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은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통신망 내 분산된 스위치·라우터에 탑재된 제어기능을 중앙에서 통합관리하고, 자동화 및 실시간 최적화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원격 설정과 자동화로 통신망 운영비용 절감과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특히, 최근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복잡해지고, 통신 서비스의 품질과 속도가 강조되면서 SDN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삼성 SDN 솔루션은 기업의 인터넷·시설관리 등을 위한 사설망과 기지국을 포함한 5G 전용망 및 5G 이동통신망에 일괄 적용이 가능한 통합 솔루션이다. 서버 1대에도 설치할 수 있지만 트래픽과 가입자 규모, 필요 솔루션 등에 따라 자유롭게 확장과 변경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면 5G 기반 이동통신 서비스에 필수적인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1개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쪼개는 방식으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다. 또한, 스위치, 라우터 등의 장비를 추가로 설치하고 설
[첨단 헬로티] “대형 조각기 시장에서 장비의 완성도 극대화로 국내 1위를 뛰어 넘어 글로벌 탑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겠다.” 신우NC테크는 지난 19년간 CNC 라우터 및 관련 응용장비에만 주력해온 토종 전문제조업체이다. 이돈기 신우NC테크 전무이사는 그동안 시장 가격에 맞추어 장비 부품 선정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것을, 올해는 장비의 성능 향상에 기술 역량을 집중하여 세계 시장에서도 ‘탑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한다. ▲ 신우NC테크 이돈기 전무이사 Q. 신우NC테크의 경쟁력은. A. 신우NC테크는 국내 대형 라우터 제조 분야에서 수년 째 선도를 달리고 있으며, 국내외 1600개 이상 다양한 분야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장비의 경쟁력은 내구성, 생산성, 정밀성의 3요소를 두루 만족시킬 뿐만아니라 경기도 김포 양촌 산업단지에 양산 시스템을 갖추어 가격적인 경쟁력까지 갖추고 있다. 또한, 지난 19년간 대한항공,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및 한국항공우주산업을 비롯하여 삼성전자 주요 협력업체에 장비를 납품하면서 각 업체에서 제시하는 까다로운 도입 규정을 만족시키는 장비로 진화를 거듭했고, 그
[첨단 헬로티] 글로벌 통신 장비 업체인 노키아가 시스코, 주니퍼 네트웍스가 지배하는 코어 라우터 시장에서 속도 경쟁을 통해 분위기 반전시키겠다는 카드를 들고 나왔다. 노키아는 14일(현지시간) 코어 라우터 시장에서 지분 확대를 위해 세계 최고속을 갖춘 네트워크 칩을 공개해 주목된다. 노키아는 이번에 발표한 네트워크 칩을 기반으로 새 라우터 포트폴리오를 선보일 계획이다. 새 제품은 올해 4분기께 출하될 수 있을 전망이다. 노키아는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전통적인 통신 업체들을 넘어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이른바 웹스케일 기업들로 영업 기반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전통적인 통신 업체들의 인프라 투자는 고만고만한 수준이지만 웹스케일 시장은 다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웹스케일 관련 기업들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자본 투자는 2배가 넘었다. 이들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에선 속도는 넘버원 이슈다. 서비스 역량에 있어 속도는 중량급 변수다. 노키아가 속도 경쟁을 선포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노키아는 최신 FP4 실리콘 칩셋에 대해 초당 2.4테라비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새 라우터 제품들은 가상현실 프로그래밍, 클라우
[헬로티] LG유플러스(부회장 권영수)는 초소형, 초경량 모바일 핫스팟이 가능한 소형 LTE 라우터 ‘U+ 마이파이(myFi)’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U+ myFi는 전국 어디서나 LTE 신호를 받아 와이파이 신호로 바꿔주는 휴대형 라우터다. 얇고 무게도 24g으로 가볍다. 명함보다 작아 지갑이나 바지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도 장점이라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출고가는 9만5000원이다. LTE CarFi(2nd Device) 10GB(월 1만6500원)/20GB(월 2만4750원) 요금제로 가입이 가능하다. 현재 공시지원금을 받게 되면 단말기 부담금은 따로 없다. U+ myFi는 최대 8대 WiFi 동시 접속을 지원한다.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도 데이터 이용이 가능하다. 배터리가 탑재돼 있지 않아 불필요한 충전을 할 필요가 없으며 USB 전원을 공급하는 모든 기기와 연결해서 사용 할 수 있다. 노트북에 꽂으면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나 클릭 없이 바로 작동된다. 와이파이 사용불가 장소를 위한 USB 테더링을 지원하고 최신 맥북 사용자를 위해 USB C젠더도 기본으로 제공된다. 보조배터리에도 꽂
“PCB에 라벨을 부착하던 방식이 최근 인쇄 공정으로 바뀌고 있다.” YJ링크는 최근 레이저마킹기를 주력 제품으로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회사의 김명훈 연구소장은 “라벨의 경우 탈착이 자유로운 반면 레이저마킹은 영구적으로 남아 PCB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는 “이력관리에 있어서 신뢰성을 추구할 수 있고, 라벨 부착 시간보다 2배 정도 빨라 생산성을 높여준다”고 말했다. 또한 YJ링크의 레이저마킹기는 PCB가 진입하면 첫 마킹 후 뒤집어서 한 번 더 마킹하는 방식으로 양면인쇄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430×330의 보통 크기 PCB에 대응하는 모델은 Y시리즈이다. 자동차나 모바일의 부품처럼 소형화되어가는 PCB를 위해서는 S시리즈가 유용하다고 소개했다. YJ링크는 지난해 새롭게 개발해 출시한 라우터도 출품했다. 김명훈 연구소장은 “2스핀들과 2지그를 사용하며, 기존 탁상형에서 라우터를 인라인화하는 추세에 따르고 있다”며, “실제 인라인형으로의 투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됐다”고 전했다. 또한 그
지멘스 러기드컴 ‘RX1400’은 멀티프로토콜 지능형 노드로서 이더넷 스위칭, 라우팅, 방화벽 기능 및 각종 WAN 연결 옵션을 제공한다. 이 장치는 IP40 등급으로 냉각팬을 사용하지 않으며 -40℃~+85℃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연속 작동하고 단단한 금속 케이스를 사용해 DIN 레일, 패널 또는 랙 장착이 용이하다. 러기드컴 RX1400은 전자기 간섭, 강전 서지, 극한의 온도 습도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 혹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GNSS(GPS/GLONASS) 기능도 내장되어 있어 대규모 환경에서 자산 추적 시 해당 위치를 알려준다. 이 제품은 또 상용 LTE 네트워크상의 주요 통신을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되었고 QoS 관리를 위해서 LTE의 강화된 성능을 활용한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