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트 [근접 센서] 매입형과 돌출형 무엇이 다를까요?
지난 호에 ‘매입형과 돌출형, 겉모습만으로 판단하지 마세요’에서 근접센서의 두 가지 대표적인 하우징 디자인인 매입형과 돌출형을 소개했다. 그렇다면 근접 센서나 정전 용량 센서를 사용할 때 이는 어떤 의미가 될까? 매입형 센서에는 자기장의 작용을 제한하는 보호막이 있기 때문에, 센서의 표면으로 자기력을 뿜어낸다. 매입형 센서 혹은 차폐형 센서는 금속 브래킷이나 심지어는 센서 오작동을 야기할 수도 있는 금속 기계에 장착할 수 있다. ▲ 매입형 센서 두 개의 차폐형 근접센서를 옆에 위치하여 고정시킬 때, 보통 인접한 센서 간에 센서의 지름 하나를 유지해야 한다. 차폐형 센서는 일반적으로 비차폐형 버전 감지 거리의 절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mm 차폐 근접 센서는 2mm의 감지 거리를 가지는 반면, 비차폐형 센서는 4mm의 감지 거리를 갖는다. 차폐형 센서는 비록 짧은 감지 범위를 가졌지만, 장비나 브래킷 안에 매입되기 때문에 손상이 방지된다. ▲ 돌출형 센서 돌출형 혹은 비차폐형 센서는 보호막이 없어 자기장이 센서의 표면으로부터 큰 패턴으로 자기력을 내뿜을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센서는 금속이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