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통일과기연구協 ‘백두산 과학기지 구축 방안’ 제시 백두산의 화산활동과 광물, 천연물, 천문 등을 남북이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백두산에 과학기지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12회 통일과학기술연구포럼에서 최현규 통일과학기술연구협의회장(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기획본부장)은 이같은 주장이 담긴 ‘백두산 과학기지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2018.7.31/뉴스1 ⓒ News1 통일과학기술연구협의회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소속 정부출연연기기관 내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조직으로, 북한 과학기술에 대한 협력과 공동연구 수행 체계 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구축방안에 따르면 백두산 과학기지는 오는 2021년까지 예산을 확보하고 설계까지 완료해 2024년 연면적 6800m(2100평) 규모의 과학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이다. 공동연구단은 연구원과 행정인력을 포함한 총 100명을 남북 동수로 구성해 파견하고, 산하에 △화산연구센터 △광물자원연구센터 △천연물연구센터 △천문연구센터 등을 둔다. 최 회장은 “판문점이 정치군사적 협력공간
[첨단 헬로티] 과기정통부 'ICT R&D 통계'…2016년 ICT기업 R&D비 31.2조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이 평균 7%로, 일반 기업들보다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12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린 미래차 인재양성 위한 '2018 지능형모형차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모형차 주행 결선 준비를 하고 있다. (자료사진) 2018.7.12/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ICT 기업체 연구개발 활동을 조사·분석해 30일 발표한 '2016년 ICT R&D 통계'에 따르면 ICT 연구개발 집중도는 2016년 7%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 연구개발 집중도 5.6%에서 1.4%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2016년 전체 산업군의 R&D 집중도 3.2%보다 2.2배 높은 비중이다. '연구개발 집중도'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비율을 의미한다. ICT부문 가운데 '영상 및 음향기기업'의 연구개발 집중도가 12.1%로 가장 높았다. 이는 2015년 4.7%에서 약 3배 증가한 수치다. '통신 및 방송기기
[첨단 헬로티] [세법개정] 창업기획자 투자 세제지원 확대 R&D 투자비용 공제로 국내투자 활성화 도모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기술투자에 최대 40% 세액공제를 하는 등 ‘혁신성장 마중물’ 세제지원에 나선다. 특히 블록체인과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기술과 창업·벤처기업, 공유경제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 양자암호통신, 블록체인 등 자율운항선박에 필요한 통신보안기술 상용화 시설. (자료사진) 2018.6.7/뉴스1 정부가 30일 내놓은 ‘2018년 세법개정안’을 보면 내년부터 신성장기술 연구개발(R&D) 세액공제가 확대되고 창업·벤처기업 투자에 대한 세금혜택이 늘어난다. 4차 산업혁명 투자에 대한 민간기업의 위험을 정부가 분담해 최근 우리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국내투자를 활성화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우선 R&D 비용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신성장기술 대상에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추가한다. 여기에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기반인 블록체인 기술과 반도체를 대체할 차세대 기술인 양자컴퓨팅 기술이 포함되며 구체적인 신기술 명
[첨단 헬로티] 우리 반도체와 배터리업계가 중국 정부의 노골적인 견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일 오전 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현안을 공유했다. 이날 오전 7시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이차전지·반도체 현안대응 전략회의에서 백 장관은 “중국정부의 우리 반도체업계에 대한 견제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치가 이뤄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 8일 오전 7시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이차전지·반도체 현안대응 전략회의에서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중국정부의 우리 반도체업계에 대한 견제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8.6.8/뉴스1 ⓒ News1 장은지 기자 백 장관은 지난 5일 중국에서 중산(鐘山) 상무부장을 만나 중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현지 반도체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배터리 가격 담합 조사에 대한 공정성을 요청한 바 있다. 백 장관은 “한국기업들의 중국 내 기업활동의 어려움이 최소화되도록 정부가 지속해서 신경 쓰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