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R은 Arm용 IAR 툴체인의 9.70 버전 출시와 함께 제퍼 실시간 운영체제(Zephyr Real-Time Operating System(RTOS))를 IAR 플랫폼에서 상용 수준으로 본격 지원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지원에서는 고급 디버깅 기능과 지속적인 지원을 갖춘 전문가 수준의 툴체인이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중시되는 상용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퍼 RTOS를 채택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토마스 앤더슨 IAR 최고 제품 책임자(CPO)는 “이번 Arm용 툴체인 9.70 버전은 제퍼에 대한 상용 수준의 지원으로 IAR 플랫폼을 확장한다”며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오픈소스 RTOS의 유연성과 IAR의 안전 인증 툴체인 및 이 툴의 고급 디버깅 및 코드 분석 기능을 결합해 확장 가능하고 보안성이 뛰어나며 표준을 준수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제퍼 RTOS는 경량 설계, 확장성, 커뮤니티 주도의 혁신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임베디드 및 IoT 시스템에 이상적이다. IAR은 2025년 1월 제퍼 프로젝트의 회원으로 가
IoT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 [헬로티 = 김동원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의 nRF52820 다중 프로토콜 SoC(시스템 온 칩)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블루투스(Bluetooth) 5.2 기능 전체와 기타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이 SoC는 자산 추적, 고성능 HID(인간 인터페이스 장치) 컨트롤러, 스마트홈 제품, 전문 조명 등 다양한 무선 사물 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이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에서 공급하는 Nordic nRF52820 SoC는 Nordic의 nRF52 시리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블루투스 5.2, 블루투스 저에너지, 블루투스 메시뿐 아니라 방향 탐색, 높은 처리량 2Mbps 및 장거리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해당 SoC는 단일 칩 솔루션에서 전속 USB 2.0 연결과 더불어 Thread, Zigbee® 및 2.4GHz 전용 통신 기술을 지원한다. 초저전력 Arm Cortex-M4-기반 SoC는 Nordic의 nRF52833 SoC와 호환 가능하며, 아날로그 비교기, SPI, UART, TWI, QDEC, 전속 USB(12Mbps) 등 다양한 아날로그 및
[헬로티]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제조업체인 메쥬가 자사의 ‘하이카디(HiCardi)’ 웨어러블 ECG(Electrocardiogram)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 연결 기능을 위해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의 nRF52832 블루투스(Bluetooth) 5.2/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멀티프로토콜 SoC(System-on-Chip) 채택했다. ▲메쥬의 ‘하이카디(HiCardi)’ 웨어러블 ECG 모니터링 시스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은 경량의 ECG 태그와 스마트폰 앱, 그리고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의료시설에서는 물론, 심장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개인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하이카디 태그는 환자의 가슴에 부착할 수 있는 접착 패치가 있어 휴식을 취하거나 운동 중에도 하루 종일 지속적으로 심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병상 모니터링이나 ECG 홀터(Holter)를 대체하는데 적합하다. 이 웨어러블 기기는 하나의 ECG 채널과 심박수, 체온, 호흡수, 자세 등을 비롯한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nRF52832 SoC의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스마트 홈을 비롯한 무선 제품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아마존의 ACS(Amazon Common Software)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ACS는 여러 아마존 SDK를 지원하는 일원화된 단일 API 통합 레이어를 제공하며, 일반적인 스마트 홈 제품에 사용되는 기능을 위해 사전 검증 및 메모리에 최적화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다. 아마존은 사전 구축, 사전 강화, 사전 검증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개발자들이 아마존 디바이스 SDK(Amazon Device SDK)를 이용해 보다 편리하게 제품을 구현할 수 있도록 ACS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아마존 디바이스 SDK의 통합을 가속화하고, 개발 및 유지관리 비용을 모두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아마존은 ACS 구현을 검증하고 디버깅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테스트 툴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ACS를 기반으로, 아마존이 자체 기기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이전보다 더 빠르고 쉽게 디바이스를 출시할 수 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레퍼런스 플랫폼 중 하나로 ACS에 쉽게 통합할 수
[첨단 헬로티] 반도체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의 nRF52833 다중 프로토콜 SoC(시스템 온 칩)를 공급망에 추가했다. 블루투스 5.1의 방향 인식 기능을 갖추고 작동 온도 범위가 확대된 nRF52833은 전문 조명, 자산 추적, 스마트 홈 애플리케이션 등에 이상적인 소자이다. 노르딕 세미컨덕트의 크제틸 홀스태드(Kjetil Holstad) 제품 관리 디렉터는 “현재 전 세계 수십억 개의 제품에 사용되어 매우 성숙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nRF52833은 더욱 높은 다양성을 더할 것”이라며, “제품 수명이 일반적으로 길어진 상용 및 인더스트리얼 시장에서 이런 안정된 특성은 특히 중요한 요소”라고 덧붙였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공급하는 노르딕 nRF52833 SoC는 64MHz Arm Cortex-M4 코어에 FPU(부동 소수점 유닛)가 결합되었으며, 플래시 512KB 및 RAM 128KB를 제공하므로 가치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이 SoC 소자는 방향 인식, 블루투스 메시, 장거리 사용 등 블루투스 5.1의 무선 성능을
[첨단 헬로티] 초저전력 무선 솔루션 분야 전문 기업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자사의 LTE-M/NB-IoT 및 GPS 셀룰러 IoT 모듈인 nRF9160 SiP(System-in-Package)가 성공적으로 품질 검증 및 주요 인증을 획득하고 최종 양산용 실리콘 생산단계에 돌입했다고 4일 밝혔다. 주요 인증으로는 GCF 및 PTCRB, FCC(미국 및 라틴아메리카)를 비롯해 CE(유럽), ISED(캐나다), ACMA(호주 및 뉴질랜드), TELEC/RA(일본), NCC(대만), IMDA(싱가포르) 등이 포함된다. 크기가 10 x 16 x 1mm에 불과한 nRF9160 SiP는 소형 웨어러블 컨수머 및 의료 기기는 물론, 소형 자산 추적 장치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외장 배터리와 SIM, 안테나만 있으면 IoT 애플리케이션과 셀룰러 연결을 통합할 수 있는 완벽한 솔루션이다. nRF9160 SiP의 모뎀과 MCU는 IoT 시스템의 최적화된 전력 성능을 위해 완전히 새롭게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nRF9160 SiP 기반 기기들은 탁월하게 적은 소비전력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다. nRF9160 SiP는 IoT 애플리케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한국의 기술 스타트업 기업인 베이글랩스(Bagel Labs)가 자사의 스마트 줄자 ‘파이(PIE)’의 무선 연결 기능을 위해 노르딕의 nRF52832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SoC(System-on-Chip)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줄자 ‘파이’는 소비자들이 단순한 체중 모니터링을 넘어 전반적인 건강지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 의류 제조업체와 같은 비즈니스 고객의 경우 신체 치수를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는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 스마트 줄자는 80mm x 65mm x 24mm의 폼팩터로, 곡면 물체와 직선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유연한 유리섬유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 줄자는 최대 1500mm 범위에서 ±0.5mm의 정확도로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으며, mm, cm, inch 단위를 지원한다. 스마트 줄자 ‘파이’는 판독 정확성을 위해 축-방향(On-Axis) 자기 회전 위치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노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노르웨이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텔레노(Telenor)의 LTE-M(LTE Cat M1), NB-IoT(Narrowband IoT) 모드에서 자사의 nRF91 시리즈 다중 모드 LTE-M/NB-IoT SiP(System-in-Package) 모듈의 동작 데모를 모두 성공적으로 시연했다고 밝혔다.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노르웨이 스타방에르(Stavanger)에서 3일 간 진행된 ‘스마트 시티’ 전시회 및 컨퍼런스인 북유럽 에지 엑스포(Nordic Edge Expo)에서 노르딕의 nRF91 시리즈 SiP는 텔레노의 노르웨이 전역을 커버하는 셀룰러 IoT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처음으로 동작이 이뤄졌다. 이 새로운 네트워크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상용 LTE-M 및 NB-IoT이며, LPWAN(Low Power Wireless Area Network) 기술로 셀룰러 IoT를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수립했다. LPWAN은 IoT(Internet of Things)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셀룰러 IoT 제품 매니저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독일의 바드 홈부르그(Bad Homburg)에 위치한 스마트 시스템 개발업체인 마카이오(Makaio)가 자사의 스마트 주차제한 솔루션인 ‘파키터(Parketeer)’의 무선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노르딕의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솔루션인 nRF52832 및 nRF51822 SoC(System-on-Chip)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현재 독일의 바드 홈부르그시가 추진하고 있는 시험 계획 중 하나인 스마트 주차제한장치는 전기자동차가 지정된 주차 공간과 충전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각 주차제한장치는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블루투스 4.0 이상의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LE 연결은 물론, 인접 주차제한장치와 노르딕 nRF51822 SoC 기반 레어드(Laird) RM186-SM 모듈로 구동되는 게이트웨이 간의 블루투스 LE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노르딕의 nRF52832 SoC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주차제한장치들은 상호 연결돼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스마트폰 RF 범위를 벗어난 주차 구역이라 하더라도, 범위 내에 있는 주차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국내 프리미엄 소형가전 전문기업인 콜러노비타(Kohler Novita)가 자사의 테라피 비데 BD-TE80M과 해당 제품의 리모콘에 노르딕의 nRF51822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SoC(System-on-Chip)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 스마트 비데 시트는 국내 설치용으로 설계되었으며, 분기 밸브를 통해 메인 급수장치와 연결하여 기존 변기 시트에 장착할 수 있다. 노르딕의 nRF51822 SoC는 비데 시트와 블루투스 4.0 이상 스마트폰 및 태블릿, 그리고 해당 제품용 리모콘 간의 무선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iOS 및 안드로이드 기반 노비타 테라피 앱, 또는 무선 리모콘을 이용해 비데를 작동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 비데 시트는 시트 자체의 푸시 버튼을 통해서도 동작시킬 수 있다. ▲노르딕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을 채택한 쿨러노비타 이 비데 시트는 주전원으로 동작하며, 리모콘은 AAA 배터리를 이용해 교체 시까지 최대 12개월동안 배터리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nRF51822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자사의 데스크톱 PC용 nRF Connect(nRF Connect for Desktop PC) 툴을 위한 저비용의 USB 동글(Dongle)을 출시했다. 개발자는 이 제품으로 무선 링크의 한쪽 종단만 사용해 무선 장치와 PC를 즉시 연결할 수 있다. 개발자는 풀 개발 키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무선 장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PC 상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프로그램 개발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다. ‘nRF52840 동글’은 노르딕의 nRF52840 멀티 프로토콜 SoC에서 실행되는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 메시(Bluetooth Mesh), 스레드(Thread), 지그비(ZigBee), 802.15.4, ANT 및 독자적인 2.4GHz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모든 주요 무선 표준을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프로그램이 가능한 RGB LED와 기계식 푸시-버튼, 그린 LED와 더불어 가장자리에 15개의 GPIO에 액세스할 수 있는 솔더 포인트를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사용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는 자사의 nRF51 및 nRF52 시리즈 멀티 프로토콜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SoC(System-on-Chip)를 채택한 블루투스 LE 설계에 대해 클라우드 기반의 평가 및 테스트, 검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용 nRF Connect(nRF Connect for Cloud)’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클라우드용 nRF Connect는 직관적인 작업 플로우를 갖추고 있으며, 블루투스 LE 제품을 구현하고 개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인 노르딕의 ‘데스크톱용 nRF Connect(nRF Connect for Desktop)’와 ‘모바일용 nRF Connect(nRF Connect for Mobile)’의 많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용 nRF Connect는 nRF UART와 같은 독자적인 서비스를 비롯해 광범위한 표준 블루투스 서비스를 지원한다. 모든 범용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클라우드용 nRF Connect는 웹 블루투스(Web Bluetooth) API
[첨단 헬로티] IoT 플랫폼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파티클'이 엔드-투-엔드 메시 네트워킹 개발 플랫폼인 '파티클 메시'를 위해 노르딕의 첨단 블루투스LE(Bluetooth® Low Energy) 및 ANT, 802.15.4, 2.4GHz 무선 기술을 모두 지원하는 nRF52840 SoC를 채택했다. 파티클 메시는 개발자들이 스레드(Thread)의 오픈-소스 버전인 OpenThread로 실행되는 IEEE 802.15.4 노드 기반의 메시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nRF52840 SoC는 블루투스 5(블루투스 LE) 및 스레드 1.1 인증 무선 솔루션으로, 블루투스 5와 스레드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마켓에서 유일한 멀티프로토콜 SoC이다. 이러한 성능은 노르딕의 S140 SoftDevice(블루투스 LE 프로토콜 스택)와 OpenThread RF 프로토콜 스택을 동시에 지원하는 nRF52840 SoC의 블루투스 LE 및 스레드 ‘다이나믹 멀티프로토콜(Dynamic Multiprotocol)’ 기능을 통해 지원된다. nRF52840 SoC에 내장된 32bit Arm® Cortex® M4F
최수철 노르딕 세미컨덕터 코리아 지사장 전자기술(Electronic Engineering)의 창간 3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한국 전자산업의 대표적인 전문 미디어로 30년의 긴 역사를 꿋꿋이 지켜오신 전자기술의 모든 임직원 여러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앞으로 또 한번의 30년의 여정 속에서도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주저하지 않고, 미래의 콘텐츠를 주도하는 미디어로 더욱 성장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전자기술은 부품과 반도체, 시스템 레벨의 다양한 솔루션은 물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와 개발 툴, 에코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편집방향을 토대로 독자와 산업계를 연결하는 정보의 브리지이자 생산자로서 전자산업의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특히 올해에는 IoT(Internet of Things)를 비롯한 스마트 시티/스마트 홈,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 자동차, 4차 산업혁명 등 다양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관련 업계의 마켓 진입 및 확장 노력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앞으로 펼쳐질 전자산업의 동향과 현장의 목소리, 그리고 미래의 산업을 이끌어갈 혁신 기술의 흐름을 전자기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노르딕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노르딕 Thingy:52(Nordic Thing:52®) IoT 센서 키트가 ACE 어워즈(Annual Creativity in Electronics Awards) 개발 키트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ACE 어워즈는 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전자제품을 선정하는 수상 프로그램으로 공신령을 인정받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개발 키트는 가장 경쟁이 치열한 부문이다. ▲ACE 어워즈 '개발 키트' 부문에서 최종 수상한 노르딕의 Thingy:52 블루투스 센서 키트 수상을 받은 Thingy:52는 노르딕의 nRF52832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SoC(System-on-Chip)와 S132 SoftDevice(RF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에 기반한 개발 툴로, IoT 무선 센터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이 키트는 하이-레벨 개발 툴이나 펌웨어 코딩 전문기술이 없는 앱 개발자들도 IoT 기기와 관련 모바일 장치, 인터넷 앱 등을 신속하게 설계하고 시연할 수 있도록 한다. ACE 어워즈 개발 키트 부문에는 노르딕의 키트 외에도 미국, 일본의 주요 반도체 공급업체 3곳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15명의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