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최근의 공작기계는 나노오더 수준의 초정밀 가공기, 5축 제어기와 복합가공기 등으로 대표되는 가공의 플렉시블성과 효율화․공간 절감화를 위한 기계의 콤팩트화, 난삭재 가공에 따른 장치의 고강성화 등 그 용도와 요구 성능은 여러 종류로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장치의 고부가가치화가 요구되는 한편, 신흥국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저가격화도 어쩔 수 없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와 함께 공작기계의 메인 이송축의 안내에 사용되는 롤링 직동 안내기기에 대한 요구 성능은 더욱 높아지고, 그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공작기계의 직동 안내기기에 요구되는 기능, 성능을 가진 롤러 타입 직동 안내기기의 특징을 중심으로 최근의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그림 1. C 루프 리니어 롤러웨이 슈퍼 X의 구조 C 루프 리니어 롤러웨이 슈퍼 X의 구조 1. 기본 구조 그림 1은 롤러 타입 직동 안내기기 ‘C 루프 리니어 롤러웨이 슈퍼 X’의 구조이다. 4열의 롤러를 패럴렐로 배치, 축도와 45°로 접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방향의 하중을 균형 있게 받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윤활 부품 ‘C 루프&rsq
[첨단 헬로티] 최근에는 해외와의 경쟁에 노출되어 있으며, 생산 현장에서는 저코스트·단납기·고품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워크 가공 형상의 복잡화, 가공 정도의 요구 등 생산 현장에서는 가공 기술의 향상이 날마다 요구되고 있다. 티탄합금이나 스테인리스스틸, 초경합금 등 기존에는 절삭이 어려웠던 재료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특히 항공산업, 발전 등의 에너지 분야, 의료 관계에서 수요가 높고, 워크 형상은 복잡하고 고정도의 가공 요구가 많다.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절삭공구 메이커에서는 제품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절삭 조건, 용도에 적합한 제품을 전개하고 있으며 유저의 관심도 높다. 그러나 툴홀더는 그 역할의 중요성을 아직 충분히 인정받고 있지 않다. 툴홀더는 공작기계와 절삭공구를 연결하는 어댑터로서 고속·고정도 가공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툴링 메이커에서는 절삭공구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많은 제안을 하고 있다. 난삭재 가공에 대응하는 툴홀더의 과제로서 엔드밀 가공에서 ‘채터’라고 불리는 가공 이상의 억제를 들 수 있다. &lsquo
[첨단 헬로티] 대구기계부품연구원 첨단공구기술지원센터가 11월 27일 난삭재 가공 엔지니어를 위한 ‘난삭재 가공 기초교육’을 실시한다. 최근 난삭재 사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절삭가공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다. 이번 교육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난삭재의 고효율 절삭가공을 위한 기초교육과 국·내외 난삭재 가공 기술동향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교육 내용은 가공 공정 설계를 위한 기초이론, 난삭재 가공용 절삭공구의 공구 선택 방법 및 가공기술, 극저온을 이용한 난삭재 가공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오전 10시부터 진행되는 이번 교육은 먼저 아이제이이노텍 윤인준 박사가 ‘난삭재의 동향 및 공구 선정’에 대해 발표하며, 이어 부산대학교 김정석 교수가 ‘난삭재 가공’이라는 제목으로 절삭가공 이론, 난삭재 가공설계 및 가공사례를 발표한다. 연세대학교 강명구 박사는 난삭소재에 적용되는 극저온 가공기술에 대해 기초 이론과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이번 교육은 절삭공구 관련 수요기업, 제조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대구에 위치한 첨단공구기술지원센터 교육실에서 진행되며 교육 인원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