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총 8개 과제 13개 연구수행기관 지원...소부장 품목의 시장 진출 및 수요기업 연계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김재영)은 경기도 소재·부품·장비산업의 자립화를 위해 2년간 지원한 ‘밸류체인(Value Chain) 강화형’ 연구지원과제가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소부장 국산화의 잠재력을 보여줬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종료된 ‘밸류체인(Value Chain) 강화형’ 연구지원과제는 단기간 내 상용화를 목표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간 총 8개 과제 13개 연구수행기관을 지원하며, 소부장 품목의 시장 진출 및 수요기업의 연계를 도왔다. 나노캠텍은 첨단 전기·전자 디바이스, 전기자동차 등 제품 생산 공정 및 운반 시 성능과 품질을 유지하는 대전방지 이형필름 개발에 성공했다.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외국산 제품 보다 뛰어난 점착률과 온도 및 습도에 강한 성능 그리고 정전기 방지 기능까지 갖춘 우수한 부품이다. 과제 착수 초기 맞춤형 특허 확보 방향과 특허 대응 전략 컨설팅을 받으며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었고, 현재는 사업화 추진과 해외 법인을 통한 시장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지인철은 국내 주요 조선업체들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가스엔진 배기 고온
[헬로티=서재창 기자] 올해 1분기부터 도래한 슈퍼 사이클이 삼성전자를 비롯해 대만 TSMC, 중국 SMIC 등 파운드리 기업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파운드리 기업이 공장 증설 등 투자 확대를 결정하며, 반도체 공급업계는 어느 때보다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반면, 차량용 반도체 물량 부족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유럽을 비롯한 주요 반도체 생산국은 기술 자립화 노선을 택하고 있다. 파운드리 기업, 설비 투자 및 공장 신설 이어져 TSMC는 지난 1월 실적 발표에서 올해 설비 투자액이 250∼280억 달러(약 27조∼31조 원)에 달할 것이라고 공개했다. 특히 설비투자의 80%를 초미세화 선단공정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5나노미터 이하 초미세화 공정에서 애플과 AMD, 엔비디아, 퀄컴 등 고객사들의 주문량이 크게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미국 애리조나에 6개의 대형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도 검토 중이다. 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3위인 미국의 마이크론은 최근 인텔과 파트너십을 맺어 생산해온 ‘3D 크로스포인트’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접고 유타 주에 있는 생산 공장을 팔기로 했다. 마이크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