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자율주행 & SDV 기술 세미나 25일 서울 양재aT서 개최 “자동차 핵심 HW에서 SW로…자동차 기술 발전 가속화 중” 올해 CES 2024에서는 다양한 자동차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이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현대자동차는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소프트웨어와 AI를 기반으로 사람과 모빌리티, 데이터, 도시를 연결하는 미래 변화상을 소개했고, 벤츠, BMW, 혼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AI와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강조했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이하 SDV) 등의 대두와 함께 자동차 업계에서 어느 때보다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자동차 소프트웨어 업계의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을 알아볼 수 있는 행사가 열렸다. 자율주행 2024 자율주행 & SDV 기술 세미나가 25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국내 관련 산학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서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술 현황과 전망을 공유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역사에 대해 개괄하는 발표를 진행한 국내 대학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SDV는 작년 한해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핵심적인
‘2024 자율주행 및 SDV 기술세미나’ 25일 양재동 aT센터서 개최 ‘2024 자율주행 및 SDV 기술세미나’가 오는 25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3층 세계로룸 III에서 개최된다.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Software defined vehicle, 이하 SDV)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제, 인프라, 지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데이터 처리와 소프트웨어 개발이 모빌리티 내부에서 외부로 확대, 모빌리티 제어뿐만 아니라 커넥티드 디바이스·서비스와 융합된 미래형 모빌리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SDV가 자동차 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했고, 현재 자동차 내부의 아키텍처가 변화하고 자동차에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가 결합되고 있다. 25일에 진행되는 이번 ‘2024 자율주행 및 SDV 기술세미나’에서는 학계 및 업계 전문가가 발표자로 나서 SDV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Software Accelerated Vehicle ▲자율주행차 최신동향 및 대응방안 ▲All Ethernet Vehicle – CAN을 대체할 10BA
3D융합산업협회는 미국 재료시험협회(ASTM)와 18일 항공우주산학융합원에서 한미 3D프린팅 분야 민간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내 3D프린팅 산업 진흥을 담당하는 3D융합산업협회와 글로벌 표준‧인증 선도기관인 ASTM이 양국의 3D프린팅 분야 민간협력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협력 도모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업무협약 체결을 축하하기 위해 주한 미국대사관 상무부 Andrew Gately 참사관과 산업부 관계자를 비롯해 국내외 3D프린팅 관련 산학연 관계자가 참석했다.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3D프린팅 분야 ▲선진 교육‧훈련 개발 및 운영 ▲연구개발(R&D) 협력 ▲민간교류 확대 ▲기타 기술 자문 및 정보 공유와 관련해 상호 협력할 것을 합의했다. 특히, 한미 양국의 3D프린팅 기업 간 민간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공동 기술세미나 및 워크숍 개최, 기업 견학 등 교류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올해 4월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韓美 공급망 산업대화(SCCD, Supply Chain Commercial Dialogue)의 3D프린팅 분과 협력방안 중 양국 기업 간의 민간협력 확대 취지를
[헬로티]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하 금형조합)이 오는 7월 1일(수) 우리 조합 금형기술교육원 2층 회의실에서 ‘금형산업 CNC M/C 기반 선진화 스마트 제조솔루션 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금형업계 스마트공장 구축 방향 및 전망을 비롯해 건솔루션, 캐디언스시스템, 닉스앤블루 등 금형업계의 스마트 자동화를 돕는 업체들이 공동으로 시스템 소개 및 솔루션 구축사례 등을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한편, 참석 및 이날 행사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사항은 건솔루션으로 문의하면 된다.
[첨단 헬로티] 농기계 분야 제품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감소하는 방안 논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기업 앤시스코리아가 ‘산학연 농기계 산업 기술혁신 세미나’에서 농기계 관련 제품과 부품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이기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술세미나를 진행했다. ▲ANSYS CFX를 사용해 시뮬레이션한 열 교환기의 예 산학연 농기계 산업 기술혁신 세미나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기반의 기술혁신이 전 산업군에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요즘, 업계 관계자들과 함께 선제적 기술진보를 꾀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개최됐다. 실례로 존디어(John Deere), 캐터필러(Caterpillar) 등 글로벌 기업의 경우 정보분석가, 데이터 사이언스, 시뮬레이션 분야 엔지니어의 채용을 늘려 협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장비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신제품 개발 시 드는 비용과 속도를 대폭 개선해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고객 지향적인 제품을 빠르게 출하하고 있다. 지난 1일 대전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열린 이 세미나는 대동공업, 동양물산, 국제종합기계, LS
[첨단 헬로티]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의 전문가들과 적층제조 기술, 케이스 스터디 공유 3D프린팅 기술 공급 업체인 EOS는 EOS AM혁신센터인 HS하이테크와 함께 17일 국내 첫 기술 세미나인 'KOREA EOS DAY 2019'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산업용 적층제조의 선도기업인 EOS가 제조강국인 한국에서 적층제조로 이룰 수 있는 제조혁신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된 기술 세미나다. ▲EOS는 EOS AM혁신센터인 HS하이테크와 함께 17일 국내 첫 기술 세미나인 'KOREA EOS DAY 2019'를 개최했다. EOS의 최고고객운영책임자인 베르트랑 반더리(Bertrand Humel van der Lee)는 "한국은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으로 적층제조의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국가이며 적층제조 시장도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현재 EOS와 함께 다양한 산업군에서 개발되고 있는 적층제조 제품의 양산화를 물심양면 지원하고자 본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고 말했다. KAMUG(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의 주승환 회장 역시 기조연설에서 금속 적층제조의 미래에 대해 설명하며 "금일 KOREA EOS DAY 2019를 통해 미래의 적층제
[첨단 헬로티] 마이스포럼이 오는 2019년 7월 2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3층 세계로룸II 에서 ‘2019 자율주행 기술 및 전동화 기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커넥티드카(Connected), 자율주행차(Autonomous), 모빌리티 쉐어링(Sharing), 전동화(Electrical)로 언급 되어지는 최근 자동차 업계는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자동차가 주도하는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본격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 고갈우려, 환경규제 강화로 수소차 등고효율·친환경 자동차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7월 23일(화)에 진행되는 이번 ‘2019 자율주행 기술 및 전동화 기술세미나’는 학계 및 업계 전문가 초청을 통해 ▲자율주행 정책동향 및 상용화 전략 ▲자율주행 기술 경쟁의 새로운 핵심 딥러닝 ▲자율차량을 활용한 서비스 모빌리티 플랫폼 관련 기술 ▲자율주행 차량용 Sensing camera 시장 및 기술 개발동향 조사 ▲전기자동차용 모터 시스템 및 전동화 시스템 기술동향 ▲수소경제와 수소전기차 ▲자동차 산업 현황 및 미래 먹거리 전략 과 같은 주제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이번 세미나는 7
한국산업기술협회는 지난달 28일 한국산업기술협회 컨퍼런스센터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부품소재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디스플레이용 복합소재의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초굴절 OLED 투명전극 소재와 OLED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고내열 광학기판 재료 및 필름화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고품질 그래핀 소재/부품을 위한 성능개선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투습, 내구성 향상, 정전기 방지를 위한 Barrier 코팅 및 기능성 코팅 소재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미래형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전자섬유) 소재 기술개발 동향 및 적용사례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투명전극 소재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디스플레이/조명용 W-OLED 발광소자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신축성 차세대 투명전극 소재별 특성/실태와 국내외 기술개발동향 및 적용사례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이 진행됐다. 한편 한국산업기술협회는 기업체 산업기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현장실무중심의 전문산업기술연수 교육 및 진단을 통해 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김혜숙 기자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