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데이터기반 스마트시티 혁실모델을 구현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5년간 1159억 투입 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25년까지 연평균 18.4%씩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도시의 인구 집중화로 각국에서는 ICT 기술을 활용해 각종 도시문제의 해법을 찾는 중이다. 그 대안으로 스마트시티 구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기업 (주)이노그리드는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스마트시티 국가전략프로젝트'에 전자부품연구원(KETI), LG유플러스와 함께 선정돼 이노그리드의 오픈스택 기반 '오픈스택잇(OpenStackit)'으로 1단계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에 들어간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스마트시티 사업은 지난 2016년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9대 연구개발사업 중 하나로 도시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지속가능한 성장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혁신 모델을 구현하는 대규모 실증연구개발 사업으로 올해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1159억 원이 투입된다. 이노그리드가 참여하는 핵심 사업은 스마트시티 모델 및 기반기술 개발에 있다. 스마트시티의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실증 세부 이행 로드맵 [자료=산업부] [헬로티]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과 동시에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혁신적 탄소자원화 기술의 조기 확산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실증 로드맵’을 수립하고 발표했다. 정부는 마련된 로드맵에 따라 내년 초에 범부처 단일 사업단을 발족하고, 향후 6년간 총 475억 원을 투자해 탄소자원화 기술의 실증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실증 로드맵은 탄소자원화의 두 가지 기술군(탄소 전환·광물) 별로 실증이 가능한 핵심 요소기술을 도출해 추진 내용과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추진 일정을 제시한다. 아울러, ‘탄소자원화 전략 플랫폼’을 구축, 실증 사업을 통해 수집된 온실가스 정보를 DB화하여 감축량 산정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실증성과를 확산하는 계획도 포함하고 있다. 정부는 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를 추진하여 국내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완화하는 동시에, 탄소자원화 신 기후산업 창출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2030년까지 연간 2500만 톤 온실가스 감축과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