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 참여 중소기업 모집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이공계 학·석·박사 출신의 전문 연구인력을 지원하는 '2023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6일 밝혔다. 중기부는 중소기업이 직접 연구인력을 채용할 경우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하며 공공연구기관의 전문 연구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해 지원할 경우에는 파견인력 연봉의 50%를 최대 6년간 지원한다. 중기부는 올해 직접 채용 중소기업 350개과 파견 중소기업 120개 등 470개 안팎의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으로 채용 지원은 공고일 1년 전부터 협약 체결일(5월 예정)까지 연구인력을 신규 채용한 기업만 신청할 수 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오는 7일부터 내달 7일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22.2% 늘어난 1만5,383건 민간으로 이전 지난해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기관이 개발한 기술 중 민간으로 이전된 건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국내 공공연구기관 281곳(공공연구소 138곳, 대학 143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건수는 전년 대비 22.2% 늘어난 1만5,38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에 세운 직전 최대 기록(1만2,592건)을 뛰어넘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이 같은 성과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세대, 경희대 등 4개 기관의 기술이전 건수가 1,680건 증가한 영향이다. 또한 기술이전율은 2007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40%를 돌파했다. 기술이전율은 신규 확보 기술 중에서 민간으로 이전된 기술이 차지하는 비율로, 지난해 신규 확보 기술(3만7천594건)은 전년 대비 5.9% 늘었다. 이중 기술이전 건수는 더 큰 폭으로 늘어 기술이전율이 상승했다. 산업부는 "수년간 30% 중반대에 머물렀던 기술이전율이 처음으로 40%를 넘어섬에 따라 앞으로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