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Ohm의 안테나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태그로 구성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새로운 ST25R200 읽기/쓰기 IC를 탑재한 혁신적 개발 키트를 출시, 비접촉식 NFC(Near-Field Communication) 기술 기반의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탐색하도록 지원한다. ST의 최신 세대 ST25R200 NFC 트랜시버는 강력하고 명확한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첨단 설계와 함께 저전력 소비, 신호 품질 및 전력관리용 제어 기능까지 모두 겸비하여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이 리더 IC를 평가할 수 있는 STEVAL-25R200SA 키트는 전원만 공급하면 즉시 동작 가능한 초소형 ST25R200 보드와 단일 및 이중 안테나 등 유연한 설계를 지원하는 다중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다. 이 평가 키트는 50Ohm의 안테나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태그로 구성돼 있어 사용자가 쉽게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모듈형 키트는 기기 페어링, 설정 구성, 제품 인증을 통한 브랜드 보호를 위해 편리한 단거리 무선 통신을 신속하게 시연할 수 있는 개념 증명 모델을 빠르게 구축한다. 메인 보드와 안테나는 NFC 인증을 받았으며, 의료 기기와 전동 공
매시브 IoT 시장 전반에 걸쳐 확장 가능한 제품 개발 및 구축 간소화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는 최소형 및 최저전력의 nRF9151 SiP(System-in-Package)와 nRF9151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nRF9151은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고, 독립형 셀룰러 모뎀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MCU를 비롯해 통합 기능을 갖춘 사전 인증된 SiP다. 이 SiP를 이용하면, 산업 자동화, 자산 추적, 스마트 시티, 스마트 미터링, 스마트 농업 등과 같은 매시브 IoT 시장 전반에 걸쳐 확장 가능한 제품의 개발 및 구축을 간소화할 수 있다. nRF9151은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셀룰러 IoT 기술의 상당한 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이다. nRF9151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포함된 하드웨어를 비롯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툴 및 세계적 수준의 지원 등이 제공되는 포괄적이면서도 컴팩트한 솔루션이다. 이전 세대 제품인 nRF9161과 마찬가지로, nRF9151은 3GPP 릴리스 14 LTE-M/NB-IoT 글로벌 커버리지와 DECT NR+를
[헬로티] 기술이 많은 사람을 매혹시키고 있다. 기술을 직업으로 다루는 사람들도 많지만, 전자 기기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 숫자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어떤 이들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이 상업적인 제품으로 나와 있지 않아서 개발을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다 보니까 결국에 성공적인 벤처 회사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오늘날 많은 혁신적인 것들이 이렇게 해서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자사의 R&D 활동에 대해서 매우 엄격하고 체계적인 심사를 거친다. 그래서 위험성이 높은 사업이나 틈새 사업 같이 투자 회수가 불확실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자원을 할당하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메이커(제작자)’들은 이러한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열정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추구할 수 있으며 차고에 틀어박혀서 개발에 나설 수 있다. 유명한 많은 기업이 이런 식으로 시작되었다(대표적인 사례로 HP와 Apple을 들 수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구석방에서 미래의 성공적인 기업이 탄생하고 있을지 모른다.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 기반의 회사를 시작하는 것은 비교적 손쉽다. 혁신적인
[첨단 헬로티] 코로나19 진단 분석 기술 지원 및 원격근무 서비스 무료 제공 신종 바이러스 코로나19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제적인 비상사태에 직면한 가운데 글로벌 IT 기업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태 해결을 위해 지원에 나섰다. 이들 기업은 바이러스 진단 솔루션과 분석 개발을 위해 지원금을 기부하고 자사의 핵심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의 원격근무, 화상회의 등의 디지털 업무 생산성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서비스를 개발해 무료로 배포하기 시작했다. AWS, 엔비디아 - 바이러스 진단 개발 및 분석에 지원 코로나19를 빠르고 정확하게 발견 및 테스트하는 진단연구 개발이 시급하다. 효과적인 진단은 감염 억제와 치료를 가속화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전염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진단 연구 개발에는 고도화된 컴퓨팅 기술이 요구된다.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는 코로나19 진단 솔루션을 개발 중인 기업들이 시장 출시속도를 앞당기고, 유사한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는 조직들 간에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AWS 진단개발 이니셔티브(AWS Diagnostic Developme
[첨단 헬로티]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가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디스커버리 키트(Discovery Kit) STM8-SO8-DISCO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ST는 “새로운 키트는 제품 3종을 단일 보드에 내장했으며 꼭 필요한 기능과 단순화된 구성으로 개발 단계를 가속화해준다. 보드와 상호 작용하는 단일 버튼과 LED 표시기를 갖추고 있으며, 임베디드 STLINK/V2 및 USB 포트를 이용해 연결된 PC에서 인-서킷(In-Circuit) 디버깅 및 프로그래밍을 간단하게 처리한다”고 소개했다. 또한, “MCU들은 소형 메인보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플러그 타입의 DIL-8모듈에 각각 솔더링돼 있어 프로토타입 제작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지원되는 MCU는 STM8S001J3M3, STM8L001J3M3, STM8L050J3M3이다. STM8S001J3M3은 3개의 비교기 출력과 3개의 캡처-비교 채널, 10비트 ADC 및 8비트 타이머와 첨단 16비트 타이머 등의 기능을 갖췄다”고 덧붙였다. ST는 “저전력 S
[첨단 헬로티] 즉시 사용 가능한 센서 플랫폼으로 업계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및 향상된 센서 기술 제공 에너지 효율 혁신을 주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업계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기술에 기반한 RSL10 센서 개발 키트(RSL10 Sensor Development Kit)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엔지니어링 전문가용인 이 개발 키트는 첨단 스마트 센서 기술로 I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포괄적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설계됐다. ▲RSL10 센서 개발 키트는 최저 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기술에 기반한다. RSL 10 센서 개발 키트는 고도로 통합된 RSL10 시스템-인-패키지(System-in-Package)와 보쉬 센서텍(Bosch Sensortec)의 다양한 고급 저전력 센서를 함께 제공한다. 이 개발 플랫폼은 9 자유도(9 Degrees of Freedom, DoF) 감지 및 주변 광,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압력, 상대 습도와 기온 등 환경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사용자 프로그래밍 가능한 RGB LED, 프로그래밍 가능한 버튼식 스위치 세 개, 64kbit EEPROM과 더불어 초 저 노이즈 디지털 마이크도 포함한다. 보쉬 센서
[첨단 헬로티] 웨어러블 기기에서 스마트 조명에 이르기까지, 전자제품과의 상호작용 방식으로서 음성 컨트롤의 소비자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 요구 충족을 위해 개발자들은 최종 애플리케이션의 각기 다른 BOM(Bill of Materials)과 폼 팩터 요건 충족을 위한 확장성 문제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때문에 개발키트 공급기업들은 이에 대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도 자회사인 마이크로세미(Microsemi Corporation)를 통해, 원거리 음성 픽업(far-field voice pick up) 기능 탑재 및 다중 마이크 어레이 구성으로 디바이스 개발에 유연성을 부가하는 아마존 알렉사 음성 서비스(Alexa Voice Service: AVS)용 AcuEdge™ ZLK38AVS 개발 키트(AcuEdge™ ZLK38AVS Development Kit)를 출시했다고 9일 발표했다. 마이크로칩은 “아마존이 승인한 단일 마이크 핸즈프리 구성과 이·삼중 마이크의 원거리 구성을 갖춘 오디오 프론트 엔드 개발 키트인 이 솔루션은 300 MHz DSP와 음성 프로세싱 전용 하드웨어 가속기를 탑재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새로운 올인원 IoT-노드 개발 키트의 핵심 솔루션인 BlueNRG-Tile을 출시했다. 타일/코인 형태의 이 초소형 개발 키트는 센서를 완벽 보완하는 제어 및 프로세싱 성능을 제공하는 ST의 BlueNRG-2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5.0 단일-모드 SoC(System-on-Chip)를 기반으로 구현됐으며, 가까운 스마트폰의 무료 iOS나 안드로이드 데모 앱으로도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 다중-노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최대 256KB의 임베디드 플래시 메모리와 Arm Cortex-M0 코어를 지원하는 BlueNRG-2 SoC는 최대 3만2000개 노드의 메시 네트워킹(Mesh Networking)을 지원함으로써, 스마트 홈에서 대규모 산업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모든 요건에 맞게 센싱 및 원격 모니터링 범위를 대폭 확장할 수 있다. ST는 BlueNRG-2 SoC를 중심으로 완벽한 기능의 초저전력 센서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으며, 여기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지자기 센서, 압력 및 습도, 온도 센서와 마이크, FlightSense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공간을 절감해주는 20mm 직경 코일로 최대 2.5W의 초소형 충전기를 신속하게 개발하게 해주는 플러그 앤 플레이 배터리 충전기 개발 키트(STEVAL-ISB045V1)를 출시했다. 이 키트는 스마트 워치, 스포츠나 헬스케어 장비와 같은 소형 IoT 및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기를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 무선 충전 트랜스미터 컨트롤러STWBC-WA를 기반으로 구축된 이 키트는 20mm 코일이 사전 연결되어 있어 즉시 사용가능한 트랜스미터 보드를 갖춘 충전 베이스 장치로 구성돼 있다. 이 키트는 STWBC-WA를 구성하고 전원 공급 및 브리지 주파수, 복조(demodulation) 품질, 프로토콜 상태와 같은 런타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PC 기반 STSW-STWBCGUI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손쉽게 개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GUI를 실행하기 위한 동글(dongle)도 갖추고 있다. 인증된 레퍼런스 보드, 소프트웨어, 상세 문서 등을 갖춘 에코시스템이 지원되므로 급성장하는 스마트 사물 및 웨어러블 분야의 신규 시장에 최소형으로 최고 성능을 제공하는 충전기를 개발자가 신속하게
온라인 전자부품 쇼핑몰 엘리먼트14는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의 MSP CapTIvate 마이크로컨트롤러(MCU) 개발 키트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키트는 실시간 센서 튜닝 기능을 제공하는 편리하고 광범위한 플랫폼으로 단 한 줄의 코드도 작성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키트에 포함된 MSP430FR2633 기반 MCU 보드의 모듈식 디자인, 접근이 용이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 중심 접근법 덕분에 온도조절장치, 백색가전, 개인용 전자기기와 같은 용도에 이상적인 키트이다. 이 제품은 CAPTIVATE-FR2633 타겟 MCU 모듈, EnergyTrace 기술과 HD 통신 브릿지가 사용된 CAPTIVATE-PGMR eZ-FET, CAPTIVATE-ISO UART, I2C, SBW 분리 보드, 구입 즉시 활용 가능한 CAPTIVATE-BSWP 대지정전 데모 보드, 햅틱 및 가드 채널 지원 CAPTIVATE-PHONE 상호정전 데모 보드, CAPTIVATE-PROXIMITY 근접 감지 및 제스처 데모 보드가 포함되어 있다. EnergyTrace 기술이 적용된 MSP430FR2633 기반 MCU 프로그래머/디버거 보드는 TI의Code Composer Studio&tr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