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ESS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배터리, 기업들 반응은 '제각각'
2020~2021년 전남 해남 등 4곳에서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는 모두 배터리 문제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2일 이같은 내용의 '3차 ESS 화재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ESS 화재 사고가 잇따르자 1, 2차 조사를 벌여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화재가 계속되자 학계와 연구기관, 공공기관, 협회 등의 소속 전문가로 조사단을 구성해 2020~2021년 발생한 화재 4건에 대한 3차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는 현장 조사, 발화 배터리 분석, 자료조사, 실증실험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조사단은 2020년 5월 27일 전남 해남에서 발생한 태양광 발전소 화재 원인을 배터리 내부 이상으로 추정했다. 조사단은 특히 고충전율 사용이 화재발생 위험을 높인 것으로 판단했다. 삼성SDI의 배터리가 사용된 이 ESS의 당시 배터리 충전율은 95%로, '옥외 90% 이하' 기준을 초과했다고 조사단은 밝혔다. 조사단은 또 단층촬영(CT)을 통해 발화된 배터리 셀 내부의 구리 집전체 융용 형상도 확인했다. 조사단은 이와 함께 안전관리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소화하려고 했지만 화재가 확산됐다는 점을 지목하며 삼성SDI 배터리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