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는 국내 3대 신용평가회사 중 하나인 한국신용평가로부터 기업신용등급이 기존 ‘AA’에서 ‘AA+’로 상향 조정되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신용등급 상향은 현대글로비스의 우수한 사업성과 재무 건전성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된다. 한국신용평가는 현대글로비스가 종합물류유통기업으로서 물류, 유통, 해운 등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148개 거점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통해 높은 사업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현대글로비스는 낮은 재무 레버리지와 지속적인 당기순이익 및 잉여현금 축적을 통해 2023년 이후 순현금 상태로 전환했으며, 재무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신용평가는 연간 1조 원 이상의 고정자산 투자 계획에도 불구하고 현대글로비스의 영업현금 창출력이 현 수준의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5월에도 한국기업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신용등급 AA를 획득하며 국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최고 수준의 신용도를 인정받았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신용등급 상향을 계기로 기업 가치 제고에 더욱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지난 6월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데이’
SK렌터카는 지난 3일 NICE신용평가로부터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이 'A0(긍정적)'에서 'A+(안정적)', 기업어음 신용등급은 'A2'에서 'A2+'로 한 단계씩 상향 조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로써 국내 3대 신용평가사(NICE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간 신용등급이 'A+'로 모두 일치됨에 따라 투자기관 등 외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회사 신뢰도와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성과를 이뤄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NICE신용평가는 "자동차 렌털 시장에서의 우수한 사업 기반 및 SK그룹과의 사업적 시너지를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능력 등을 고려했다"며 특히 ▲우수한 사업 안정성 ▲양호한 수익성 ▲우수한 자본 적정성 등을 신용등급 상향 근거로 내세웠다. 앞서 지난해 6월 한국기업평가와 올해 3월 한국신용평가에서도 SK렌터카의 사업 안정성 및 경쟁력 제고 및 수익성 개선 등을 우수하다고 평가하며 'A+'로 등급 상향을 조정한 바 있다. SK렌터카는 지난 2020년 통합법인 SK렌터카 출범 이후 매년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고 있다. 2021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1조 원 돌파에 이어 지난해 약 20% 성장하고, 영업이익 또한 지난해 951억 원으로
한국거래소는 19일 서울 사옥 컨퍼런스홀에서 지속가능연계채권(SLB) 도입을 위한 세미나를 열었다. 지속가능연계채권은 발행기관이 사전에 정한 지속가능 성과목표의 달성 여부에 따라 재무적·구조적 특성이 변동될 수 있는 채권이다. 외부평가기관이 사전, 사후 외부검증을 실시하므로 그린 워싱 우려가 낮다. 이번 세미나는 지속가능연계채권을 사회책임투자(SRI)채권의 한 유형으로 도입 관리함에 있어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고, 지속가능연계채권의 조기 안착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마련됐다. 손병두 거래소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기존 사회책임투자채권은 적격 프로젝트가 있어야만 채권을 발행할 수 있었지만, 지속가능연계채권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목표만 있으면 적격 프로젝트가 없어도 발행할 수 있어 유럽을 중심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손 이사장은 "거래소도 발행 활성화를 위해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규상장 수수료 및 연 부과금을 면제하는 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주제발표 세션에서 국제자본시장협회(ICMA)는 지속가능연계채권 발행 현황과 필요성, 지속가능연계채권원칙(SLBP)을 설명했다. 외부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신세계그룹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를 3.4조원에 인수했다. 이베이코리아 지분 80.0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2015년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당시 인수금액 7조2,000억원) 이후 국내 소매유통시장 내 최대 규모다. 이번 이수로 이마트의 온라인마켓 시장점유율은 쿠팡을 제치고 1위 네이버에 이어 2위로 올라서게 됐다.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인수 전과 후 거래액 순위(2020년 기준) 인수 전 인수 후 순위 및 기업 거래액 순위 및 기업 거래액 1위 네이버 26.8조원 1위 네이버 26.8조원 2위 쿠팡 20.9조원 2위 이마트(이베이+SSG닷컴) 21.1조원 3위 이베이코리아(G마켓, 옥션) 17.2조원 3위 쿠팡 20.9조원 9위 SSG닷컴(신세계) 3.9조원 <출처 : IBK투자증권> 3.4조원, 이마트 50개 출점 금액 수준 "감당할 수 있겠어요?" 하지만 3.4조원이라는 금액은 이마트에게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번 인수금액은 이마트의 자산총액 22.3조원의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