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럭시티는 자사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 ‘PLUG v1.0’이 조달청 ‘벤처창업기업제품’으로 지정되어 조달청 벤처나라에 공식 등록됐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등록으로 중앙정부 부처 및 전국 지자체를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은 별도의 입찰 절차 없이 수의계약 방식으로 해당 솔루션을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됐다. PLUG v1.0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의 객체를 3차원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관제할 수 있는 지능형 통합관제 시스템이다. 플럭시티는 이 솔루션을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인천국제공항 등 주요 인프라 시설에 이미 적용해 운영 중이다. 공간 기반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이벤트의 위치와 맥락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가상 순찰 및 자동 감시 기능을 지원해 운영 효율성과 대응 속도를 향상시켰다. 특히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지능형 CCTV 인증을 획득한 자사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해 화재·침입·설비 이상 등 주요 사고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이로써 플럭시티의 솔루션은 공공 안전, 재난 대응, 시설 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다. 플럭시티는 이번 벤처나라 등록을 계기로 지난
플럭시티가 한국에너지산업과 전략적 사업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글로벌 전반의 도시화 및 이상기후 현상에 따른 냉난방기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건물, 빌딩의 에너지 감축 및 효율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양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 AI 트윈 기반 스마트 에너지 관리 통합 플랫폼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해당 플랫폼은 플럭시티의 AI 트윈 솔루션과 한국에너지산업의 ICT 기반 지능형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융합해 직관적이며 일원화된 스마트 에너지 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에너지산업의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활용해 층별, 공간별, 시간별 에너지 사용량과 절감량, 탄소 감축량 등을 디지털 트윈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에너지 관리와 효율화를 위한 최적화 기능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전략적 사업 제휴 체결로 올해 하반기 내에 PoC를 통해 에너지 관리에 더욱 실효성 있는 사업화 모델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플럭시티는 현재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에 참여하며 디지털 트윈 기반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개발한 경
13일 소노벨제주에서 열린 '2023 AIoT 기술/표준 및 서비스 동향 워크숍'에서 플럭시티 김용하 팀장이 '제조 분야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사물인터넷융합포럼(IoTF)이 주최하고 (사)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가 후원한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