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는 파주·구미 사업장이 응용 안전 과학 분야 국제 공인 기관인 UL솔루션즈로부터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 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국제 표준으로,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소각·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한 비율을 검증해 실버(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한다. 파주 사업장은 지난해 처음으로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한 데 이어 올해 갱신에 성공했으며, 구미 사업장도 폐기물 재활용률을 크게 끌어올렸다. 이로써 LG디스플레이는 국내 모든 사업장에서 플래티넘 등급을 확보하게 됐다. LG디스플레이는 제품 설계, 제조부터 처리 단계까지 전사 차원에서 자원 순환 과제를 발굴해 추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유리와 폐합성수지는 협력사와 함께 처리 공정을 개선해 플라스틱과 비닐 원료로 재활용하는 공동 특허를 확보, 매립량 제로화를 실현했다. 또한 폐기물 발생부터 처리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 국내 전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약 9만6000t으로, 2022년 약 12만8000t
"삼성D가 배출한 폐유리, 삼성D 신사옥으로 재탄생" 공정 폐유리 재활용 시멘트, 기흥 신사옥 건설에 사용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서 나온 폐유리를 혼합해 만든 '재활용 시멘트'가 삼성디스플레이 신사옥 건설에 사용된다. 'SDR(Samsung Display Research)' 공사에 디스플레이 생산공정에서 발생한 유리 폐기물을 재활용한 시멘트 2만여 톤이 투입된다고 20일 밝혔다. 신규 사옥 건설에 필요한 전체 시멘트의 약 34%에 해당하는 양이다. 유리는 투명하면서 내열성이 높고 두께가 일정해 디스플레이 기판 등 산업 현장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리의 주원료인 모래 자원 보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업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유리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에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08년부터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폐유리를 시멘트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16년 이후로는 전량 재활용 처리하고 있다. 이렇게 삼성디스플레이가 재활용한 유리는 누적 24만 5000톤에 육박한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통상 유리 1톤을 생산하는 데 0.8톤 정도의 모래가 필요한데, 24만 5000톤이면 부산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