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2배 매출 기록...SaaS 사업 확대 계획 알체라가 2021년 매출액 100억원을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알체라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한 지난해 매출 실적은 100억원으로 전년 약 46억 원의 2배가 넘었다. 이는 역대 최대 매출액이다. 부문별로는 AI 안면인식 사업 매출이 약 65억 원으로 전년의 약 10억원의 6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알체라는 외교부, 인천국제공항 등 공공기관과의 사업을 통해 AI 안면인식 기술 신뢰를 쌓은 것이 신한카드, 토스뱅크, 토스증권 등 금융권 사업으로 이어져 매출이 증대한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데이터사이언스 사업 매출액은 약 23억 원으로 전년의 16억 원에 비해 50%가량 신장됐다. 삼성, 현대모비스, SK텔레콤 등 대기업들의 AI 도로자율주행, 안면인식 AI 성능향상 DB 학습 용역 등을 수행하면서 매출이 늘었다. 매출액 증대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와 마케팅에 집중하면서 영업이익 적자 폭은 약 60억 원 확대됐다. 알체라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기업 규모를 확장하면서 인건비, 연구개발 및 마케팅비 등이 가파르게 증가한 때문으로 분석했다. 알체라는 올해 실적 개선을 위해 향후 SaaS
미국 ABC 특집 다큐 집중 조명...‘산불 감지 대표기업 알체라’ 소개 알체라가 미국 3대 지상파 방송사 중 하나인 ABC 방송의 특집 다큐 ‘STAYING ALERT: Wildfire Prevention’를 통해 집중 조명됐다고 밝혔다. ABC는 지난 2월 26일과 27일 두 차례에 걸쳐 미국 캘리포니아 주 전역에 산불 특집 다큐를 방영했다. ABC는 방송을 통해 알체라를 ‘캘리포니아 주 대표 산불감시 AI 기업’으로 소개했다. 캘리포니아는 미국 최대 산불 피해 지역으로, 알체라는 지난 2021년부터 소노마카운티에 클라우드 기반 SaaS 모델 파이어스카우트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ABC는 파이어스카우트의 AI 기술 적용 방법을 상세하게 다뤘다. 화재 감시 카메라에서 알고리즘 딥러닝으로 연기를 감지·분석하는 단계부터 즉각 알람 시스템으로 현지 소방관들이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전 과정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했다. ABC는 특히 알체라의 야간 산불감시 시스템을 활용해 소노마카운티의 산을 24시간 모니터링하는 모습과, 카메라 메타데이터로 산불 방향을 자동 추정하는 기술을 의미 있게 다뤘다. 그동안 소노마카운티는 6차례에 걸친 알체라의 조기 화재 경보로 산불 진화의
파이어스카우트, 99% 정확도로 주·야간 산불 현상 잡아내 알체라가 미국에서 열린 ‘2022 자연재해 엑스포’에 참가해 산불 감지 솔루션 ‘파이어스카우트’를 소개했다. 자연재해 엑스포는 화재, 홍수, 지진 등 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최첨단 기술 및 서비스를 소개하는 글로벌 박람회로 수천 명의 재난 전문가 및 정부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보우 로저스 알체라 미국 현지법인 부대표는 “미국 서부의 산불 재해 비용은 매년 수십억 달러에 달할 뿐 아니라 인명손실도 크다”며 “알체라는 딥러닝 기반 산불 조기 감지 AI 솔루션 파이어스카우트(FireScout)를 통해 사람과 재산을 보호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어스카우트는 SaaS 기반 솔루션으로, 산을 비추는 영상 카메라에 AI를 연결해 연기 등 이상상황을 조기에 감지한다. 판단 정확도는 99%로 주·야간 모두 감지 가능하며 구름이나 도시 불빛 등 방해요소를 정확히 가려낼 수 있다. 연기의 방향과 각도로 산불 발생 위치도 추정해낸다. 알체라는 지난해부터 미국 캘리포니아 주 소노마카운티에서 파이어스카우트를 상용화했으며, 미국 서부 최대 전력회사인 PG&E와 카메라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알체라는 이번 솔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