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참석, 산학연 전문가 의견 청취… "국익 확보에 총력"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4월 16일(수) 오전 9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제1차 통상정책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공동위원장인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허윤 교수와 함께 진행된 이번 회의에서는 미국의 품목/상호 관세 등 통상 조치에 대한 본격적인 대미 협의를 앞두고 정부의 대응 전략을 점검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산업부 통상교섭본부는 그간 미국과의 협의 상황을 공유하며, 산학연 통상 전문가 풀인 통상 정책자문위원회를 통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정인교 본부장은 최근 방미(4월 8일~9일) 결과를 설명하며 "90일의 유예기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우리 대응 전략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 협상에 임해 국익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이 한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임을 강조하며 "조선, 에너지 등 양국 간의 주요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경제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의를 주재한 허윤 공동위원장은 "관세 조치와 관련하여 주요국과 미국 간의 협상이 더욱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통상교섭본부가 30일, 대한 상의에서 ‘글로벌 백신 허브 산업통상 지원 TF’ 발족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쉽 성과 창출을 위한 산업통상 분야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국내 백신 원부자재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과 글로벌 백신기업의 국내 투자 유치를 통한 글로벌 백신 공급망 강화에 우선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취임 직후 백신 원부자재 기업이자 소부장 기업인 이셀을 방문해, 관계부처·유관기관과 함께 ‘One Team Korea’로 우리나라의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을 지원하고 글로벌 백신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통상교섭본부 내에 ‘글로벌 백신허브 산업통상 지원 TF’를 설치하고 구체적인 산업통상 분야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바 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통상교섭본부가 가진 57개국과의 다양한 FTA 네트워크 채널을 활용해 미국, EU 등 주요국으로 백신 파트너십을 확대해 글로벌 백신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주요국을 대상으로 조속히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포럼 등을 개최해 ▲국내 백신 원부자재 공급 기업과 해외 유수의 글로벌
[첨단 헬로티] G20 통상장관, 기업인 이동 원활화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 모색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은 지난 30일 G20 특별 정상회의의 후속조치 이행을 위해 개최된 G20 특별 통상장관회의(G20 Extraordinary Trade and Investment Ministers Meeting)에 참석, 기업인 이동 원활화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 등을 위한 우리 정부의 구체적인 계획을 설명하고, 참가국의 협조를 요청했다. ▲유명희 본부장은 참석대상은 G20 회원국 및 초청국(스페인, 싱가포르, 스위스, UAE, 요르단)통상장관, 국제기구(IMF, WB, OECD, WTO, WHO, UNCTAD) 대표 등이었다. 유 본부장은 G20 특별 정상회의에서 우리측이 제안한 기업인 등 필수인력 이동 허용, 국가간 경제교류의 흐름 유지 등 관련사항을 제기, 금번 G20 통상장관 각료선언문에 구체적인 문안으로 반영되도록 했다. 금번 회의에서 유 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무역·투자 영향 최소화를 위해 국제적 공조가 시급함을 강조하고, 무역투자 분야 공조방안을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제시했다. ① 기업인을 비롯한 필수인력의 국경간 이동이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국토교통부가 29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각 부처 핵심정책에 대해 토의했다. 이 가운데 산업부의 핵심정책을 알아본다. △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에너지로 전환 노후 원전 수명 연장 금지,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 등 원전 감축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기존 원전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산업계의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분야와 주체, 방식을 전환해 주민 수용성과 경제성을 확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올린다. 또 부처 간 협업을 통해 학교 태양광 보급 등 공동 사업을 확대한다. 노후 석탄발전소 7기를 조기 폐기하고 환경 설비를 개선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2030년까지 50% 감축한다. 또한 신규 석탄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하지 않고,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는 청정 LNG발전소로 전환한다. 미래에너지로의 전환을 원전해체산업 등 새로운 산업 육성 기회로 적극 활용하고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7만 7천개를 창출한다. 올해 하반기 중으로 원전해체산업 민관협의회를 발족해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인력을 양성한다. △ 보호무역주의 적극 대응 및 전략적 경제협력 강화 미국의 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