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탄소중립 EXPO] 탄소 멈춰..! 국내 탄소중립 현주소는?
빠르게 진행되는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된 이래 국제사회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이전 대비 어느 수준으로 억제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2019년 9월 기후정상회의에서 65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유럽·중국·일본의 탄소중립 동참 및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으로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체제가 본격화됐다. 주요 국가 탄소중립 산업정책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청정에너지·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 기반 시설에 약 2조 2,5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계획을 발표하며 탄소중립에 대한 의지를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Eric Masanet 미국 UC산타바바라대 교수는 미국의 국가 아카데미 보고서 내 산업부문 추진전략에 따르면, 시스템 최적화 및 자재 효율성, 전기 공정 가열 기술, 주요 산업 클러스터를 위한 저탄소 전력 등이 강조됐다고 밝혔다. Toshi Arimura 일본 와세다대 교수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2019년 탄소 재활용 기술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해 탄소 저감 혁신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 촉진화를 위해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