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맥스 — 기대치 밑돈 실적, 마진 회복이 향후 관전 포인트 한화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코스맥스(192820)는 2025년 3분기 연결 매출 5,856억 원(+10.5% YoY, -6.1% QoQ), 영업이익 427억 원(-1.6% YoY, -29.7% QoQ)으로, 컨센서스(567억 원)를 크게 하회했다. 한국 법인은 관세 리스크와 고객사 계절성 영향으로 매출이 +10.3% 성장에 그쳤고, 인니 법인은 중국산 저가 공세로 -33.4% 역성장했다. 태국 법인은 썬케어 부진으로 +36.1% 성장에 머물렀다. 반면 중국 법인은 오프라인 주력 브랜드 확대로 +22.3% 증가, 미국 매출도 신규 고객사 효과로 +13.6% 성장해 연결 매출은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이익 측면에서는 한국 법인 영업이익률이 -2.3%p 하락하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됐다. 주요 원인은 주력 카테고리 물량 감소로 인한 역레버리지 효과와 신규 인디 브랜드 유치 과정에서의 믹스 악화다. 상위 브랜드의 성장 둔화와 신규 히어로 브랜드 부재로 영업이익률이 10~11% 수준에 수렴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고객사 다변화로 주요 거래처 수가 1,700개에서 2,200개로 확대되며 제조 효율성이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 시리즈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솔루엠 ― ESL 업황 부진 속, 미 대형 리테일러 수주가 분수령 iM증권은 솔루엠에 대해 BUY 유지, 목표주가 1.8만 원으로 하향하며 2025·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각각 –36%, –25% 낮췄다. 다만 ESL 3년 수주잔고 약 2.2조 원(연 7천억 원 매출 함의)으로 중장기 외형은 버팀목이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EMEA 수요 둔화·입찰 지연 등 업황 역풍 속에서도 회사는 미국 대형 리테일러향 중·대형 ESL을 개발 중이며 현실화 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TV 부품은 중국발 경쟁 심화로 구조적 어려움이 지속돼 전기차·서버 PSU로의 피벗이 관건이다. GDK 화장품 ODM 인수의 시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는 코멘트도 덧붙였다. 핵심 촉매는 결국 미국향 대형 ESL 수주 가시화다.
LG화학이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화장품 용기를 만든다. LG화학은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코스맥스와 친환경 소재 기반 화장품 용기 개발 및 마케팅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1일 밝혔다. 코스맥스는 로레알 등 1천여개 글로벌 코스메틱 회사를 고객사로 둔 세계 1위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이다. LG화학은 코스맥스에 재활용 고부가합성수지 등 다양한 친환경 소재를 제안하고 화장품 용기 개발부터 마케팅까지 모든 과정을 협력한다. 특히 심미성을 고려한 투명 제품, 안전성과 건강을 고려한 항균 제품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갖춘 친환경 소재 중심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또 열분해유(화학적 재활용)와 바이오 원료를 적용한 소재로도 제품군을 확대할 방침이다. 화장품 산업은 제품 교체 주기가 빠르고 플라스틱 사용 및 폐기량이 많아 친환경 소재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코스맥스 이병만 대표는 "글로벌 고객사를 중심으로 친환경 패키징 개발에 대한 요청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LG화학 ABS사업부장 김상민 전무는 "코스맥스와의 협력을 통해 친환경 소재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화장품 시장의 자원 순환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