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3배 향상, 레진 저장 용량 5배 향상, 최대 80% 인건비 절약, 파트당 40% 비용 절감, 포장재 폐기물 96% 절약가능 폼랩 코리아가 폼 오토, 플릿 컨트롤, 하이 볼륨 레진 시스템을 통해 고품질∙경제적 비용∙생산성을 실현하는 ‘폼랩 자동화 에코시스템’이 출시됐다고 발표했다. 자동화 에코시스템을 통해 손쉬운 사용과 경제적 비용에 기반한 차원이 다른 3D 프린팅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폼랩 자동화 에코시스템은 ▲사용자 노동량 감소 ▲대용량 인쇄 가능 ▲유휴 프린터 시간 최소화 등 다양한 강점을 보유한 폼랩의 최신 3D프린팅 솔루션으로, 올해 1월 CES 2023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 폼랩 자동화 에코시스템을 사용하면 작업자 없이 연속적으로 인쇄가 가능하다. 작업자의 노동량을 줄이고, 대용량 레진 시스템을 통한 대용량 인쇄, 연중무휴 생산으로 유휴 프린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당 비용을 낮추면서 최종 사용 부품, 프로토타입 및 맞춤형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사용자들이 3D 프린팅을 여러 대의 프린터로 확장할 때 손쉬운 전환이 가능하다. 폼랩코리아에 따르면, 출력물 파트의 기하학적 형상, 소재, 배치, 방향
[헬로티] 한국에서의 토너 카트리지 특허 침해에 대한 판결 합의 및 파트너와 소비자, 지적 재산권 보호 나서 HP 코리아는 위조 및 사기 방지(HP Anti-Counterfeiting and Fraud, 이하 ACF) 프로그램의 결과를 공개했다. ▲출처 : HP 지난 8개월 간 한국을 비롯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전역에 걸쳐 250만 달러 상당의 위조품을 적발했으며, 1만2천800개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 품목을 삭제했다.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비중이 늘어나며, 이에 따른 위험성 역시 함께 커지고 있다. HP는 소비자와 온라인 파트너를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ACF 프로그램을 온라인 쇼핑몰에도 확대 적용했다. 그 결과 한국 시장에서 1만833개의 위조품을 적발해냈다. 위조품 및 해적판 상품 거래는 지난 몇 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전체 거래의 3.3%까지 성장했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조직화된 범죄조직이 암시장을 통해 거래하는 위조 상품의 범위가 잉크, 토너 등 인쇄 소모품부터 자동차 부품부터 핸드백, 주류까지 다양하며, 추정 가치 역시 연간 359억 달러에 육박한다. 위조 잉크와 토너 등의 인쇄 소모품을 사용하는 것은 소
[첨단 헬로티] 첨단 부품/소재 전문 기업인 ㈜상아프론테크가 유럽을 기반으로 한 알스트롬뭉쇼(AHLSTROM-MUNKSJO KOREA)와 ePTFE멤브레인 필터미디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공급계약 체결의 사업내용은 집진기용 및 가스터빈용 필터 미디어, 공조기용 헤파필터 미디어, 가정용(공기청정기, 진공청소기) 헤파필터 미디어, 고온용(석탄화력 발전소와 소각장) 필터 미디어 등이다. ▲왼쪽부터 한국 알스트롬뭉쇼 박원길 대표이사, 상아프론테크 이상원 대표이사, 알스트롬뭉쇼 Giuseppe Costa 부사장 카트리지 타입의 집진기 필터 미디어는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2016년 2만4500톤 규모에서 2021년에는 3만3000톤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 가운데 상아프론테크가 공급 예정인 ePTFE 필터 미디어는 2016년 시장 점유율 3%에서 2021년 6%로 2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같은 기간 알스트롬뭉쇼 KOREA의 판매 예상량은 71톤에서 297톤으로 15%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상아프론테크가 개발한 ePTFE멤브레인은 우수한 내열성과 내화학성으로 특정 물질의 고효율 여과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그
SPQ 1010 잉크는 쉽고 사용이 편리한 HP 열전사 잉크젯 45Si 카트리지를 통해 식품, 제과류, 화장품 및 담배 산업의 제조 및 포장업체를 위한 일관적인 품질의 고해상도 고속 인쇄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 잉크는 제품 범주 내에서도 독보적이며, 특허 받은 Chemical Decapping Process와 업계 최상의 건조 시간이 결합된 최신 기술력의 제품이다. 또한 마켐이마지 열전사 잉크젯 프린터 1000시리즈와 완벽하게 호환된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