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110%, 공구 수명 36%↑”...제조업 효율 극대화 해법 제시해 샌드빅코로만트(Sandvik Coromant)가 복합 소재 가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드릴링 새 솔루션 ‘CoroDrill Dura 462’를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은 제조업계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개발된 다목적 드릴 제품이다.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공구 교체 빈도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구 비용 절감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특히 미립자 초경 합금 모재(Fine-Grain Cemented Carbide Substrate)와 최적화된 미세 구조를 채택해 내마모성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더불어 초경 합금(Cemented Carbide), 연성 합금(Soft Alloy) 등 깍기 어려운 재료를 가공하는 데에도 일관된 정밀도를 유지한다. 사측에 따르면, CoroDrill® Dura 462의 설계 중점 요소는 절삭 부하를 줄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또한 특수 설계된 여유각과 단일 마진 구조(Single margin design)는 열 발생을 최소화해 공구의 안정성·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솔루션은 샌드빅코
[첨단 헬로티] 절삭 가공에서 트러블을 완벽히 피할 수 있을까? 각 공구마다 최적의 가공 환경을 표준으로 제시하기는 하지만 실제 가공 현장에서는 여러 외부 요소가 가공 트러블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존 가공 표준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트러블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절삭 가공에서의 트러블 대책이나 개선 방법을 구상하는 경우, 절삭날 재종을 변경해보는 것은 물론 가공 상태 그 자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공작기계나 공구, 피삭재, 절삭유를 포함한 절삭 조건 등 각 가공 요소가 적절한가를 확인하여 문제 발생의 요인을 제거하고 보다 안정된 것으로 수정·부가·교환 또는 재구축해야 한다. 이번 [Tech Tip]에는 전반에서 주요 공구 재종에 따른 트러블 대책을 검토한다. 이 콘텐츠는 도서출판 성안당에서 발행한 [공구 재종의 선택법·사용법] 중의 일부를 발췌하고 다듬은 것이다. 공구의 손상 공구의 손상 형태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마모 • 여유면 마모(flank wear) : 대표적인 마모에 ‘기계 긁힘 마모’가 있다. 열의 영향이 적고 마찰에 의해서 조금씩 깎여 나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