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관절 로봇용 힘·토크 센서 기술력 발휘한다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정밀 제어 및 안정적 작동 구현 ‘신호탄’ 에이엘로봇이 ‘K-휴머노이드 연합’의 신규 참여 기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따라서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의 핵심 부품 기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맡게 됐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국내 로봇 산·학·연·정 공식 협력 플랫폼으로, 지난 4월 공식 출범했다. 이들은 로봇 인공지능(AI) 모델, 로봇 하드웨어, 반도체, 배터리 등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휴머노이드 최강국 실현을 꿈꾸고 있다. 에이엘로봇은 다관절 로봇용 힘·토크 센서 분야에서 상용화 기술을 확보한 업체다. 힘·토크 센서는 로봇의 관절에 장착돼, 힘·토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부품이다. 구체적으로, 로봇이 물체를 잡거나 조작할 때 가하는 힘의 세기와 회전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핵심 부품이다. 인간의 손가락 끝에 달린 촉각 센서처럼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로봇이 물건을 깨뜨리지 않고 섬세하게 다루거나 예상치 못한 충돌을 피하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국내 협동로봇 대표 제조기업 뉴로메카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됐다. 뉴로메카는 이번 ‘임의의 기구학적 형상에 대응 가능하고, 편리하고 안전하며 인공지능 통합 가능한 5kHz 이상급 로봇제어기 제품 개발’ 사업을 통해 지능형 로봇제어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이 사업은 협동로봇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로봇에 적용 가능하며 비전, 인공지능, 안전제어 등의 다양한 지능형 제어솔루션을 통합할 수 있는 로봇제어기를 개발, 상용화하여 4차 산업혁명, 인간 로봇 간 협업 증대에 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정부 과제는 국제공동연구로 4년간 50억 원의 정부출연금을 받게 되며, 주관 기업인 뉴로메카를 필두로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카이스트, 다인큐브 등 로봇 제어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전문기관들로 국내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특히 독일항공우주센터(DLR)와 국제협력을 통해 세계 수준의 로봇 제어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뉴로메카 이성우 IMC팀장은 “이번 제어기 개발을 통해 로봇을 포함한 여러 자동화 장비의 빠른 발전과 시장 확대를 기대한다” 며 이번 사업의 의미를 강조했다.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