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뉴스 ETRI 개발 '기계학습 기반 주파수 사용량 분석 및 예측' 국제 표준으로 자리 잡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ETRI가 개발한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주파수 사용량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방법이 국제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 부문 스펙트럼 관리 연구반(ITU-R SG1)회의'에서 ETRI가 개발한 '기계학습 기반 스펙트럼 가용성 예측 방법'이 신규보고서 초안 작업문서로 채택됐다고 전했다. 이로써 우리나라가 미래 주파수 이용에 대비한 연구 기술을 선점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펙트럼 가용성'이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스펙트럼 가용성을 정확하게 분석해야 주파수 사용량 및 포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쓰지 않는 주파수는 회수해서 재할당하는 등 전파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간 스펙트럼 가용성은 단순화된 수학 모델을 통해서 분석되어 복잡한 전파 환경을 분석하기 어려웠다. 또한, 다양한 주파수 종류와 사용 형태에 따른 분석 방법을 정리한 표준 문서가 없어 참고할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이었다. ETRI는 주파수 종류별, 사용행태별 스펙트럼 가용성 분석 방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