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다수가 저탄소 에너지 확보에 어려움 겪어 전체 반도체 생태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80% 이상이 전기 소비로 인한 간접 배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의 에너지협의체는 '국내 저탄소 에너지 확대 및 조달을 위한 과제와 잠재적 해결 방안' 보고서에서 "반도체 가치사슬상 탄소 배출량 중 83%가 전기 사용에서 비롯했다"며 "저탄소 에너지 공급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에서 활동하는 기업 중 다수가 저탄소 에너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한국은 최대 전력망 배출 집약도에서 8위, 최저 저탄소 에너지 비율에서 6위에 올랐다. 정부는 전력 발전 믹스 내 저탄소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을 2022년 36%에서 2030년 53%로 확대하는 목표를 수립한 상태로, 해당 증가분 가운데 태양광 및 풍력은 약 60%, 원자력은 30%, 저탄소 연료는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SEMI는 "한국의 저탄소 에너지 시장은 2030년의 목표 대비 15∼30TWh(테라와트시) 격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격차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첨단 헬로티] 지난해 한국전력 매출액은 2017년보다 1.4% 증가한 60조 6,275억 원이었다. 영업 손실은 2,080억에 그쳐 적자전환을 이룰 수 있었다, 여기에는 가장 많은 전기를 소비한 산업부문의 역할이 컸다. 하지만 염려되는 부분이 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와 이에 파생하여 발생하는 미세먼지 문제다. 이에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관계자는 “산업용 전기요금 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견인한 것은 맞지만, 이제 산업용 전기요금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전력 판매량 증가에도 평균 판매단가 하락으로 수입 적어 지난해 전력 판매량은 3.6% 증가했으나 평균 판매단가 하락으로 전력판매 수입은 높지 않았다. 전력판매 수입 금액은 57조 2.170억 원으로 2017년 대비 2.9% 증가에 그쳤다. 전력 판매단가는 108.7원/kWh으로, 2017년 전력 판매단가(109.5원/kWh)보다 0.7% 하락했다. 전력사용 용도별로 구분하면 전력사용 비중(총 95.3%)이 큰 주택(가정)용 1.6원, 산업용 0.9원, 일반(상업)용 0.4원, 농사용 0.2원으로 낮아졌다. 반면
[첨단 헬로티]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는 3월 4일, 지난해 국내 총 전력소비량이 52만 6,149GWh라고 발표했다. 국내 전력소비량은 지난 10년간(2009-2018년) 연평균 3.2%가 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력소비 증가율은 2010년 10.1%로 정점을 찍은 후 2011년 4.8%, 2012년 2.5%, 2013년 1.8%, 2014년 0.6%로 둔화되어 왔지만, 2015년부터 1.3%, 2016년 2.8%, 2017년 2.2%, 2018년에는 3.6% 상승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 뱅크> ▲ 연도별 전력소비량 현황(단위 : GWh, %) 국내 소비 전력, 대부분 산업부문이 견인 2009년 대비 10년간 국내 전력사용량은 33.4% 증가했다. 특히 농사용(91.3%), 산업용(41.5%) 전력사용량은 40% 넘게 증가했다. 교육용 역시 34.2% 증가했다. 하지만 일반(상업)용은 30.5%, 주택용은 22.7%, 가로등은 21.3%로 전체 증가율보다 낮았다. 심야는 2011년 감소로 전환한 이후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역시 34.3%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국내 전력소비는 대부분 산업부문에서 견인하고 있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올해 3분기 전력소비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 증가했다. 산업부가 발표한 3분기 전력소비량 동향에 따르면 3분기 전력소비량은 1262억 1000만 kWh로, 지난해 1210억 6000만 kWh보다 49억 5000만 kWh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분기별 전기소비량을 살펴보면 지난해 4분기에는 전년 대비 0.9% 감소했지만, 올 1분기에 1.8% 증가세로 돌아선 후 2분기에는 1.5% 증가, 3분기에는 4.3% 증가세를 기록했다. 용도별 소비량은 농사용이 가장 높은 10.8%의 증가세를 보였고, 주택용(10.0%), 교육용(9.7%), 일반용(7.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산업용은 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일반용과 주택용 전력소비가 증가한 것은 여름철 평균기온 상승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농사용은 신규 사용 호수 증가와 폭염으로 전력소비가 크게 늘었다. 교육용도 여름철 냉방수요 증가가 원인으로 작용했다. 산업용의 경우는 업종별로 차이가 컸다. 반도체와 석유정제는 각각 16.5%, 9.3% 증가한 데 반해 철강과 자동차는 각각 -2.1%, -3.5%의 감소세를 보였다. 지역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