슐터(SCHURTER)는 2년 연속 FSAE 일렉트릭(UC Davis) 공대생들의 포뮬러 레이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매년 미국 전역에서 온 대학생들이 포뮬러 SAE 일렉트릭 대회에 참가한다. 자동차 공학회는 전기 자동차(EV) 엔지니어들이 오픈 휠, 1인승, 전기 경주차를 만들고 플랫폼을 제공하는 이 행사를 감독한다. 슐터의 USF 1206 퓨즈는 e-car #291의 맞춤형 배터리 팩에서 안전에 중요한 과전류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됐다. 배터리 단자 근처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해 적절한 전압 및 전류 등급을 갖춘 소형 퓨즈가 개발됐으며 USF 1206이 유일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슐터는 전했다. 슐터에 따르면 올해 UC Davis 팀은 작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제작 가능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었다. 배터리 셀의 전력 밀도와 향상된 냉각 효율도 실현됐다. 슐터 관계자는 “UC Davis 포뮬러 레이싱 팀의 공급업체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광주 그린카진흥원이 완성차의 전자파 유해성을 측정하는 국제 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됐다. 광주시는 출연기관인 광주그린카진흥원이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완성차 전자기 적합성(전자파 유해 간섭 환경) 분야 국제공인 시험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3일 밝혔다. 전자기 적합성 평가는 전기·전자기기 또는 시스템이 전자파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고, 환경에 유해한 간섭 방해 요인은 무엇인지 측정하는 것이다. 전기 자동차가 증가하고 자율주행 차량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번 공인은 완성차 주행, 충전 중 안정성과 관련해 상호인정 협정을 체결한 세계 104개국으로부터 공신력을 확보한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고 광주시는 전했다. 전자기 적합성 시험실은 국내 최대 규모로 전장 20m 굴절버스를 시험할 수 있는 챔버(실험실)를 갖췄다. 세계 최초로 전자파 발생 수신장치를 세 방향으로 상부에 매달아 조정할 수 있으며 바닥에는 노면과 동일한 주행 모의시험 설비를 보유해 차량의 자율주행 센서 동작과 전자기 적합성 시험이 가능하다. 그동안 다른 지역에서 인증을 진행했던 지역 완성차, 부품기업의 불편을 해소하고 미래 차 기업의 개발기간 단축, 해외 진출을 지원할 것으로
온세미 시연에서 산업 및 자동차 관련 최신 혁신 선보여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 온세미는 세계 최대 기술 혁신의 무대인 CES 2023에서 최신 혁신을 시연한다고 21일 밝혔다. 온세미는 자동차, 산업 자동화, 클라우드 전력 및 의료 시장, 특히 전기 자동차(EV), 첨단 안전, 공장 자동화 및 에너지 인프라를 위한 첨단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볼륨 불(volume boule)의 성장부터 동급 최고의 통합 모듈, 개별 패키지 솔루션 및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온세미의 엔드 투 엔드 실리콘 카바이드(SiC) 공급망은 시현을 주도할 것이다. 여기에는 트랙션 인버터, 온보드 충전 및 전기 자동차 충전도 포함된다. 온세미의 수직적 통합으로 OEM은 SiC 기술 및 공급 보증에 대한 전문성을 기대할 수 있다. 자동차의 경우는 초고속 다이내믹 레인지 및 플리커 LED 완화, 보기 및 센싱 애플리케이션, 고급 오토바이 안전을 위한 고성능 이미지 센서를 갖춘 지능형 센싱 솔루션을 주목한다. 온세미의 RSL10는 업계 최고의 저소비전력,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지원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선도적인 하이테크 성능 타이어 제조업체의
[헬로티] 재작년 전기 버스 시장 규모 약 13만 대 중 99%가 중국서 판매돼 연평균 27% 성장률 예상, “전망 밝아” ▲Guy Moxey Wolfspeed 전력제품 마케팅 및 애플리케이션 수석 이사 (출처 : Wolfspeed) Wolfspeed가 중국 위통 그룹과 협력해 앞으로 고효율의 신형 전기 버스 파워트레인 시스템에 자사의 1200V SiC(실리콘 카바이드) 장치 기반의 Starpower 파워 모듈을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실리콘(Si) 기반 반도체와 비교해 SiC 반도체는 전력 밀도가 더 높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을 분명하게 낮추고 스위칭 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전환 효율이 99% 이상에 달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에너지 손실을 대폭 줄이고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기 버스 등 전기 자동차로 보자면 항속 거리가 5%~10% 증가해 주행 성능이 동일한 상황이라면 고가의 배터리에 대한 수요도 상대적으로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탑재형 및 비탑재형 고속 충전기 시스템에서도 SiC의 효율과 열성능은 실리콘보다 더 이상적일 수 있다. Wolfspeed는 2019년 말 A
[헬로티]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산업용 머신비전 분야 선도기업 코그넥스가 전기차 배터리의 품질 보장 및 수명 연장을 위한 제조 공정 자동화에 적용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 제안을 발표했다. 전기 자동차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리튬이온배터리는 제한된 공간 속에서 최고의 효율을 내야 되기 때문에 부피당 높은 용량을 가져야 하고, 주행 중에 전달되는 충격을 견뎌야 할 뿐만 아니라 저온 및 고온도 버틸 수 있는 안정성과 내구성을 지녀야 한다. ▲ 배터리 조립 – 파우치 표면 검사 잘못된 배터리 셀 하나만으로도 전체 전지 팩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품질 제어가 제때 이루어 지지 못하면 많은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다. 그래서 품질은 전체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계속해서 점검해야 하는 부분이며, 제조회사가 높은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동화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코그넥스는 다년간의 자동화 산업 및 자동차 산업에 대한 경험과 미래지향적인 기술을 토대로 배터리 제조업을 위한 유연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코그넥스의 고품질 센서, 식별 및 네트워크 솔루션
[헬로티] 9월 9일 세계 전기차의 날을 맞아 60개국 이상의 운전자가 전기차로 전환을 서약하는 서약 캠페인에 동참했다. 세계 전기차의 날의 일환으로 ABB와 Green.TV가 진행 중인 온라인 서약 캠페인은 운전자들이 다음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고, 지속가능한 이동수단의 발전에 전기 자동차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시작됐다. 중간 결과에 따르면 어떤 국가가 이미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에 대해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영국은 전체 서약율의 29%를 기록하며 가장 많은 참여율을 보였고, 인도(13%)와 미국(11%)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ABB는 World EV Day와 헤드라인 파트너십을 맺음으로써 세계 최초의 글로벌 전기차 경주 시리즈인 ABB FIA 포뮬러 E 챔피언십에 대한 기존 타이틀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ABB 포뮬러 E는 경쟁환경에서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여 e-모빌리티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ABB Electrification 대표인 타락 메타는 “세계 전기차의 날은 e-모빌리티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영국을 시작으로 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들을 포함한 ABB 자동차 전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 전선 없이도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기술은 100여 년 전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에 의해 시도된 이후 지속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최근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와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면서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표 1. 무선전력 전송의 유형 비교 선으로부터의 자유, 무선전력 전송 기술 시대 도래 그동안 무선전력 전송 기술은 무선 전동칫솔과 전기면도기, 무선 주전자 등 일부 산업에서 제한적으로 기술을 활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 제조사 및 관련 부품업체를 비롯해 이동통신사들이 무선충전기 시장에 뛰어들면서 무선충전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다. 사용량이 급증한 스마트폰은 동영상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배터리의 급격한 소모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갤러시 S4 공식액세서리에 무선충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