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는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이하 르네사스)의 R9A02G021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R9A02G021은 르네사스가 자체 개발한 혁신적인 RISC-V 프로세서 코어를 기반으로 구현된 범용 32비트 MCU 제품군으로, IoT 센서와 소비가전 기기, 의료기기, 소형 가전 및 산업용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최종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오픈소스 ISA를 이용해 전력 및 비용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다용도 플랫폼을 제공한다. 르네사스는 R9A02G021을 통해 비용에 민감한 광범위한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명확하고, 안정적인 IP 마이그레이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설계자가 독자적 아키텍처에 대한 우려 없이 대량생산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우저에서 구매할 수 있는 R9A02G021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최대 48MHz의 실행 속도와 메가헤르츠(MHz)당 3.27 코어마크 성능을 제공하는 단일 32비트 프로세서 코어를 갖춘 초저전력 MCU이다. 특히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R9A02G021 MCU 제품군은 4µS 웨이크업 시간으로 소프트웨어 대
FPGA나 GPU 솔루션보다 지연시간 100배 ↓ 배터리 구동 AI 사례 현실화 가능성 ↑ [헬로티 = 김동원 기자]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가 적은 에너지로 복잡한 인공지능 추론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했다. 맥심은 8일, 신경망 가속기를 탑재한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 ‘MAX7800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MAX78000은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100분의 1도 안 되는 저전력 에너지로 복잡한 인공지능 추론(Inference)을 빠르게 실행해 배터리 구동 IoT 내장 장치에서 복잡한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AI 기술 기반의 배터리 구동 애플리케이션의 런타임을 늘리고 그동안 불가능했던 배터리 구동 AI 사례도 현실화할 수 있다. 또한 FGPA나 GPU 솔루션 비용의 극히 일부만으로 지연시간을 100배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손 안의 기기’에서의 AI 추론을 실행한다고 하면, 센서, 카메라, 마이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해 추론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기기 단에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했다. 이렇게 설계된 아키텍처는 지연이 생기고 에너지 소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