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폐업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기 위해 심리 회복부터 자금 지원, 전문가 멘토링까지 전 단계에서 재창업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중기부는 이날 대전 라이콘타운에서 ‘소상공인 회복 및 안전망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심리 회복 지원을 위해 정규 프로그램을 도입해 폐업 후 상실감과 우울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올해 취업 심리 지원을 시범 운영한 뒤 내년부터 재창업자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재기 사업화 지원에서는 ‘희망리턴패키지’ 평가 항목에 경쟁 환경 분석을 추가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선별한다. 또 전담 전문가(PM) 컨설팅을 받은 소상공인의 성과를 반영해 PM의 활동을 관리하고, 성과가 우수할 경우 활동 연장 등 혜택을 제공한다. 자금 지원도 강화된다. 최대 20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재기 사업화 자금의 초기 자부담 비율을 기존 100%에서 50%로 줄여 소상공인 부담을 완화한다. 두 방식 모두 최종적으로 정부가 2000만 원을 지원하지만, 사업 초기 소상공인이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아울러 최대 1억 원을 대출해주는 재도전 특별자금을 기
쿠팡이 초기창업기업의 상품 인지도·판로 확대에 나선다. 쿠팡은 지난달 창업진흥원과 초기창업기업 판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일 밝혔다. 양측은 각 기관이 보유한 정보와 온·오프라인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해 초기창업기업의 판로 개척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창업 3∼7년차 도약기 기업과 재창업 7년 이내 기업 등 창업진흥원에서 관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쿠팡은 지난해 창업진흥원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참여한 700여개 기업 중 35개 기업을 선정해 착한상점 기획전을 연다. 박대준 쿠팡 신사업 부문 대표는 "온라인 판로 확대와 제품 홍보에 어려움을 겪는 초기창업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획전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쿠팡은 창업기업 지원에 나서 창업 활성화를 돕고, 서로 상생하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정부가 직접 지원에 나서기보다는 민간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6월 22일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 보고서를 통해 국내 창업 인프라가 선진화됐으나 정부의 지원정책만으로는 혁신창업 생태계가 글로벌 수준으로 발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 따라서 투자금 회수시장을 활성화하고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규제 완화 및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을 통한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력을 촉진하고, 이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창업 안전망 강화에 대해서는 재도전의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내 전반적인 창업 인프라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정부의 창업지원 예산은 2010년 1,439억 원에서 2020년 8,492억 원으로 약 6배 증가했으며, 투자 규모 또한 2002년 약 6,000억 원에서 2020년 4조3,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한국이 세계적인 혁신창업 강국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투자금 조달 여건 및 기업 간 협력체계 등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국내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