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용 동박 비롯해 실리콘 음극재, 반도체 글라스 기판 등 신사업 관련 기술 소개 SKC는 9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SKC 테크 데이 2023'을 열고 주력 사업과 신규 사업의 기술 청사진을 공개했다. SKC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 잡은 이차전지용 동박과 함께 실리콘 음극재, 반도체 글라스 기판, 친환경 생분해 소재 등 새로운 사업의 다양한 기술을 소개했다. 주력인 이차전지 소재사업과 관련해서는 4680 원통형 배터리용 동박 개발 성과와 함께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한 미래 이차전지용 음극 집전체 연구개발 방향을 공유했다. 안중규 SK넥실리스 소재기술개발센터장은 "고강도와 고연신, 고내열뿐 아니라 부식 억제 등 미래 이차전지용 음극 집전체가 요구하는 물성을 갖춘 다양한 고객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박 관련 특허자산 보유 현황도 공개했다. SK넥실리스의 이차전지용 동박 특허 출원 건수는 올해 3월 기준 업계 최다인 230건이다. SKC는 올해 실리콘 음극재 자회사 얼티머스를 설립했고, 작년 1월에는 영국 기술기업 넥세온의 최대주주가 됐다. SKC는 넥세온의 기술을 활용해 연내 실리콘 음극재 시범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SKC는 글라스 기판사
2024년부터 5년간 폴란드서 생산한 동박 공급 계약…전기차 170만대 규모 SKC의 이차전지용 동박사업 투자사 SK넥실리스가 유럽 최대 이차전지 제조사인 스웨덴 노스볼트에 최대 1조4천억원 규모의 동박을 공급한다. SK넥실리스는 17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노스볼트 본사에서 2024년부터 5년간 SK넥실리스 폴란드 스탈로바볼라 공장에서 생산하는 이차전지용 동박을 노스볼트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계약 물량은 노스볼트가 이 기간 필요한 동박 수요의 약 80%이며, 전기차 170만대에 사용될 수 있다. SK넥실리스는 2024년부터 연간 5만 톤 규모의 폴란드 공장을 가동한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계기로 중장기 협력 관계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노스볼트는 폭스바겐, 볼보 등 유럽 자동차 제조사로부터 1조원 이상의 투자를 받아 총 150기가와트시(GWh) 수준의 대규모 현지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이번 계약으로 노스볼트는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동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배터리 대량 생산에 나설 수 있게 됐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용 동박 시장은 2021년 27만t에서 2025년 75만t 규모로 연평균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는 솔루스첨단소재가 캐나다에서 추진 중인 북미 최초 전지박(이차전지용 동박)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1억6천만달러(약 2,175억원) 규모의 금융을 지원한다고 27일 밝혔다. 캐나다 퀘벡주의 12만9천700㎡ 규모 부지에 준공되는 이 공장은 2024년 하반기부터 연간 약 54만대의 전기차에 활용될 전지박을 양산할 예정이다. 공장이 완공되면 북미 주요 배터리 완제품 공장에 전지박을 48시간 이내에 납품할 수 있어 산화·변형 등으로 인한 품질 리스크(위험성)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캐나다 소재 자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ES)을 통해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금융 조달에는 무보와 캐나다수출개발공사(EDC)가 참여한다. 무보는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배터리에 북미 제조 부품을 일정 비율 이상 사용한 경우에만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해외 생산시설 구축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이번 금융 지원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무보는 해외 전기차·배터리 생산 시설 투자에 올해 총 17억7천만달러 규모의 금융 지원을 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