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전기차 회사인 리비안과 세 번째로 전기차 부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급하는 제품은 약 9만대 분량의 명천공업산 아웃풋샤프트로, 600만 달러(한화로 약 71억 원) 규모다. 지난해 8월 이래 AMS산 하프샤프트 최초 공급건과 올해 9월 1450억 원 규모의 수주에 이어 세 번째 리비안향 부품 수주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베트남 전기차 스타트업 빈패스트에 이래 AMS의 하프샤프트 640억, 올해 6월 성림첨단산업의 구동모터용 영구자석 1290억을 각각 수주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 북미지역 스타트업과 맺은 525억 원 전기차 부품 계약과 금번 리비안 수주까지 포함하면 수주 금액이 2년에 걸쳐 약 4000억 원에 이른다. 리비안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신생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테슬라가 세단 등 주로 승용차에 집중하는데 비해 리비안은 픽업트럭과 SUV를 초기 주력 모델로 앞세우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공급하는 아웃풋샤프트는 전기차 구동축의 핵심 부품으로 구동모터의 동력을 양쪽 휠에 전달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품을 생산한 명천공업은 198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3일인 오늘 이래AMS와 함께 미국 리비안으로부터 전기차 부품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가파르게 성장하는 신생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급하는 물량은 전기차 34만 대 분량의 하프샤프트로 약 1450억 원 규모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8월 리비안과 처음 계약한 2만 대 분량을 포함해 총 36만 대분의 하프샤프트를 세부 조정과 테스트 등을 거쳐 내년 중 공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하프샤프트는 배터리전기차(BEV) 차량에서 구동축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다. 구동축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기를 거쳐 양쪽 타이어에 전달해주는 기능을 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함께 수주한 이래AMS는 차량의 구동·제동·조향 등 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부품사로, 국내 완성차 업체는 물론 미국·독일·프랑스 등 세계 유수 자동차 회사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공급을 계기로 향후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며 "현지화나 투자 등의 절차로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건 외에도 리비안의 신규
[헬로티] 국내 중견기업과 손잡고 수주…"친환경차 부품 공급 확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 자동차부품 중견기업인 이래AMS와 함께 베트남 빈패스트(Vinfast)사로부터 전기차용 부품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빈패스트에 공급되는 하프샤프트는 배터리전기차(BEV)에서 구동축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구동축은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를 거쳐 양쪽 타이어에 전달해준다. 제품은 세부 조정과 테스트를 거쳐 내년 중 공급하며, 공급물량은 빈패스트가 생산하는 전기차 약 10만대분이다. 빈패스트는 베트남 최대 민간기업 빈(Vin) 그룹이 투자해 만든 베트남의 첫 완성차 업체다. 사진. 하프샤프트 (출처: 연합뉴스) 이번 수주는 빈패스트의 첫 번째 전기차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미래 전략차종인 전기차 부품을 수주함으로써 향후 현지화나 투자 등 사업 확대로 이어나갈 기반을 마련했다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설명했다. 이래AMS는 차량의 구동, 제동, 조향 등 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부품사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는 2011년부터 협업했으며 현재 북미 피아트-크라이슬러로 수출하는 구동 부품 물량의 대부분을 포스코인터내셔널을 통해 공급하고 있다. 베트남 외에도 미국의 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