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부문과 Contents & Entertainment 부문에서 혁신상 수상해 오노마에이아이(Onoma AI)가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미국 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오노마에이아이는 CES 유레카파크 한국공동관의 스타트업 전시관에 참가하며, 자사의 대표 AI 웹툰 제작 서비스 '투툰(TooToon)'을 선보였다. 투툰은 AI 기술을 활용해 스토리보드, 캐릭터 디자인, 에피소드 구성까지 자동화하는 솔루션으로, 콘텐츠 제작 과정을 혁신적으로 단축시키며 높은 완성도를 제공한다. 관람객은 웹툰 제작 전 과정을 체험하며, AI와 협력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볼 수 있었다. 특히, 투툰은 제작 과정에서 업계 표준을 준수해 전문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호평받았다. 오노마에이아이는 이번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 부문과 Contents & Entertainment 부문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며, 자사의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오노마에이아이는 이러한 수상이 투툰의 독창적인 기술력과 사용자 친화적인 설계가 글로벌 무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보여준다고
게리 샤피로 CTA 회장 겸 CEO "CES 2024, 전체 기술 생태계를 아울러" CES 2024가 미국 라스베이거스 현지시간 12일로 막을 내렸다. 유레카파크 내 14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포함하여 전 세계 4300개 이상의 참관사가 참여한 올해 CES는 미래를 대비하고 가장 시급한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트렌드를 선보였다. 게리 샤피로 미소비자기술협회(CTA)의 회장 겸 CEO는 “CES의 부활은 대면 대화와 회의가 기술 업계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한다”며 “지난 20여년 동안 꾸준히 모든 기업이 기술 기업이 돼야 한다고 말해왔는데, CES 2024에 참여한 참관 기업의 다양성이 이를 증명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CES 2024의 전시 공간과 컨퍼런스 프로그램 역시 전체 기술 생태계를 아울렀다”고 설명했다. CTA의 산업 리더 이사회를 구성하는 50명의 기업 리더도 CES가 AI, 접근성, 디지털헬스,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행사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올해 CES는 작년 대비 15% 커진 약 250만 평방피트 규모의 전시장으로 마련됐으며, 참가자 수 약 13만5000명의 참가자를 비롯해 참가자의 40% 이상
미국과 일본, 프랑스, 네덜란드,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역대 최대 스타트업 참가 CES 2024에 내노라하는 전 세계 스타트업이 모였다. 올해에도 2000여 곳이 넘는 스타트업이 미래의 애플과 구글을 꿈꾸며 차별화한 기술을 선보였다. CES 주최 측인 미 소비자가전협회(CTS)에 따르면, 올해 CES에는 역대 가장 많은 스타트업이 참가했다. 11일(현지시간) 찾은 유레카 파크는 스타트업 집결지답게 에너지로 넘쳤다. 행사장에는 미국과 일본, 프랑스, 네덜란드, 싱가포르 등 여러 국가의 부스가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었고, 관람객은 스타트업의 신기술 삼매경에 빠졌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 중인 이스라엘 스타트업도 참가했고, 러시아와 2년째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스타트업도 작년에 이어 눈에 띄었다. 이스라엘은 첨단 기술의 스타트업 강국으로 꼽히지만, 올해 참가한 스타트업은 전쟁의 여파로 작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스라엘 부스 담당자 오메르 파인 씨는 "지난해에는 20곳이 넘는 스타트업이 참가했는데, 올해는 11곳이 참가했다"며 "몇 달 전 발생한 전쟁 이슈로 군대에 가야 하기 때문에 많은 스타트업이 참가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날 유레카 파크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