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는 박병운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 데시미터 챌린지 2022'에서 금메달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이 대회는 구글과 국제 위성항법시스템 학회가 공동 주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대회다. 올해로 2회 차인 이번 대회에는 미국, 일본, 중국 등 전 세계 위성 항법 시스템 연구자 571팀이 참여했다. 세종대 연구팀은 참가팀 중 7위를 차지했다. 금메달은 상위 10위까지 주어진다. 연구팀은 구글이 제공한 미국 캘리포니아 일대의 스마트폰 주행 데이터를 활용해 개방된 도로 기준 1m 이하의 오차 수준으로 위치 정확도를 확보했다. 도심에서도 3m 이하의 위치 정확도를 보였다. 통상 현재 스마트폰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칩셋은 정확도가 개방된 도로 기준 5∼10m 수준이다. 장애물이 많은 도심지의 경우 오차가 20∼100m 이상으로 커진다. 박 교수는 "위치 항법은 스마트폰에서 우주 발사체와 위성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며 "이 기술이 올해 개발에 착수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대회에서 확보한 위
위성항법시스템 활용 보행약자 길 안내…드론으로 하수관로 점검 국토교통부는 2022년 지방자치단체 공간정보 우수사업으로 서울시, 부산시, 경기 성남시 등 3곳이 제안한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작년에 이어 올해 2번째로 진행된 공간정보 우수사업 공모는 지자체가 공간정보를 활용해 행정 효율을 제고하고 대국민 공간정보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것을 독려하기 위해 추진됐다. 올해 공모는 기반구축, 융합·활용, 성장·협력 등 3개 분야로 나눠 진행됐으며 선정된 지자체에는 각각 5천800만원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기반구축 분야에서는 서울시의 '위성 기준국을 활용한 보행 약자 안전 지원체계 구축 사업'이 우수사업으로 선정됐다. 이는 위성항법시스템(GNSS)을 활용해 맨홀, 과속방지턱, 배수로 등 정보를 보강한 공간정보를 구축해 보행 약자 전용 길 안내 서비스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업이다. 융합·활용 분야에서는 부산시가 제출한 '지하시설물 데이터베이스(DB) 기반 CDI 모델 이용 지반침하 위험지도 구축 사업'이 선정됐다. 이 사업은 이미 구축된 공간정보인 지하시설물 DB와 부산시가 자체 구축한 도로함몰피해지수(CDI) 모델을 연계해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제작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