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 중소·중견기업, 8개 대학·공공연구기관 선정 지원 특허청은 6일 반도체 등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 강화와 우수특허 확보를 위해 '후속 진단 특허기반 연구개발 전략'(IP-R&D)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특허청은 2019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소부장 과제에 IP-R&D를 적용해 연구개발 초기에 특허전략을 지원해왔다. 이에 따라 특허전략 이행상황을 점검·보완하고, 그간의 성과를 권리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런 업계 의견을 반영해 후속 진단 IP-R&D 지원방안을 마련했으며, 1년 이상 지난 과제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개발 방향 점검과 권리화 보강전략을 올해 말까지 지원한다. 후속 진단 필요성과 기대효과 등을 평가해 파워큐브세미(전력반도체)와 윤성에프앤씨(배터리 장비) 등 22개 중소·중견기업과, 연세대 산학협력단(전장용 MLCC 소재)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수소 이차전지) 등 8개 대학·공공연구기관을 선정했다. 김명섭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우리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특허 관점의 기술혁신을 끝까지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첨단 헬로티] 포스코의 미활용 우수특허 83건이 24개 중소기업으로 무상 이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28일, 양재 엘타워에서 박건수 산업부 산업기술정책국장, 김동수 포스코 전무, 중소·중견기업 대표 및 임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 기술 나눔 업무 협약 및 기술 이전식’을 가졌다. 포스코는 이번 협약식을 위해 로봇, 설비, 철강, 소재 관련 300개 기술을 중소기업에 개방했으며, 설명회와 수요 발굴, 평가 등의 절차를 거쳐 24개 기업에 83개 기술을 무상으로 이전했다. 이전 기업은 기술력과 사업화 추진 의지, 구체적인 활용 계획을 인정받아 선정됐으며, 이전 받은 기술은 특허 존속 기간 만료 시까지 최장 17.7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박선수 산업기술정책관은 “기술 나눔이 기업성장을 위한 포지티브섬(Positive-sum) 전략이 되기를 기대”하며, “기술 나눔을 통해 이전받은 기술이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기술 나눔 이외에도 미활용 기술 이전 활성화를 위해 &ls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