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화 기술 업체 엔드레스하우저가 ‘인터배터리 2025(2025 Interbattery)’에 부스를 마련했다. 올해 13회차로 개막한 인터배터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로, 이달 5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올해 인터배터리는 전 세계 688개 업체가 2330개 부스를 배치해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엑스가 주관한다. 전시장에는 배터리 원료·소재·부품, 에너지저장장치(ESS), 캐퍼시터, 배터리 제조 장비 및 시스템, 배터리 검사·측정 장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등 배터리 산업 생태계의 수많은 기술이 참관객을 맞이한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산업 공정 자동화를 위한 제품·솔루션·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업체다. 유량·레벨·압력·유체 분석·온도 측정·데이터 기록·디지털 통신 등과 관련한 포괄적인 솔루션을 다양한 산업에 제공하고 있다. 한국엔드레스하우저는 이번 전시에서 코리올라스 질량 유량계, 레이다 레벨계, 압력 트랜스미터, 온도 센서, 1채널 트랜스미터 등 솔루션이 제시됐다. 코리올리스 질량 유량계 ‘Promass Q’는 활물질, 바인더,
산업 자동화 분야의 선두 기업 오토닉스가 초음파 센서 UTR 시리즈의 새로운 모델을 선보이며 라인업을 확장했다. 새롭게 추가된 모델은 M18 형태로, 검출 거리 30~350mm와 65~600mm를 지원한다. 이로써 UTR 시리즈는 기존 모델을 포함해 30~350mm, 65~600mm, 120~1,300mm, 600~8,000mm의 폭넓은 검출 거리를 제공하게 됐다. 초음파 센서는 높은 주파수를 활용해 송신과 수신의 시간차를 계산, 물체의 존재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다. 특히 UTR 시리즈는 초음파의 특성을 극대화해 기존의 포토센서로 검출이 어려운 투명체, 금속체, 분말, 액체 등 다양한 재질을 정밀하게 감지한다. 이는 검출 대상의 광택, 색상, 패턴, 질감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물체의 상태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또한 UTR 시리즈는 최대 8m의 측정 거리를 지원하며, 공장 자동화, 물류 시스템, 생산 라인 등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높은 효율성을 발휘한다. 초음파 센서는 공기를 매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주위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오토닉스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도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 센서 내부의 온도 센서를 통해 외부 온
요꼬가와가 OpreX™ Asset Management and Integrity 솔루션의 Sushi Sensor 라인업에 새로운 무선 스팀 트랩 모니터링 장치를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신제품은 ATEX 지침을 준수하며 오늘부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출시된다. 이어서 IECEx, FM 및 기타 방폭 표준에 따라 미국, 유럽, 인도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Sushi Sensor는 산업용 IoT 무선 솔루션으로 뛰어난 환경 저항성과 광범위한 커버리지 기능을 제공한다. 2008년 처음 선보인 이후, Sushi Sensor는 다양한 산업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30,000대 이상 출하된 바 있다. 요꼬가와의 신형 스팀 트랩 모니터링 장치는 스팀 트랩의 자동 감지 기능을 통해 설비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혁신적인 장비이다. 특히 열 유틸리티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 Armstrong International Inc.와의 협력으로 개발된 이 장치는 현장 검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스팀 트랩 모니터링 장치는 고품질 온도 센서와 음향 센서를 활용해 스팀 트랩
요꼬가와전기는 공장 설비 관리를 위한 IIoT 무선 센서, 광섬유 분포 온도 센서(DTSX), 온라인 종합 모니터링 시스템(ACOMP), 전력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제공한다. 해당 솔루션을 통해 사고예방, 효율화, 비용 절감 등 공장 운영 효율화 실현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공장 운영 효율화를 이끄는 요꼬가와의 기술에는 어떤 특장점이 있는지 소개한다. 요꼬가와전기는 1915년에 설립됐다. 요꼬가와전기는 100여 년 동안 여러 제품군을 구축해왔다. 특히 석유화학 및 발전 플랜트에 특화된 제품이 많다. 최근 산업 트렌드가 변화함에 따라 제품에 특화된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솔루션 측면에서도 가치 있는 비즈니스 체질 변화 전략을 구상해 사업을 진행 중이다.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솔루션을 만들자는 ‘Co-innovating tommorrow’ 전략을 내세워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요꼬가와전기는 전 세계 120곳에 사무실을 두고 있고, 생산 공장은 13개국에 위치해있다. 한국요꼬가와전기도 부평에 생산 공장이 있어 일부 요꼬가와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직원 수는 1만8000명 규모인데, 이 중 2500명이 서비스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어 사후 서비스도 함께 진행
요꼬가와는 OpreX 와류 유량계 VY 시리즈 출시를 발표했다. 이 유량계는 주요 방폭 표준(IECEx, ATEX, FM, FMc)을 준수하고 SIL2 인증을 받았다. OpreX Field Instruments 제품군의 신제품 시리즈는 브라질을 제외한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인도, 중동 및 남미에서 먼저 출시될 예정이다. 또한, 각 국가의 표준에 대한 적합성을 인증받은 후 다른 시장에도 출시될 계획이다. 요꼬가와가 별도로 판매하는 특수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할 경우 OpreX 와류 유량계 VY 시리즈는 원격 유지보수 기능을 지원하여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조건 기반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개발배경 다른 유형의 유량계와 비교했을 때 와류 유량계는 다양한 유체 유형, 온도 및 압력을 처리할 수 있다. 요꼬가와는 1969년 세계 최초의 와류 유량계를 개발했으며 1979년 YEWFLO 시리즈 범용 유량계를 출시,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50만 대 이상을 판매했다. 이 새로운 시리즈는 효율적이고 계획된 조건 기반 유지보수의 형태로 대규모 플랜트에서 디지털 전환(DX)의 구현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됐다. 특징 ◇ 유량계 자체 계산 가능 VY 시리즈의 와류 유량계는 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요꼬가와는 JAXA의 우주 탐사 혁신 허브 센터와 함께 광섬유 감지 기술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요꼬가와는 “Brillouin 광학 상관 도메인 측정을 통한 랜덤 액세스에 의한 고온 및 저온 영역의 분포 측정 및 가상 실시간 측정”이라는 주제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낙찰 받았다. 2015년에 설립된 JAXA의 Exploration Hub는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의 다양한 분야 전문가를 모아 일본에서 우주 탐사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 및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우주는 물론 지상에서도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요꼬가와가 채택한 제안은 Exploration Hub가 제안했던 아이디어 육성을 위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인 광섬유 감지 기술 연구 및 개발 범주에 속한다. 이 분야에서 요꼬가와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광섬유 분산 온도 센서인 DTSX를 제공한다. 화재 감지 및 유지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이 제품은 모든 종류의 플랜트 및 기반 시설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연구 내용 광섬유 센서를 활용하여
[헬로티] ‘고속 대용량’, ‘고신뢰·저지연’, ‘다수 동시 접속’이 큰 특징인 5G ‘제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차세대 통신 인프라로서 IoT, Big Data, AI의 정보를 다루는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가시화’가 큰 기술 혁신을 사회에 가져올 것이라고 말들 한다. 제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는 IoT, 센서 기술의 진화에 의해 자동차의 자동 운전으로 대표되는 사물의 자동화, ‘공장을 연결하는’ 스마트팩토리화가 추진되는 가운데, 공작기계에서도 ‘자동화’, ‘가시화’가 요구되고 그 얻어진 정보로부터 모니터링(항시 감시), 메인티넌스(예방 보전) 등의 가동 관리가 제조의 고도화·복잡화에 필수적이 되고 있다. 또한, 기술 계승자 부족, 생산성 향상 등의 과제를 배경으로 연삭반·반도체 제조장치에도 초정밀·고성능·고기능화로 더욱 진화가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연삭반의 ‘자동화’, ‘가시화&rsqu
[첨단 헬로티] 온도 측정은 IoT(Internet of Things)와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시스템 전압을 낮추는 온도 센서를 통합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마이크로컨트롤러, 혼합 신호, 아날로그 반도체 및 플래시-IP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인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북아시아 총괄 및 한국 대표: 한병돈)에서는 표준 리드 간격을 갖는 업계 최소형 5채널 온도 센서 제품을 비롯해 5개의 새로운 1.8V 온도 센서 제품을 출시했다. 이번 EMC181x 온도 센서 제품군은 시스템 온도의 변동 상태에 대해 사전 경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온도 변화율 보고 기능도 갖추고 있다. 이들 제품은 하나의 통합 온도 센서를 사용해 다중 지점의 온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보드 복잡성을 줄이고 설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EMC181x 온도 센서 제품군은 1.8V에서 동작하는 원격 채널을 2개부터 5개까지 폭넓게 제공하므로 다양한 설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 제품군은 배터리로 작동되는 IoT 애플리케이션,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 FPGA(Field-Programmable
[첨단 헬로티] 열화상 카메라 전문업체 초성전자가 올 초 현미경 렌즈를 탑재한 고해상도의 소형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PI640 Microscope 및 PI450 Microscope를 출시 한데 이어, 최근 XI 400 열화상 카메라 시리즈에 현미경 옵틱을 장착하여 382 x 288 픽셀 급의 저렴한 현미경 열화상 카메라를 출시했다. 픽셀 하나의 최소 사이즈는 100mm 측정 거리에서 90μm까지 측정 가능하다. ▲ XI400 microscope 이 제품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 optris PIX Connect가 제공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의 최고 온도 또는 최소 온도점 자동 트레킹, 알람 등이 가능하며 유저의 요구에 맞게 별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SDK가 제공된다. 또한 실시간 온도 변화의 비디오 레코딩 및 스냅샷 레코딩이 가능하며, 디지털이나 그래프 디스플레이로 메인 윈도 내에 실시간 온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측정 지역에 대한 이미지 추출을 통해 기준 이미지와의 시간 흐름에 따른 온도 편차를 지속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현미경 렌즈를 장착한 이 열화상 카메라는 시험 및 측정 범위에서 간단하게 초점을 조절할 수
[첨단 헬로티] E+E일렉트로닉이 3월 28일(수)부터 3월 30일(금)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18'에 참가해 습도, CO2, 오일내 수분, 풍속, 유량, 온도 센서 제품을 선보였다. 오스트리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E+E일렉트로닉은 오스트리아의 습도 분야 국가 표준 보유 및 유지 기관이다. E+E일렉트로닉의 습도 트랜스미터는 복잡한 산업 적용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측정을 위해 최적화되어 설계됐으며 상대 습도 및 온도를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뿐만 아니라 노점, 절대습도, 혼합비 등의 파라미터를 계산할 수도 있다. (주)첨단, 코엑스, 스마트공장추진단,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18에선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스마트공장 엑스포(Smart Factory Expo)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관’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도 준비되어 최신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첨단 헬로티] ams가 스마트 라벨용 NFC 센서 태그 및 데이터 로거 IC 신제품 AS39513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제품은 식품, 의약품, 헬스케어 제품 등의 보관 및 운송 상태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해준다. AS39513은 NFC 프런트엔드를 통합한 디지털 센서로, 스마트 라벨에 쉽게 통합 가능하다. 고유 ID와 기록된 온도뿐만 아니라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인가 받은 NFC 리더를 이용해 읽을 수 있다. 이 신제품을 통해 스마트 라벨을 판독하면 제조사나 해운사, 유통사는 선적되어 있는 개별 수하물들의 보관 상태에 대해 구체적인 로그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선 식품처럼 변질의 우려가 있는 상품들이 하역 때까지 완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AS39513은 온도 모니터링 및 NFC 커넥티비티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NFC 프런트엔드, 온도 센서, 외부 센서와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다. 실시간 클럭, 10bit ADC, 설정 가능한 데이터-로깅 엔진, 9kbit 크기의 암호 설정이 가능한 EEPROM, 외부 MCU 연결을
[첨단 헬로티] 고성능 센서 솔루션 기업 ams(한국지사 대표 이종덕)에서 -20°C ~ +10°C의 온도 범위에서 뛰어난 측정 정확도를 제공하는 디지털 온도 센서 IC 신제품 AS6200C를 출시했다. AS6200C는 냉장저장시설의 냉장고 및 데이터 로거 설계자가 매우 까다로운 시스템 레벨 정확도 목표를 쉽게 충족할 수 있도록 탁월한 성능을 제공한다. AS6200C의 측정 성능은 신선식품용 냉장설비들이 통상적으로 운용되는 -20°C~+10°C의 온도 범위에서 ±0.2°C의 오차 수준을 나타낼 정도로 매우 정확하며, 1.8V~3.6V의 입력 전압 범위에 걸쳐 정확한 센서 측정 성능을 보장한다. 온도 제어와 온도 로깅 애플리케이션에서, 총 오류 한계값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측정 지점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한다면 설계자는 예컨대 보드 실장형 부품들로 인해 발생하는 열 등의 다른 오류들이나 잡음 소스들을 위한 오류 마진을 확보할 수가 있다. 정확도가 높은 AS6200C를 사용함으로써, 설계자는 총 오류 한계값을 특정 수준 이하로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스템 설계의 다른 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
[첨단 헬로티] 독일 옵트리스 사의 한국 총판인 초성전자(www.ondo24.com)에서 섭씨 2000℃까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단파장 대역의 열화상 카메라 ‘PI 05M’을 국내에 선보였다. PI 05M은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로서 기존의 파이로미터에 의한 온도 측정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해 주는 새로운 기술을 탑재했다. ▲ 단파장 대역의 열화상 카메라 ‘PI 05M’ 온도 측정 범위는 900~2000℃이며, 광학 해상도는 764×480의 높은 해상도를 가지며 스페셜 적외선 파장 대역인 500∼540nm의 짧은 측정 파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optris PI 1M(0.85 to 1.1μm)의 금속 또는 용융 금속 온도 측정 제품군을 보강했다. 특수하게 짧은 단파장 적외선 파장 대역을 사용하는 덕분에 방사율 값을 잘 모르거나 방사율(emissivity)이 실시간으로 변하면서 생길 수 있는 오차 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Optris 독일 대표 Ulrich Kienitz 박사는 “PI 05M은 전 세계 금속산업 분야를 겨냥하여 만든 또 하나의 콤팩트
[첨단 헬로티] 엘리먼트 14(element 14)가 커넥터 및 센서 솔루션 업체인 TE Connectivity(이하 TE)의 다양한 센저 제품 판매를 시작한다. 엘리먼트 14가 TE의 제품 판매를 시작하며 감도, 범위, 정확성, 분해능, 정밀성과 같은 규격을 바탕으로 개발 엔지니어들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TE의 압력 센서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출력이 가능하고 신호와 온도 조건에 따라 보정이 가능한 제품이다. NTC 서마스터는 중요한 OEM 제품별 감지 요건을 충족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온도 및 습도 센서는 폭넓은 조건 및 환경에서 정확하게 상대습도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개발 보드는 작은 크기에 걸맞는 적은 전력 소모량이 특징이다. 다양한 개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 앤 플레이 도구가 제공되는 제품이기도 하다. 포드 및 로드 셀 센서는 비용효율성이 뛰어난 패키지에 내구성과 장기적 안정성을 함께 갖췄다. 흐름 센서는 리드 스위치의 안정성이 특징이며, 물조절, 동력 샤워기, 양난방 시스템, 순환 펌프 보호장치, 냉각 및 누출 감지 관련 제품에 사용 가능하다. 엘리먼트14 웹사이트에서 TE
[첨단 헬로티] “유량 센서 PF20S 출시로 바우머의 센서 제품 라인업을 모두 갖췄다.” 바우머 코리아 성진경 차장은 이번 ‘PF20S’ 출시로, 기존 압력, 온도, 레벨, 전도도에 이어 유량 센서까지 모든 제품 라인업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한국 시장 공략에 더욱 탄력받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신제품 FlexFlow PF20S는 유량의 흐름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작동하며 IP 등급이 높아 반도체 쿨링을 비롯한 식품·제약의 CIP 공정, 부품 청소 장비, 펌프 사용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성진경 차장은 이미 유량 센서에 대한 고객의 니즈가 높아 내년엔 센서사업 매출의 20%까지 달성할 것으로 기대했다. 성진경 차장에게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들었다. ▲ INTERVIEW_바우머 코리아 성진경 차장 Q. 기존 라인업에는 없던 제품이다. 유량 센서를 출시하게 된 배경은. A. 유량 센서에 대한 고객의 지속적인 요청이 있었다. 그동안 바우머엔 센서 관련 압력, 온도, 레벨, 전도도까지 다양한 제품을 갖추고 있었지만, 유량은 빠져 있었다. 그 부분을 채우기 위해 ‘PF20S&rsqu